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장군어미 귀향가 상세페이지

소설 한국소설

장군어미 귀향가

소장종이책 정가8,820
전자책 정가8,820
판매가8,820
장군어미 귀향가 표지 이미지

장군어미 귀향가작품 소개

<장군어미 귀향가> 1800년대 초 조선 말기, 규방가사로 구전돼온 『덴동어미화전가』와
1998년 출간된 『봉순이 언니』에서 모티브를 얻어 두 이야기를 조합한 창작품!
태생의 비극조차 순응하되, 기필코 운명을 넘어서고 마는 ‘장군어미’의 인생역전 이야기!

『장군어미귀향가』는 1800년대 조선 말기, 내방가사(영남지방 부녀자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문학의 한 형태)로 전해오고 있는 『덴동어미화전가』와 1998년 출간된 공지영 소설 『봉순이 언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두 이야기를 조합한 오동명 작가의 창작소설이다. 200년 전 영주지역에서 태어나 네 번 결혼하여 네 남편 모두와 사별하는, 질곡 많은 삶을 살았던 덴동어미(불에 덴 아이의 엄마)와 의붓아버지에게서 도망치면서 이남자 저남자에게 전전하며 비극적 삶의 말로를 예고했던 ‘봉순이 언니’의 삶에서 작가는 단순히 태생의 비극에 순응하는 여인상이 아닌, 기필코 자신의 운명을 넘어서고 마는 인생역전 이야기를 『장군어미귀향가』에서 역동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출판사 서평

《장군어미귀향가》는 조선 말, 여인들 사이에 구전돼온 《덴동어미화전가》와 20세기 말 한 여인의 삶을 그린 《봉순이 언니》의 ‘독후 후 소설’이다.

"많은 사람들이 내 이야기 ‘봉순이’를 읽었다지? 네가 내 허락도 없이 내 이야기를 썼듯, 이제 내가 직접 내 이야기를 써볼란다. 그런데 글 쓰는 기분, 참 요상하다. 너부터 내 이야기를 들어주면 좋겠다. 이제 들어 볼껴? 진짜 내 얘기……."

1800년대 조선 말기, 내방가사(영남지방 부녀자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문학의 한 형태)로 전해오고 있는 《덴동어미화전가》와 1998년 출간된 공지영 소설 《봉순이 언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두 이야기를 조합한 오동명 작가의 창작소설 《장군어미귀향가》가 멘토프레스에서 출간되었다.
200년 전 영주지역에서 태어나 네 번 결혼하여 네 남편 모두와 사별하는, 질곡 많은 삶을 살았던 덴동어미(불에 덴 아이의 엄마)와 의붓아버지에게서 도망치면서 이남자 저남자에게 전전하며 비극적 삶의 말로를 예고했던 ‘봉순이 언니’의 삶에서 작가는 단순히 태생의 비극에 순응하는 여인상이 아닌, 기필코 자신의 운명을 넘어서고 마는 인생역전 이야기를 《장군어미귀향가》에서 역동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작가는 말한다. “200여 년의 차이가 나지만 조선 후기, 태생이 비천했던 덴동어미의 삶이나 1953년 한국동란 후 경제파탄이 난 한국에서 식모살이를 했던 ‘봉순이 언니’의 삶은 별반 다르지 않다. 과거 양반·평민 계급이 아닌, 이제는 자본주의의 꽃인 ‘돈’에 의해 국민의 삶과 계급이 나눠지는, 종 대신 식모의 개념이 생겨났다. 식모란 집안의 온갖 궂은일을 다 봐주는 여인으로, 봉순이 언니가 그 여인 중 한 명이다. 《봉순이 언니》를 읽자마자 어린 시절 겪은 일을 떠올렸고, 봉순이 언니와 같은 식모였지만 다른 삶을 살아갔던 식모살이 여인들도 생각났다. 순간 집주인의 딸이 아닌, 식모 입장에서 다시 각색하여 글을 써보잔 생각을 했고, 여기에 조선 후기 여인들의 기지와 해학이 넘치는 내방가사 《덴동어미화전가》를 가미했다. 덴동어미에 덴동이란 아들이 있듯 장군어미에 장군이란 아들이 있다, 이렇게 글의 골격을 잡아갔다.”
그리하여 책의 부제가 [소설 《봉순이 언니》- ‘봉순이’로 독립선언]인 것이다. 기존 공지영 소설 《봉순이 언니》가 지나치게 작가 개인 시각에 의해서, 즉 가진 자의 입장에서 쓰여졌다면 이 《장군어미귀향가》는 ‘봉순이’ 입장에서 자신을 대변하는 1인칭 화법으로 전개한다. 도입부 〈들어가는 글〉에서 앞으로 전개될 소설의 흥미와 긴장감을 다음과 같이 조성한다. “많은 사람들이 내 이야기 ‘봉순이’를 읽었다지? 네가 내 허락도 없이 내 이야기를 썼듯, 이제 내가 직접 내 이야기를 써볼란다. 그런데 글 쓰는 기분, 참 요상하다. 너부터 내 이야기를 들어주면 좋겠다. 이제 들어 볼껴? 진짜 내 얘기…….”

또한 이야기 전개가 절대 비극이 지닌 속성인 신파조에 머물러 있지 않다. 《덴동어미화전가》에 난만한 해학과 천진한 지혜가 담겨 있듯, 《장군어미귀향가》에도 비극을 넘어선 해학과 천진함이 담겨 있다. 작가는 기존 서사문학이 지닌 넋두리, 한풀이를 뛰어넘는 해학과 신명성을 《장군어미귀향가》에도 불어넣어 주고 있는데, 다음과 같이 예를 들어본다.
노년에 돌아온 고향의 봄/ 까치가 희소식 알라는 봄/ 온 우주 모두가 봄/ 온갖 꽃이 만발한 봄 / 좋을시고 봄 춘자 -《덴동어미화전가》

끝도 없이 물이 솟네/ 두 손 모아 한 바가지/ 삼켜대니 맛도 좋다/ 웃는 네 놈 너도 먹게/ 물맛 한 번 끝내준다. -《장군어미귀향가》 중 〈자라마을 우물가〉

이에 관련해서 저자는 말한다. “조선 후기, 비천한 서민의 삶은 그리 달라질 게 없었고, 평생 구질한 삶이 그들을 붙어다녔다. 하지만 봄날이 오면 아낙들은 진달래꽃으로 전을 부쳐먹으며 ‘화전놀이’를 즐겼다. 서로 제 힘든 삶, 속엣것을 모두 털어놓았다. 세상이 피어나는 봄이기에 가능했다. 이런 견디기 힘든 삶에서도 이를 극복하는 힘이 있었으니 그것은 노래였다. 200년 전엔 ‘화전가’요 그 200년 후인 최근엔 ‘귀향가’라고 말하고 싶다. 《장군어미귀향가》의 가사가 《덴동어미화전가》보다 더 3.4조 4.4조 판소리 운율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생의 마지막, 죽음을 각오하고 열세 살 아들을 데리고 고향으로 향하는 장군어미. ‘자라마을’이란 이름 하나만을 기억하고 찾아가는 고향길. 과연 고향에는 이 미천하기 그지없고 모든 사람들로부터 멸시만 받아온 자신을 기억해줄 사람이 아직도 존재할까. 저자는 말한다. “52여 년 살아온 서울을 떠나와 머물게 된 곳이 전북 남원 오촌리(자라마을)이다. 400여 년 전, 자라가 사라진 바위를 파다가 솟아난 샘물로 인해 척박한 이곳에 사람들이 모여들었고 동네가 생기며 마을이름도 오촌(자라마을)이 되었다는 전설에 주목했다.《덴동어미화전가》처럼 《장군어미귀향가》에서도 ‘귀향’, 이를테면 굳이 운명이나 숙명으로 옭아묶지 않고 ‘귀소에의 본능’에 의하여 삶이 이끌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싶었다. 이 소설은 장군이와 그 엄마가 그 전설(고향)을 찾아가지만, 전설을 잃고 사는 우리 역시 그 전설을 찾아 떠나보는 여행, 바로 우리의 귀향가이다.”
마음을 열고 나를 반겨줄 가족, 이웃이 있는 고향이 아직도 마음속에 존재해 있다면 그는 행복한 사람이다. 《장군어미귀향가》는 자라마을의 전설, 고향을 따라가는 과정속에서 우리가 잊고 있던 ‘귀소에의 본능’을 되살리며 따뜻한 마음의 고향을 찾아 떠나는 우리 모두의 귀향가이다.


저자 프로필

오동명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경희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 경력 국민일보 사진기자
    중앙일보 사진기자
  • 수상 1999년 민주시민 언론상 특별상
    1998년 한국 기자상

2014.11.17.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저 : 오동명

경희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제일기획, 국민일보를 거쳐 중앙일보사에서 사진 기자로 근무했다. 1999년 말 중앙일보 홍석현 사장의 세무비리가 국세청 조사에 의해 밝혀지자 중앙일보는 '언론탄압'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신문의 전면을 할애하다시피하여 정부를 공격할 때 언론의 바른 역할을 강조하는,「언론탄압이라고 주장만하기에 앞서」라는 제하의 대자보를 사내에 붙이고 중앙일보사를 떠났다.

이후 약 7년동안 여기저기의 대학(충남대, 전북대, 제주대 등)을 떠돌며 포토저널과 미디어 및 언론학 등으로 강의를 했다. 지금은 남원의 옛 시골집에서 서당(또바기학당) 같은 걸 고쳐 꾸리고 동네 꼬마녀석들과 책을 같이 읽고 대나무로 필통 등 이것저것 만들며 뒷마당 흙을 손으로 빚어 굽고 또 뒷동산 지리산을 산보하며, 글과 그림에 빠져 산다. 〈또바기학당〉의 이름으로 유튜브에서 유일하게 소통하며 산다.

1998년 한국기자상(출판 부문), 1999년 민주시민언론상(특별상) 등을 수상했고, 저서로는 『찰칵, 기자 오동명의 인물 96가지 이야기』, 『사진으로 세상읽기』, 『바늘구멍 사진기』, 『설마 침팬지보다 못 찍을까』 등이 있고, 한국과 일본에 관한 역사소설 『불멸의 제국』, 그리고 『장군어미귀향가』와 『소원이 성취되는 정원』 등의 소설을 냈다.

목차

● 들어가는 글
● 72―0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