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조선의 여성들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역사

조선의 여성들

부자유한 시대에 너무나 비범했던
소장종이책 정가11,000
전자책 정가30%7,700
판매가7,700
조선의 여성들 표지 이미지

조선의 여성들작품 소개

<조선의 여성들> 조선 시대 여성들은 현모양처와 열녀라는 두 단어로 표현할 수 없는 다양한 욕망과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이 책은 그들을 그들로서 이야기하고자 기획되었다. 역사 기록 속에는 적으나마 조선 시대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균열시킬 만한 보석 같은 사람들이 숨어 있다. 사회가 가한 금제와 폭력 속에서 ‘인간’으로서의 자신을 찾기 위해 애쓴 그녀들의 모습은, 현모양처로 덧칠된 신화를 벗겨내고 우리의 그릇된 고정관념을 깨트린다. 시대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주체적 인간으로서 자각하고, 포기하지 않고 열렬히 살았던 여자들, 이 범상치 않은 여자들의 아름다운 약전이 바로 이 책이다.

현모양처, 타자의 시선으로 덧칠된 그 신화를 벗겨내다
근대 이전의 인물들을 떠올려보자.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제도교육을 받으면서 자라온 사람들에게 학교 다닐 때 배웠던 위인 중 기억에 남는 인물이 누구냐고 물어보자. 머릿속에 떠올려 답변할 수 있는 전시대의 역할모델 가운데 혹시 ‘여성’이 있는가? 다시 물어보자. ‘조선 시대의 여성’ 하면 무엇이 떠오르냐고. 현모양처? 열녀? 장희빈? 신사임당? 신사임당이 누구냐고 또 물어볼까? 아마도 십중팔구는 율곡의 어머니라 대답하리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생 동안 수많은 위인들의 이야기를 듣지만, 그 가운데 여성의 역할모델로 회자된 이름은 신사임당, 퀴리 부인, 나이팅게일 정도였다. 나이팅케일은 ‘백의의 천사’, 신사임당은 ‘율곡의 모친, 현모양처’……. 유명세가 오히려 박제시킨 이러한 인식은, 신사임당을 신사임당 그 자체로, 고뇌하고 눈물짓고 욕망하는 한 여자로 바라보는 것을 완강히 막아버린다. 그 닉네임에선 피가 도는 인간의 숨소리를 들을 수 없다.

'그들’의 시대에 태어나 ‘나’로서 당당히 살아갔던 도도한 영혼들의 숨소리
이 책은 ‘위대한 여인들의 열전’도 아니고, ‘조선 시대 여성 생활사’도 아니다. 『이덕일의 여인 열전』이나 『한국사를 바꾼 여성들』 등과는 내용에서나 관점에서나 매우 거리가 있다. 『우리나라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식의 생활사 이야기를 하려는 것도 아니다. 이 책의 시선은, ‘위대한 여성’을 내세워 여성의 우월성을 억지 증명하는 것과 현모양처의 깃발 자리에 근사한 영웅주의를 치켜올리는 것에 반대한다. ‘위대하다’는 수식어는 필연적으로 추상화와 일종의 폭력적인 위압감을 내포하게 된다. 그것은 삶의 구체적인 숨결을 죽이고 그 당사자들을 추상화시킨다. 여성이 사회적인 타자로 젠더화된 세상에서 우리는 그런 위압감에 익숙하다. 우리에게 그런 위압적인 여성이 또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보다 이 책은, 충·효·열이라는 ‘그들’이 만든 도덕률에 억눌려 살아야 했던 사회적 약자였지만 사람다운 품위를 잃지 않고 당당히 ‘나’로서 살아갔던 개별 여성들의 인생을 드러내고자 했다. 제도와 사상과 관습의 개념적 이해로가 아니라, 한 여자가 자기의 삶을 최선을 다해 견디고 살아가고 장악했던 다양한 방식들, 그들에게는 ‘단 한 가지 방법’이었던 그것을 만나고자 했다.

여성 이야기, 이제 자의적으로 윤색된 픽션들을 넘어설 때
사회적으로 여성 담론들이 범람하고, 역사 속의 여성들을 이야기하는 다양한 출판물들도 쏟아져 나오고, 문화인물이나 지역의 인물로 여성이 선정되는 등 다양한 ‘선양’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런 모습을 지켜보면서 한편의 노파심을 접을 수 없다. ‘현모양처’라는 오래된 덧칠이 신사임당이란 여성의 참모습을 빼앗았듯이, 이 정치적 기획들과 출판물들은 여전히 남성적인, 혹은 상업적인 덧칠이 되고 있는 건 아닌가? 그것이 더 중요한 어떤 삶을 가리고 있는 것은 아닌가?



저자 소개

저자 - 박무영, 김경미, 조혜란
한국 고전문학을 전공한 학자들이다. 고전문학 속에서 발견되는 주체적 여성상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고전 여성문학을 공부해왔다. 유교적 가부장제, 군사독재 가부장제 사회에서 ‘그들’에 의해 덧씌워진 조선 여성들의 억압된 이미지들을 벗겨내어 그녀들을 그녀들 자신으로 숨쉬게 하기 위해 이번 작업을 시작했다. 각자의 삶을 최선을 다해 살아갔던 조선 여성들의 숨소리를 살려내는 일에 마음을 다했으며, 사심없이 그녀들을 사랑하고 이해하고 발견하였다.

저자 - 박무영
조선 후기 한시를 전공하고, 다산 정약용의 문학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선 후기 한시 문학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는 한편 여성 한시를 둘러싼 여러 문제들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 『정약용의 시와 사유방식』, 『한국고전 여성작가 연구』(공저), 『뜬세상의 아름다움』 등이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문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저자 - 김경미
조선 시대의 소설론을 전공하고 논문을 썼다. 19세기 문화와 소설론의 관계와 여성 생활사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으며, 요즘 이 둘 사이를 오가며 글을 쓰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 『소설의... 매혹-조선 후기 소설 비평과 소설론』, 『한국의 열녀전』(공역) 등이 있다. 현재 이화여대에서 글쓰기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저자 - 조혜란
고전 문학을 전공했으며, 「삼한습유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선 여성들의 삶의 실상을 밝히는 이른바 고전 여성 문학을 계속 공부하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 『옛 여인들 이야기』, 『19세기 서울의 사랑-절화기담 포의교집』(공역) 등이 있다. 현재 이화여대에서 글쓰기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목차

그녀를 그녀로 존재하게 하라, 신사임당
임금 앞에 서고 싶었던 규방의 부인, 송덕봉
서리 맞은 푸른 연꽃, 허난설헌
여성적 필화 사건의 주인공, 이옥붕
일상의 삶을 역사로 만든 여인, 안동 장씨
생애는 석 자 칼, 마음은 내건 등불, 김호연재
조선 시대의 여성 철학자, 임윤지당
제주에서 금강산을 꿈꾼 여인, 김만덕
시골 색시의 환상과 욕망, 김삼의당
기억으로 자기의 역사를 새긴 보통 여성, 풍양 조씨
남편의 스승이 된 여인, 강정일당
외씨버선발로 금강산을 밞은 남장 처녀, 김금원
바람처럼 살다 간 거리의 예인, 바우덕이
미칠 수 있는 에너지를 지닌 여인, 윤희순


리뷰

구매자 별점

4.7

점수비율
  • 5
  • 4
  • 3
  • 2
  • 1

3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