초판 2023.09.27
▣ 본서(本書)의 소개 및 생명보험론의 교재로서 특징
본서(本書)는 금융·보험학의 생명보험론을 다룬 기본적인 이론서이며, 대학교에서 금융·보험학을 전공하는 학도(學徒)들이 기본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한 분야이다.
1. 본서(本書)는 금융·보험학에서 생명보험 분야의 기본적인 지식과 학습해야 할 내용들을 요약하고 정리하여 생명보험론을 다룬 기본적인 이론서(理論書)로서 정립(定立)하여 체계적으로 구성한다.
2. 특히, 금융·보험학에서 생명보험론의 기본적인 교재로서, 대학교에서 금융·보험학을 전공하는 학도(學徒)들이 생명보험론에 대한 기본적인 보험지식과 관련 내용들을 심층적으로 학습하도록 구성한다.
3. 본 교재의 제3편 일부(제3장, 제4장, 제5장)에 생명보험회사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업무(보험실무)로서 보험 계약보전 업무, 계약 후의 사후관리 실무, 기타 등 생명보험회사의 기초적인 보험실무와 내용 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보험산업의 현장과 접목된 이론 교재로 구성함으로써 보험실무에서 이해력과 적응력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4. 본 교재에 위험과 보험, 보험이론, 보험모집·보험설계사(영업조직), 보험윤리·보험소비자 보호, 보험모집 관련 법규, 생명보험 이론, 생명보험 계약 및 관련 법규(약관), 보험계약체결 및 보험 계약보전 업무(보험실무), 생명보험 상품의 각론, 제3보험 상품 및 각론, 기타 등에 관한 것을 요약·정리식의 방법으로 기술한다.
5. 보험회사의 현장에서 기본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실제(實際)의 보험 계약보전 업무(보험실무)와 밀접하게 연관된 ? 보험계약과 체결(성립) 과정, ? 보험계약의 효과, ? 보험계약의 유지 및 사후관리(보험계약의 부활, 보험계약의 변경, 보험계약의 계약해지, 보험금의 지급, 기타 등)와 관련된 보험실무(보험계약보전 업무) 분야는 실제로 이루어지는 업무 FLOW의 순서와 흐름에 따라 교재를 편성하고자 노력하였으며, 분야별로 요약·정리 식으로 교재를 집필한다. 또한, 그 내용들을 일목요연(一目瞭然)하게 하여 좀 더 구체적이고 쉽게 보험실무의 기본지식 습득 및 생명보험의 지식을 획득하여 보험실무에서 보험에 대한 이해력의 제고, 업무능력 및 적응력을 높이는데 노력하였다.
▣ 본서(本書) 집필의 목적과 계기(契機)
생명보험론의 교재를 집필하게 된 계기는 대학에서 회계원리, 원가관리회계 및 회계 분야와 기타 과목을 강의 하다가 보험학 및 보험계약론실무, 금융·보험 관련 과목에 대한 강의를 맡게 되면서 그 필요성을 매우 강하게 느꼈다. 집중적(集中的)이면서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서 사전(事前)에 금융·보험학의 강의안과 교육용 자료를 만들기 위해 관련된 도서(교재 및 기타)와 자료들을 많이 찾았으나, 금융·보험학에 대해서 현존하는 교재의 수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알았다. 또한, 효과적인 강의와 교육을 위해 교재 선정과 참고 도서를 지정하고자 각 출판사별로 보험학 분야와 관련한 모든 도서(교재)를 조회하고 교재 내용을 분석하여 선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보험 관련 학문(생명보험, 손해보험, 제3보험, 보험계약법, 기타) 분야에서 선택할 수 있는 교재가 부족하거나 거의 없다는 것을 알았다.
저자는 다소 부족함도 있으나, 금융·보험학의 각 분야별(생명보험·손해보험·제3보험·보험계약법·기타)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교재를 제공해야겠다는 강한 신념과 금융·보험학을 전공하는 학도(學徒)들에게 저자의 조그마한 노하우(Know-how)이지만 이를 전(傳)하기 위해서 본(本) 교재의 집필을 계획하고 시도하게 되었다.
또한, 본 교과목(생명보험론)은 우리나라 전체의 출판사별로 현존(現存)하는 교재의 수량이 몇 개가 없으며, 교재에 대한 선택의 여지(餘地)가 거의 없는 관계로 다양한 교재의 필요성과 선택의 여지(餘地)를 높이기 위해 빠른 시일 내에 출간해야겠다는 의식 때문에 더욱 매진하게 되었다.
저자는 삼성그룹 삼성생명보험(주)에서 재직한 금융·보험업계의 금융·보험인으로서, 금융·보험학의 전공자로서, 오랜 세월 동안에 금융·보험업계에서 다양하게 경험한 노하우(Know-how)와 실제로 경험한 보험실무[보험 계약보전 업무, 영업조직 관리총괄, 보험설계사 교육 및 등록 총괄, 대출(융자) 업무관리 및 채권관리 총괄, 보험 관련 법규, 기타]를 접목하여 금융·보험학을 전공하는 학도(學徒)들에게 생명보험 이론 및 제3보험, 금융·보험학의 지식을 전달함에 목적을 두고 최선을 다 하고자 했다.
본서(本書)가 금융·보험학을 전공하는 학도(學徒)들에게 보험의 지식 및 생명보험·제3보험의 지식, 보험회사의 보험실무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데 기여하기 바란다. 또한 보험소비자와 예비 보험전문인이 되고자 하는 모든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본서(本書) 구성(편성)의 내용
본서(本書)는 제1편 보험의 이해, 제2편 보험모집 이해, 제3편 생명보험 이해, 제4편 생명보험상품 이해 및 각론, 제5편 제3보험 이해 및 각론, 제6편 부록으로 구분한 후 구체적인 설명을 하였다.
또한, 생명보험·제3보험 각 분야의 중요 핵심 내용들을 요점·정리의 방식으로 요약 및 정리하였으며, 특히 심화학습이 요구되는 부분은 대법원의 판례 및 기타 등을 반영하여 교재를 집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맺음말
저자는 삼성그룹 삼성생명보험(주)에 재직하면서 제작한 보험설계사의 교육과정을 위한 수많은 강의안 자료와 보험실무(보험 계약보전 업무 및 기타)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교재를 집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저자의 개인적인 한계로, 기존에 가지고 있던 수많은 관련 자료와 참고 문헌(文獻) 및 다른 자료들을 참고로 하여 생명보험론의 교재를 만들다 보니, 기억의 한계로 문헌 및 자료의 인용 사실(출처)을 모르거나 본 교재에 본의 아니게 누락한 것이 있다면 사과의 말씀을 올리며, 만약 지적을 하신다면 교정할 것을 약속드린다.
또한, 집필 과정에 대한 여러 가지로 부족한 점이 있다면 너그러이 용서와 양해의 부탁 말씀을 드린다.
끝으로, 글로벌 전체가 아주 고약한 전염병인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사투(死鬪)를 벌였으며, 이로 인한 사회생활 및 문화적인 변화의 소용돌이와 지긋지긋한 불편함과 고통의 긴 터널에서 점점 벗어나고 있으나 삶의 질(質)이 많이 저하되어 있으며, 계속 밀려오는 경제적 및 사회적인 어려움으로 힘들고 어지러운 시국이다. 또한,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 이른바 3고(高) 현상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진 가운데 정부가 재정건전성 관리 차원의 여러 정책과 전기와 가스 등의 공공요금을 인상하면서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더욱 팍팍해질 전망이다.
본래부터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었는데, 코로나 시국으로 인해 더욱 가중되어 역대급(歷代級) 이상의 경제적인 어려움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상황들 때문에 점점 어려워지는 출판업계의 환경 속에서도 본서의 출간을 위해서 많은 도움을 주신 ㈜박영사의 대표님께 감사드리며, 장규식 차장 및 탁종민 대리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하여 드린다. 감사합니다.
2023년 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