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산행길은 인생길 상세페이지

산행길은 인생길

  • 관심 0
대여
권당 7일
500원
소장
종이책 정가
7,230원
전자책 정가
55%↓
3,230원
판매가
9%↓
2,910원
출간 정보
  • 2019.10.17 전자책 출간
  • 2019.07.23 종이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10.4만 자
  • 1.8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88996946557
ECN
-
산행길은 인생길

작품 정보

산행에 대해서
길은 역사입니다. 길에는 삶의 역정들이 배어 있습니다. 인간들이 찾는 산행길에도 삶의 괘적들이 어려 있습니다. 산행길은 인생길입니다. 산은 찾아오는 사람의 신분을 따지지도 묻지도 않고 받아줍니다. 인간들은 산을 정복의 대상으로 생각합니다. 산 정상에 올라서서 산을 정복했다고 자랑합니다. 정복한 것이 아니라 산 정상에 서도록 허락받은 것입니다. 집을 나서 산행을 마치고 무탈한 몸으로 집에 도착해야 성공한 산행입니다. 산의 크고 작음을 떠나서 불귀객(不歸客)이 되는 경우가 없어야 할 것입니다. 가끔 보통 사람들뿐만 아니라 유명한 전문 산악인들도 산에서 불귀객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습니다. 지구 위 최고봉 에베레스트산의 경우에도 등반에 나선 여섯 명 중 한 명 꼴로 불귀객이 된다는 보고입니다.
우리나라 산하에 대해 학교에서 교육을 잘 못 시키고 있다는 것과 산경표(山經表)가 있다는 것을 부끄럽게도 산행를 하면서부터 알게 되었습니다. 산경표는 우리나라 산줄기의 족보입니다. 산줄기는 물줄기를 구획하는 경계가 되는데(山自分水嶺), 겹치거나 중복되지 않고, 오직 하나의 선을 따라 끊기지 않고 이어집니다. 전래의 산경표 15개 산줄기의 이름۰순서۰거리는 ①백두대간·1,658.6㎞ ②장백정간·364.2㎞ ③낙남정맥·225.6㎞ ④청북정맥·514.2㎞ ⑤청남정맥·355.6㎞ ⑥해서정맥·462.7㎞ ⑦임진북예성남정맥·158.8㎞ ⑧한북정맥·235.5㎞ ⑨낙동정맥·419㎞ ⑩한남금북정맥·158.1㎞ ⑪한남정맥·178.5㎞ ⑫금북정맥·440.5㎞ ⑬금남호남정맥·70.7㎞ ⑭금남정맥·131.4㎞ ⑮호남정맥·454.5㎞ 입니다. 15개 산줄기를 구획하는 큰 강 10개의 이름·거리는 압록강·803㎞ 두만강·547·8㎞ 한강·481.7㎞ 낙동강·525㎞ 대동강·450.3㎞ 금강·401㎞ 청천강·199㎞ 임진강·272.4㎞ 섬진강·212.3㎞ 예성강·187.4㎞ 입니다. 여기에서 뻗어나가는 지맥(支脈)·기맥(岐脈)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산경표의 기본은 첫째 모든 산줄기 산맥은 큰 강과 내(川) 그리고 골의 분수령으로서 그 하나 하나의 경계선인 분수령입니다. 둘째 산줄기의 시작과 끝남의 지점이 명확합니다. 따라서 정맥의 시작은 특정한 산이고, 그 끝남은 대체로 강 하구의 해안선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셋째 물줄기를 경계한 산맥이므로 지도 상에서 전국토의 지형지세를 보다 쉽게 읽고 활용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수계 중심으로 발달된 도시 형성과 그 생활권역을 그 유역과 함께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골짜기까지의 수계 파악도 용이하게 하여 생활과 직결되게 하였으며, 가장 중요했던 내륙 산골까지의 조운 영역도 쉽게 파악토록 하였던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나라 산줄기 산맥의 개념은 인간주의를 기본으로 한 자연지리를 바탕에 둔 것으로 그 땅과 더불어 살아 온 그 땅 사람들의 지리관인 지리심성 (地理心性 Geomentality)에 기본한 것입니다.
우리가 배워온 산맥의 이름들은 장백·마천령·함령·낭림·강남·적유령·묘향·언진·멸악·마식령·태백·추가령(구조곡)·광주·차령·소백·노령산맥 등인데 이 산맥들은 1903년 일본의 지질학자 고토 분지로가 발표한 '조선의 산악론'에 기초를 두고 일본인 지리학자 야스 소에이가 재집필한 '한국지리'라는 교과서에서 기인된 것입니다. (이우형의 '우리 땅의 물줄기를 가른 산줄기' 중에서)
간악한 일본인들이 우리나라 산 정상의 정수리에 신주로 만든 못 침을 박아 놓았습니다. 우리나라 산줄기 산맥의 혈을 끊어버리고자 했던 것입니다. 식당업을 하는 백태흠옹께서 북한산 노적봉의 화강암 정수리 속에 끄트머리가 보일락 말락 한 직경 4센티의 철침을 1년 넘게 주말마다 올라가 바위 손상을 피하기 위해 끌로 철주 주변만 둥글게 파서 무려 140cm나 되는 신주를 끄집어냈습니다. 지리산에 위치한 법계사에는 천왕봉 정상에서 뽑아낸 장정 어깨보다 더 큰 쇠말뚝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남북 공동으로 DMZ지역에서 지뢰 색출 제거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만 쇠말뚝 색출 제거 작업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는 소식은 더 이상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통한의 흉터를 없애는 일들 우리 전래의 산경표를 제대로 교육시키는 일들이 후대로 넘어가고 있는 현실이 부끄러울 뿐입니다. 어느 사대파 역사 학자의 수제자가 바로 그 스승의 사관을 따르지 않고 새로운 민족 사관을 정립 설파한 사례처럼 자랑스런 후손들이 태어나서 선조들이 못다 이룩한 이 같은 부끄러운 과업들이 부디부디 성취되기를 소망합니다.
이 책을 마치면서 문득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과연 내 걸음걸이로 15개 산줄기 마루금을 전부 밟으려면 몇날 며칠이 걸릴까. 한번 추산을 해보았습니다. 내 나이 65세이던 2018년 4월 20일 백두대간 구간 비재에서 속리산 기슭 도하리까지의 GPS eXplorist 310의 기록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당시 기록은 하루 동안 13.9㎞의 마루금을 휴식시간 포함해서 평균 속도 1.5㎞/h로 10시간 37분 동안 걸었습니다. 물론 구간에 따라서는 이동시간이 산행시간보다 더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하튼 이 기록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 백두대간은 120일이 소요됩니다. 장백정간은 27일, 낙남정맥은 17일, 청북정맥은 37일, 청남정맥은 26일, 해서정맥은 34일, 임진북예성남정맥은 12일, 한북정맥은 17일, 낙동정맥은 31일, 한남금북정맥은 12일, 한남정맥은 13일, 금북정맥은 32일, 금남호남정맥은 6일, 금남정맥은 10일, 호남정맥은 33일 소요됩니다. 합쳐보니 15개 산줄기의 추산 소요일이 427일 입니다. 14일 두 주에 한 구간을 주행할 경우 완주하는데 16년 5개월이 걸린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나에게는 평생 과업이 될 수도 없는 엄청난 기간인 것 같습니다. 요즈음 보도에 의하면 에베레스트 정상 데드존 외길에서 병목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기에 외줄을 잡고 대기하고 있다가 내려오는 사람들이 다 내려온 후에야 올라갈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말그대로 데드존에서 기력이 소진되어 숨을 거두는 이들도 속출하고 있답니다. 반면 우리 나라 산줄기는 이렇게 붐비지는 않습니다. 마루금에서 인간들을 전혀 마주치지 않은 날들도 많습니다.
산을 찾으면 행복합니다. 산을 찾으면 사랑이 쌓입니다. 굳이 15개 산줄기 마루금이 아니어도 상관없습니다. 산행길에 나서서 들머리에 들어서게 되면 산자분수령의 이치에 의해 백두산이나 지리산의 정기뿐아니라 우리나라 모든 산줄기의 정기와 이어지게 됩니다. 산행을 마치고 날머리를 벗어날 때면 입산수도를 마치고 환속하는 마음처럼 아름다운 삶 이어가기를 축원합니다.Ω

작가 소개

오다ODA대표
단국대 행정법무대학원 초빙교수
1954년 무안태생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국내여행 베스트더보기

  • 리얼 국내여행 2025~2026 (배나영)
  •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2 (허영만, TV조선 〈식객 허영만의 백반)
  • 전국일주 가이드북 (2025-2026) (유철상, 김충식)
  • 전철로 떠나는 테마여행 (박민정, 이요석)
  • 에이든 우리나라 전국 여행지도 2025-2026 (이정기, 타블라라사 편집팀)
  • 52주 여행, 마침내 완벽한 경상도 489 (이경화)
  • 한국여행 가이드북 (양지은)
  • 52주 여행, 초록이 꽃피는 충청도 532 (김보현, 김건우)
  • 52주 여행, 우리가 몰랐던 강원도 408 (김수린, 김지영)
  •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허영만, TV조선 〈식객 허영만의 백반)
  •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서울 편> (허영만, TV조선 〈식객 허영만의 백반)
  • 52주 여행, 숨쉬고 물드는 제주도 531 (현치훈, 강효진)
  • 52주 여행, 남몰래 아껴둔 서울경기 255 (김미경, 손준우)
  • 원코스 서울001 서울한글길 (조명화)
  • 올드독의 맛있는 제주일기 (정우열)
  • 개정판 | 국내여행 버킷리스트 101(경상도) (최미선, 신석교)
  • 개정판 | 국내여행 버킷리스트 101(충청도) (최미선, 신석교)
  • 개정판 | 국내여행 버킷리스트 101(강원도) (최미선, 신석교)
  • 개정판 | 국내여행 버킷리스트 101(경기도) (최미선, 신석교)
  • 개정판 | 국내여행 버킷리스트 101(서울) (최미선, 신석교)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