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면이라는 우주를 탐험한 최초의 항해자, 버지니아 울프
우리는 왜 100년 전 영국 작가의 책을 지금 여기에서 읽어야 하는가. 고전이라는 이름표 때문인가, 아니면 지식인이라는 자기만족을 위해서인가. 버지니아 울프의 글을 펼치기 전에 이런 질문을 먼저 던져볼 필요가 있다. 내 대답은 이렇다. 울프는 문학이라는 도구를 사용해 인간 정신의 가장 깊은 곳, 그 미지의 영토를 탐험한 최초의 항해자이자 가장 뛰어난 지도 제작자이기 때문이다.
울프 이전의 소설들을 생각해보자. 대부분의 작가들은 카메라를 인물 바깥에 설치했다. 그들이 무엇을 하고, 어디에 가고, 누구와 무슨 말을 나누는지 집요하게 따라갔다. 사건과 행동이 서사를 이끌었다. 그런데 울프는 그 카메라를 과감하게 인물의 머릿속으로, 의식의 내부로 돌려버렸다. 이것은 단순한 기법의 전환이 아니라,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었다. 그녀는 물었다. 한 인간의 진짜 삶은 외부의 사건에 있는가, 아니면 내면에서 소용돌이치는 생각과 감각, 기억의 흐름 속에 있는가. 울프의 답은 단호하게 후자였다.
이것이 바로 그녀의 소설이 낯설면서도 동시에 충격적으로 사실적인 이유다. 『댈러웨이 부인』에서 우리는 클라리사 댈러웨이가 파티를 준비하는 하루를 따라간다. 하지만 우리가 보는 것은 장을 보고 꽃을 고르는 행위 자체가 아니다. 그 행위를 하는 동안 그녀의 의식 위로 떠오르는 과거의 연인, 현재의 남편에 대한 애증, 존재의 의미에 대한 섬광 같은 깨달음들이다. 울프는 논리적으로 정돈된 생각이 아닌, 감각과 기억이 뒤섞여 끊임없이 흘러가는 ‘의식의 흐름’ 그 자체를 언어로 붙잡아 우리 눈앞에 펼쳐 보인다. 이것은 지독하게 어려운 문학적 실험이었고, 그녀는 보기 좋게 성공했다.
울프의 위대함은 단지 문학 형식의 혁신에만 머물지 않는다. 그녀는 당대 사회의 가장 예민한 문제들을 정면으로 돌파한 지식인이었다. 그중에서도 페미니즘에 대한 그녀의 통찰은 기념비적이다. 에세이 『자기만의 방』을 보라. "여성이 픽션을 쓰기 위해서는 자기만의 방과 연간 500파운드의 돈이 필요하다." 이 문장은 단순히 경제적 독립을 요구하는 구호가 아니다. 이것은 창조적 정신이 발현되기 위한 최소한의 물질적, 사회적 조건에 대한 가장 날카로운 분석이다. 그녀는 여성에게 재능이 없었던 것이 아니라, 그 재능을 펼칠 ‘방’과 ‘돈’, 즉 사회적 기회와 경제적 자립이 허락되지 않았음을 논리적으로 증명한다. 100년이 지난 지금도 이보다 더 강력한 페미니즘 선언을 찾기란 쉽지 않다.
또한 울프는 제1차 세계대전이 남긴 깊은 상흔을 외면하지 않았다. 『댈러웨이 부인』의 또 다른 축인 셉티머스 스미스는 전쟁의 포화 속에서 정신이 파괴된 젊은이다. 문명과 이성을 자랑하던 사회가 그를 어떻게 외면하고 죽음으로 몰아가는지를 울프는 냉정하게 고발한다. 화려한 파티의 이면에 존재하는 전쟁의 트라우마와 사회적 위선을 병치시키는 그녀의 솜씨는 감탄을 자아낸다. 그녀는 결코 상아탑에 갇힌 작가가 아니었다.
결국 버지니아 울프를 읽는다는 것은 인간의 내면을 탐험하는 여정에 동참하는 일이다. 혼란스러운 세상 속에서 ‘순간의 섬광’ 같은 삶의 의미를 포착하려는 그녀의 처절한 노력을 엿보는 일이며, 여전히 우리를 옥죄는 사회적 편견과 구조에 대해 다시 한번 질문을 던지는 지적인 모험이다. 그녀의 문장은 때로 길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그 파도를 끝까지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우리는 우리 자신의 내면 가장 깊은 곳에 도달해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지금도 울프를 읽어야만 하는 이유다.
작가 프로필
이름: 버지니아 울프 (Virginia Woolf, 1882–1941)
국적: 영국
핵심 요약: 20세기 모더니즘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이자, 문학의 경계를 허문 실험가. 날카로운 지성으로 가부장제 사회를 비판하고 여성의 창조적 독립을 역설한 페미니즘 사상가.
생애와 활동
런던의 저명한 지식인 가문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아버지의 서재에서 방대한 독서를 하며 지적 토양을 쌓았다.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으나, 이는 오히려 그녀가 기존의 교육 시스템의 틀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사유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오빠의 친구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진보적 지식인 및 예술가 모임 ‘블룸즈버리 그룹(Bloomsbury Group)’의 핵심 멤버로 활동하며, 빅토리아 시대의 낡은 관습에 저항하는 자유로운 지적 활동을 펼쳤다. 평생에 걸쳐 심한 우울증과 정신질환에 시달렸는데, 이러한 개인적 고통은 역설적으로 인간 내면의 복잡성과 불안을 누구보다 섬세하게 포착하는 자양분이 되었다. 1941년, 제2차 세계대전의 불안 속에서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주요 작품
『댈러웨이 부인』 (Mrs. Dalloway, 1925): 하루 동안의 의식의 흐름을 통해 전후(戰後) 사회의 불안과 개인의 내면 풍경을 완벽하게 포착한 모더니즘 소설의 걸작.
『등대로』 (To the Lighthouse, 1927): 시간과 기억, 예술과 삶, 관계의 본질을 시적인 문체로 탐구한 자전적 소설. ‘순간’의 의미를 포착하려는 예술가의 고뇌가 빛난다.
『자기만의 방』 (A Room of One's Own, 1929): 여성이 글을 쓰기 위해 필요한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조건을 논증한 페미니즘 비평의 고전. 논리적이면서도 문학적인 설득력이 돋보인다.
『올랜도』 (Orlando, 1928): 수백 년 동안 성별을 바꾸며 살아가는 주인공을 통해 역사, 성, 정체성의 가변성을 탐구한 가장 대담하고 유쾌한 문학적 실험.
『파도』 (The Waves, 1931): 여섯 인물의 독백이 파도처럼 밀려오고 부서지며 삶의 순환을 그려낸, 그녀의 가장 극단적이고 아름다운 형식 실험.
버지니아 울프는 소설의 서사 구조를 ‘사건’ 중심에서 ‘의식’ 중심으로 옮겨온 혁명가다. 그녀는 인간의 정신이야말로 가장 광활한 우주임을 문학을 통해 증명했으며, 여성의 목소리를 문학사의 변방에서 중심으로 가져왔다. 그녀의 작품은 인간 내면이라는 미지의 영토를 탐험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여전히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지도가 되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