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 미 바이 유어 네임」 감독 루카 구아다니노 연출,
대니얼 크레이그 주연 영화의 원작!
길 위의 문학, 비트 세대의 대표 작가 윌리엄 S. 버로스가
자신의 의식을 파헤치고 해부하며 써 내려간
고독과 갈망의 이야기
잭 케루악, 앨런 긴스버그와 함께 1950년대 비트 세대(Beat generation)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윌리엄 S. 버로스의 두 번째 장편소설 『퀴어』가 민음사에서 세계문학전집으로 출간되었다. 2차 세계 대전 후 1950년대 중반에 샌프란시스코와 뉴욕을 중심으로 대두된 보헤미안적인 문학, 예술가 그룹인 비트 세대는 1960년대에 등장할 히피 세대들과 그 이후로도 이어질 미국의 ‘서브컬처’ 탐구에 깊은 영향을 남겼다.
■ 2차 대전 승전국이 된 막강한 제국 미국,
그 위선적 가치와 윤리에 맞서다
윌리엄 S. 버로스는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1936년 하버드 대학을 졸업한 후엔 유럽을 방랑하고, 사설 탐정, 해충 구제업자, 바텐더, 신문기자 등 여러 직업을 전전했다. 그는 뉴욕에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케루악, 긴스버그 등과 함께 자기 파멸적인 자유를 극단으로 추구하는 삶에 빠져들기 시작한다. 2차 대전에서 승전국이 된 1950년대 미국은 자신만만한 제국이었고. 전 국민이 부(富)로 향하는 고속도로 위에 올라탄 거나 다름없는 분위기였으며, 모두에게 건전한 중산층의 삶이 강제되었다. 비트 세대 작가들은 이런 위선적인 가치관에 맞서서 마약과 알코올을 탐닉하고, 뮤지션들과 교류하며, 동성애자들이 모이는 클럽을 드나드는 등 뉴욕 뒷골목의 서브컬처 세계를 탐방했다.
그 중에서도 윌리엄 버로스는 냉소적이며 드라이하면서도 유머러스한 문체로 자전적 인물인 주인공 ‘윌리엄 리’와 그를 둘러싼 인물들의 묘사, 그리고 그들이 몸담았던 세계를 깊숙이 탐구하는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잇단 사건사고에 휘말리게 되었고, 이런 위급한 상황에서 벗어나고 동성애와 마약 중독을 다스리고자 1950년에 미국을 떠나 여러 나라를 방황하기 시작했다. 그가 『퀴어』의 배경인 멕시코시티와 남미로 간 이유도 그래서였다.
버로스의 데뷔작인 『정키 : 회복되지 못한 마약 중독자의 고백』은 1953년에 출간되면서 첫 해에만 11만 부가 팔리는 베스트셀러가 된다. 이후 발표한 『네이키드 런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걸작이자 비트 세대 문학 최고의 작품으로 꼽히는데, 『정키』와 『네이키드 런치』에서 소설 속 화자로 등장하는 ‘윌리엄 리’는 마찬가지로 『퀴어』에도 등장한다. 『퀴어』는 사실 『정키』에 이어 버로스가 두 번째로 집필한 작품이지만, 그가 겪은 개인적 사건과 그 충격으로 인해 책을 써 내고도 출간에는 이르지 못하다가 근 30여 년 후인 1985년에 출간되었다.
■“이 책은 전혀 언급되지 않은, 사실은 애써 피한,
한 사건이 동기가 되어 만들어졌다.
1951년 9월, 내 아내 조앤을 총으로 쏘아 죽게 만든 사고다.”
1950년대 초, 윌리엄 S. 버로스가 자신을 대변하는 인물로 주요 작품에 등장시킨 인물 ‘윌리엄 리’는, 버로스의 첫 작품 『정키』에서 그랬듯이 여전히 마약 중독과 치료의 과정을 오가고 있다. 그는 이국적인 아름다움과 거친 폭력이 공존하는 도시 멕시코시티에 와 있다. 그는 여러 술집을 전전하면서 이곳에 머물고 있는 군인 출신의 미국인 대학생들과 게이들, 술집 주인들과 덧없는 만남을 반복하다가, 아름다운 청년 유진 앨러턴을 만난다.
리는 앨러턴의 관심과 애정을 갈구하지만, 앨러턴은 리를 진지하게 대하지 않는다. 리는 그의 관심을 끌기 위해 더욱 긴 장광설을 늘어 놓고 광대 같은 행동을 일삼는다. 리는 한 가지 이론을 믿고 있다. 남미의 숲속에 있다는 전설적인 환각제 ‘야헤’를 구하면, 이를 통해 텔레파시 능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리는 앨러턴을 끈질기게 설득해서 함께 신비로운 약초 야헤를 찾아 남아메리카 끝으로 여행을 떠난다. 하지만, 천신만고 끝에 기다리고 있는 것은 결국 허무와 파국이다.
소설은 1952년에 쓰였으나 버로스는 1985년에야 비로소 이 작품을 출간한다. 그가 거의 30여 년의 세월 동안 외면했던 이 작품에는 깊은 죄책감과 공포가 도사리고 있다. 버로스는 어느 날 비트 작가들과 함께 뉴욕에 거주하던 시절에 만나서 결혼에 이른 아내 조앤과 떠들썩한 파티를 벌인다. 그러다가 술에 만취해서 이른바 ‘빌헬름 텔 놀이’를 하다가 총기를 잘못 쏘아 조앤을 죽게 한다. 그는 이와 관련된 법적 절차를 밟다가 멕시코시티로 이주하여 자유의 몸이 되고자 했다. 그러나 아내의 죽음, 그리고 그 자신에게 내려진 ‘저주’에 대한 두려움은 떨칠 수가 없었다.
■ 관객을 갈망하며 장광설을 늘어 놓는 광대
『정키』에서 마약에 빠져들면서도 냉정함을 잃지 않았던 윌리엄 리는 『퀴어』에 이르러서 마약 중독과 육체적 갈망, 그리고 기저에 깔린 죄책감과 공포로 인해 감정적 극단으로 치닫는다. 리의 과장된 행동과 언어 이면에는 회한과 외면하고자 하는 심리가 있다. 그는 분명 유진 앨러턴과 사랑에 빠져 있지만, 그 앞에서 늘 괴상하고 과장된 장광설을 늘어놓는다. 그의 행동은 마치 두려움을 떨치기 위해 떠들기로 작정한 광대와도 같다. 그에게 앨러턴은 연인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그의 장광설을 들어줄 ‘관객’이다.
그는 앨러턴과 다른 사람들에게 외면당할까 봐 두려워하며, 앨러턴이 차가운 태도를 보일 때면 깊이 상처 받는다. 버로스는 이 같은 자신의 내면 속 고통과 슬픔을 리의 행동을 빌려 극사실적으로 건조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자기 통찰의 아이러니와 유머, 깊은 파토스로 이어진다. 버로스는 프롤로그를 통해 자신의 집필 계기를 밝히고, 에필로그에는 ‘야헤’를 찾아 떠난 여행이 끝나고 앨러턴을 잃은 아픔을 담았다.
『퀴어』는 버로스 특유의 글쓰기 기법 중 하나인 ‘컷업cutup’이 쓰인 작품으로, 이는 신문 기사나 자신의 글을 오려서 순서를 뒤섞으면서 거기에서 생겨나는 새로운 논리와 이야기로 내용을 전개해 나가는 기법이다. 소설 『퀴어』의 시공간은 작가가 겪었던 일들이 담긴 동시에, 이 같은 기법들을 통해 원래의 의미와 전혀 다른 낯선 맥락을 획득한다. 독자들은 이 같은 이중의 낯섦이 깃든 이국의 공간에서 윌리엄 리와 함께 악몽 같은 여행을 떠나게 된다. 민음사가 펴내는 『퀴어』에는 이처럼 복잡한 창작 배경과 작가의 심리 상태, 조각조각 흩어져 있다가 작가의 취사선택을 통해 이 소설에 들어가게 된 원고들의 운명에 관한 소상한 연구를 다룬 편집자 올리버 해리스의 2009년판 서문이 작품 해설로 수록돼 있다. 이는 버로스가 이끄는 무의식과 운명의 미로 속으로 떠나기에 더없이 적합한, 작품 『퀴어』를 위한 안내문이라고 할 수 있다.
■ 추천의 글
2차 대전 이후 나타난 가장 중요한 작가. 그 환상성과 유머로 인해 나는 살아 있는 모든 작가 중에 그를 가장 존경한다. 혹은 죽은 이들까지도 포함하여._J. G. 밸러드(소설가)
모든 비트닉을 통틀어 윌리엄 버로스는 가장 위험한 작가다. 《롤링 스톤즈》
버로스의 목소리는 단단하고 냉소적이며 혁신적이고 자유롭고 유쾌하고 진지하며 시작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미국적이다._조앤 디디온(작가)
버로스는 저격수다. 극한의 정확함과 함께 두려움을 모르는._헌터 S. 톰슨(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