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왕', 혹은 '기부왕'으로 불리는 앤드루 카네기는 1835년 11월 25일, 스코틀랜드 던펌린에서 가난한 섬유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윌리엄 카네기는 가내 수공업으로 생계를 꾸려갔는데, 산업 혁명의 여파로 일거리가 모두 끊기자 가족들을 데리고 미국으로 이민을 떠난다. 넉넉하지 않은 형편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의 일을 도와야 했지만, 카네기는 늘 밝고 당당했으며 가족을 생각하는 마음이 누구보다도 깊었다. 방적 공장에서 소년 노동자로 일하던 카네기는 이모부의 추천으로 전신국 전보 배달원이 된다. 학교에 다니지는 못했지만, 전보 배달 일을 하는 틈틈이 소년 노동자들에게 무료 개방된 도서관을 찾아가 책을 읽었으며, 독학으로 모스 부호와 전신기 사용법을 익혀 17세 때는 정식 전신 기사가 된다. 전신 기사로서 뛰어난 실력과 명석한 일 처리로 소문이 자자했던 카네기는 1853년, 펜실베이니아 철도 회사의 감독관 스콧의 제안에 따라 사무원 겸 전신 기사로 철도 회사에서 일하게 된다. 스콧의 신뢰를 얻은 카네기는 철도 회사의 여러 가지 일을 도맡으며 능력을 키우다가 1859년에 스물네 살의 젊은 나이로 피츠버그 지부의 철도 책임자가 된다. 1863년부터는 키스톤 브리지 회사를 차려 철교 건설 사업에 뛰어들었으며 이후 철로 생산과 제철 등 철도와 관련한 다른 분야까지 사업을 확장해 연이어 성공을 거둔다. 그리고 1899년, 마침내 카네기는 자기 소유의 철강 사업체를 하나로 합쳐 미국 최대의 철강 기업인 '카네기 철강 회사'를 세운다. 강철 산업의 지배자로 우뚝 선 것이다. 제철 사업을 시작한 서른두 살에 이미 성공한 사업가의 반열에 오른 카네기는 이때부터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는 계획을 세운다. 그는 도움이 필요한 곳에 자신의 재산을 사용하는 데 전혀 주저함이 없었으며 오히려 부자로서 당연한 의무라고 생각해 평생에 걸쳐 천문학적인 금액을 교육과 문화 분야에 기부한다. 일주일에 1달러 20센트를 받던 소년 노동자에서 강철왕으로,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부유한 기부왕으로 분주한 삶을 살았던 그를 찾아가 보자.
작가 소개
김현재 (지은이)
인진호 (그림) 인기 만화 잡지에 <버스터>와 <비기닝>을 연재했습니다. <마법천자문 단어마법편>, <LIVE 한국사>, <Why?> 시리즈에 참여하였고, 특허청 홍보 만화 등의 작업을 했습니다.
윤재웅 (감수) 동국대학교에 입학하여 미당 서정주(1915~2000) 시인에게 직접 수업을 받은 마지막 세대다. 대학원 박사논문으로 「서정주 시 연구」를 쓴 서정주 전문 연구가이기도 하다. 서정주 시인과 인연을 맺은 지난 40년간 40편 이상의 관련 논문을 발표하고 저서 및 편저를 10종 이상 출간했다. 미당 사후 미당기념사업회 사무총장을 맡아 전라북도 고창의 미당시문학관 전시 설계, 미당문학제 기획, 서울 관악구 남현동 자택(봉산산방) 보존 유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내 미당 기념실인 ‘미당문고’ 개설 사업 등을 주도했다. 2015년 미당 탄생 100주년을 맞아 이남호, 이경철, 전옥란, 최현식과 함께 20권에 이르는 『미당 서정주 전집』(은행나무)의 편찬을 이끌었다. 현재 동국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