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넓은 유라시아를 무대로 펼쳐지는 중세 아시아 사회의 성장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중국, 일본 등 주변 나라와 긴밀한 관계를 맺어 왔다. 교역을 통해 문화를 전하고 수용하는가 하면 피 튀기는 전쟁도 끊이지 않았다. 이들을 비롯해 아시아 여러 나라는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문화를 이룩하고 나라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을까?
《Why? 세계사》 시리즈, 《Why? 동아시아 전통 사회의 발전》 편에서는 중세를 거쳐 근대로 나아가는 아시아 사회의 성장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반도에서 고려 시대가 펼쳐지는 동안 일본에는 최초의 무사 정권인 가마쿠라 막부가 들어섰고 중국 땅에는 금나라가 세워졌으며 북부 고원에서는 다양한 유목민 부족이 세력을 차지하기 위해 싸움을 벌였다.
이 유목민 부족 중 가장 강력한 힘과 기술을 겸비한 지도자가 나타나 순식간에 주변 부족 통합하고 나아가 전 유라시아 대륙의 지배를 넘보니, 그가 바로 정복왕 칭기즈 칸이다. 《Why? 동아시아 전통 사회의 발전》에서는 이처럼 유라시아 대륙을 호령했던 몽골족의 세계 제국 건설부터 그 이후 경제와 문화의 발전을 일군 명·청나라의 성립, 그리고 무사 계급을 중심으로 한 중세 일본의 발전 등 동아시아 전통 사회의 발전상을 자세히 담아냈다.
그뿐만 아니라 인도 무굴 제국의 흥망성쇠 및 동남아시아에 들어선 다양한 왕조들과 이슬람교의 유입 등 다른 아시아 사회의 성숙 과정에 대해서도 폭넓게 다루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중학교 사회 1학년 교과서 10단원, ‘아시아 사회의 발전과 변화’에 수록된 내용이기도 하다.
모든 문화는 교류를 통해 한층 성숙하고 발전할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은 어린이들이 지역 간의 교류를 통해 전통 국가를 형성해 온 아시아 사회의 모습을 보며 오늘날 우리의 모습과 이웃 나라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작가 소개
글/그림 그림나무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는 곳으로, 미래사회를 짊어지고 나갈 어린이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는 교양도서와 학습만화, 실용도서를 기획, 창작하고 있다. 재미있으면서도 유익한 책. 이것이 그림나무가 추구하는 목표이다.
감수 조한욱(역사학자) 서강대학교 사학과에 다니며 서양사에 흥미를 갖기 시작했다. 같은 대학원에 진학하여 역사 이론과 사상사에 대한 관심을 구체화하면서 「막스 베버의 가치 개념」이라는 제목의 석사학위 논문을 썼다. 1980년대 초에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로 유학을 떠나 1991년에 「미슐레의 비코를 위하여」라는 제목의 박사학위 논문을 완성했다. 1992년 한국교원대학교에 부임하여 2019년 퇴임할 때까지 문화사학회 회장을 맡았고 주로 문화사와 관련된 책을 옮기고 집필했다. 옮긴 책으로 미슐레의 『민중』, 비코의 『새로운 학문』, 『자서전』, 피터 게이의 『바이마르 문화』, 로버트 단턴의 『고양이 대학살』, 린 헌트가 편저한 『문화로 본 새로운 역사』, 『포르노그라피의 발명』, 『프랑스 혁명의 가족 로망스』, 로저 샤툭의 『금지된 지식』, 카를로 긴즈부르그의 『마녀와 베난단티의 밤의 전투』, 피터 버크의 『문화사란 무엇인가?』, 로저 에커치의 『잃어버린 밤에 대하여』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 『서양 지성과의 만남』, 『역사에 비친 우리의 초상』 등이 있다.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