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경이로운 수 이야기 상세페이지

과학 수학

경이로운 수 이야기

소장종이책 정가14,800
전자책 정가30%10,360
판매가10,360
경이로운 수 이야기 표지 이미지

경이로운 수 이야기작품 소개

<경이로운 수 이야기> 매미는 왜 7년, 13년, 17년 주기로 나타날까? 종이 규격의 가로와 세로 비율은 왜 에 가까울까? A4 용지를 몇 번 접으면 달에 갈 수 있는 두께가 나올까? 왜 하루는 24시간, 한 시간은 60분, 1분은 60초일까? 어느 모임에 참석한 사람들 가운데 생일이 겹치는 사람들이 있다는 쪽에 도박을 걸려면, 참석자는 몇 명 이상이어야 할까? 왜 바빌로니아인은 10이 아니라 60에 기초를 둔 자릿값 시스템을 선택했을까? 숫자 13이나 베드로가 잡은 물고기 153마리, 적그리스도의 숫자 666에는 어떤 수학적 속성이 있을까? … 수학의 무한한 매력을 드러내는 경이로운 이야기들.
몇몇 수들이 가진 놀라운 수학적 속성을 통해, 어렵고 힘들게만 느껴지는 수학이 실제로 얼마나 경이롭고 매력적인 학문인지를 보여주는 책. 무엇보다 술술 읽힌다. 그렇다고 깊이가 없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이 책은 원과 면적이 같은 정사각형을 작도하는 법과 같이 수학자들을 오랫동안 괴롭혀온 악명 높은 난제들도 소개한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읽는 데는 덧셈과 뺄셈, 곱셈과 나누기 외에 별다른 수학 지식이 필요하지 않다. 이 정도만 알아도 우리는 원과 면적이 같은 정사각형을 작도하는 것이 왜 불가능한지, 무한이 왜 하나가 아니라 무수히 많이 존재하는지 ‘이해’하게 된다.


출판사 서평

이토록 재미있는 수학이라니!

매미는 왜 7년, 13년, 17년 주기로 나타날까? 종이 규격의 가로와 세로 비율은 왜 에 가까울까? A4 용지를 몇 번 접으면 달에 갈 수 있는 두께가 나올까? 왜 하루는 24시간, 한 시간은 60분, 1분은 60초일까? 어느 모임에 참석한 사람들 가운데 생일이 겹치는 사람들이 있다는 쪽에 도박을 걸려면, 참석자는 몇 명 이상이어야 할까? 왜 바빌로니아인은 10이 아니라 60에 기초를 둔 자릿값 시스템을 선택했을까? 숫자 13이나 베드로가 잡은 물고기 153마리, 적그리스도의 숫자 666에는 어떤 수학적 속성이 있을까? … 수학의 무한한 매력을 드러내는 경이로운 이야기들.
몇몇 수들이 가진 놀라운 수학적 속성을 통해, 어렵고 힘들게만 느껴지는 수학이 실제로 얼마나 경이롭고 매력적인 학문인지를 보여주는 책. 무엇보다 술술 읽힌다. 그렇다고 깊이가 없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이 책은 원과 면적이 같은 정사각형을 작도하는 법과 같이 수학자들을 오랫동안 괴롭혀온 악명 높은 난제들도 소개한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읽는 데는 덧셈과 뺄셈, 곱셈과 나누기 외에 별다른 수학 지식이 필요하지 않다. 이 정도만 알아도 우리는 원과 면적이 같은 정사각형을 작도하는 것이 왜 불가능한지, 무한이 왜 하나가 아니라 무수히 많이 존재하는지 ‘이해’하게 된다.


“3년 동안 일요일마다”

보이텔슈파허는 아무리 어려운 이야기도 쉽고 재미있게 풀어가는 놀라운 재주가 있다. 수학에 흥미를 유발하는 수준이 아니다. 이 책을 읽어나가는 사이 독자들은 금광을 캐듯 학교에서 좀처럼 가르치지 않는 수의 본질적 속성에 눈뜨게 된다. 여러 자연수와 무리수, 소수, 음수, 분수, 소수점, 초월수, 허수, 무한(∞) 등에 관한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 순간 무미건조하게만 보이던 숫자들이 고유한 생명을 얻는다. 비유만은 아니다.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7년, 13년, 17년 등 소수 주기로 세상에 등장하는 매미와 피보나치수열을 해바라기 씨앗의 배열을 보라! 보이텔슈파허의 말마따나, 수는 세상을 여는 열쇠다!
경이로운 것은 수들의 속성만이 아니다. 수의 속성을 찾고자 하는 수학자들의 집념과 인내력도 경이롭다. 이를테면 수학자 구스타프 메르헤스는 이미 가우스에 의해 작도가 가능하다고 증명된 정65,537각형의 작도에 도전한다. 그는 그 일을 10년 만에 해낸다. 그리고 그 과정을 기록해 괴팅겐 대학에 논문으로 제출한다. 이런 논문을 쓴다는 것도 상상하기 어렵지만, 그 논문을 읽어 검증한다는 것도 상상하기 어렵다. “이 과업을 실행한 사람은 아직 없다.” (<65,537: 궤짝 안의 수>)
1903년 10월 31일 수학자 프랭크 넬슨 콜은 강단에 올랐다. 이미 소수가 아님이 증명되었지만 아무도 그 약수가 무엇인지 몰랐던 수 267-1의 약수를 자신이 발견했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였다. 콜은 자리에서 일어나 먼저 왼쪽 칠판으로 가서 칠판 위쪽에 267-1이라고 적고 아무 말 없이 그 값을 칠판 위에 계산해갔다. 그런 다음 또 아무 말 없이 오른쪽 칠판으로 가서 193,707,721과 761,838,257,287을 계산했다. 꼼꼼하고 참을성 있게 계산한 끝에 콜은 왼쪽 칠판에 적혀 있는 수와 똑같은 수를 얻었다. 강연 내내 콜은 침묵했다. 그럼에도 청중은 기립박수로 이 강연에 경의를 표했다. 훗날 그는 그 약수들을 어떻게 찾아냈냐는 질문을 받고 이렇게 대답했다. “3년 동안 일요일마다.” (<267-1: 말 없이>)


왜 음수 곱하기 음수는 양수일까?

이 책은 음수나 , π 등 우리가 그냥 원래 그런 것이라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수들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준다.
먼저 음수. “교수가 강의실 앞에 서 있다. 그는 학생 다섯 명이 강의실에 들어가는 것을 보고 얼마 후에 여섯 명이 나오는 것을 본다. 교수는 생각한다. ‘이제 한 명이 들어가면 강의실이 다시 텅 비겠군.’” 이 수학적 재담은 음수가 그렇게 간단히 취급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님을 은연중에 드러낸다. 수천 년 동안 사람들은 음수를 받아들이기를 꺼렸다.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또 무언가를 뺀다는 것을 상상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1544년 저서 『종합 산술Arithmetica integra』에서 최초로 음수가 존재할 권리를 인정한 수학자 미하엘 슈티펠도 음수를 “터무니없는 수”라고 불렀다.
어려운 질문 하나. 음수 곱하기 음수는 왜 양수인가? 이를테면 (-1) 곱하기 (-1)은 왜 +1인가? 초등학교 저학년도 코웃음 칠 문제이지만, 그 이유를 설명해 보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눈을 동그랗게 뜨며 놀란 표정을 지을 것이다. 이에 대한 납득할 만한 설명은 19세기에 이르러서야 수학자 헤르만 항켈에 의해 이루어졌다. (<-1: 터무니없는 수>)
보이텔슈파허는 이 책에서 플라톤의 대화편 『메논』을 인용하여 가 등장하게 되는 순간을 설명한다. 그러고 나서 가 어째서 무리수인지 유클리드의 증명 방식을 보여준다. 증명 과정을 따라가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경탄이 절로 나온다. 마지막으로 “어떤 종이 전체와 그 종이의 4절지, 8절지, 16절지가 모두 닮은꼴이 되려면, 종이의 규격이 어떠해야 할까”라는 물음의 답에서 는 다시 등장한다. 는 우리의 일상생활 어디에나 있다. A4 용지는 이 아이디어에서 탄생한 것이기 때문이다. (<: 탁월한 무리수>)


π 값 알아내기

π의 근삿값이 3.14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하지만 그 값은 어떻게 구하는가, 라는 질문에 자신 있게 답변할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π의 값은 왜 알아야 할까? 약 6,000년에 혁명적인 발명이 하나 이루어졌다. 바로 바퀴다. 바퀴 덕분에 엄청난 노력을 들여 조금씩 끌어 움직일 수 있었던 짐을 사람들은 수레에 실어 쉽게 옮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바퀴를 제작하려면 그 둘레와 면적을 알아야 한다. 그래야 바퀴 제작에 필요한 재료의 양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그 값을 정확히 계산하고자 할 때 그 문제가 영원히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그 값을 구하려면 지름에 특정한 수를 곱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특정한 수가 바로 π의 값이다. 세계 여러 곳에서 채택된 최초의 근삿값은 π=3이었다. 기원전 1900년에 바빌로니아인은 π= 25/8=3.125를 채택했다. 기원전 1650년 이집트의 린드 파피루스에는 π=(16/9)2≈3.1605가 등장한다. 기원전 4세기에 인도 수학자들은 π=339/108≈3.139를 채택했다.
그러고 나서 우리는 아르키메데스의 놀라운 사고의 전환을 만난다. “아르키메데스(기원전 288-212)의 연구는 수 π를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는 생각을 완전히 추방했다. 그는 이렇게 생각했다. ‘원의 둘레를 알아내기가 어렵다면, 원과 비슷한 다른 도형의 둘레를 알아내는 것을 첫걸음으로 삼자.’ 구체적으로 그는 원 안에 정육면체를 그려 넣었다.” 정육각형의 둘레는 원의 반지름의 6배, 바꿔 말해 지름의 3배이다. 이로부터 π가 3보다 크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르키메데스는 원을 둘러싼 정육각형을 그리고 그 둘레를 계산했는데 그 값은 약 3.46이다. 따라서 π는 부등식 3<π<3.46을 만족시킨다. 아르키메데스는 정육각형에서 멈추지 않고 각의 개수를 계속 두 배로 늘려 정96각형까지 그렸다. 그 값은 3.1408<π<3.14286이다.
이후 π의 근삿값을 더 정확하게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쟁이 시작되었다. 그렇다면 오늘날 π의 값은 어디까지 계산되었을까? π의 값은 1947년에 719자리까지 계산되었고, 1957년에 1만 자리, 1961년에 10만 자리, 1974년에 100만 자리, 1989년에는 10억 자리까지 계산되었다. 그 이후에 어디까지 나아갔는지는 책에서 확인하기 바란다. 그렇게 구한 π 값에는 어떤 실용적인 가치가 있을까? 하나도 없다! 나사가 우주선의 궤도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π의 값은 겨우 15자리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수학자들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런 계산에 매달리는 걸까?



저자 소개

기센 대학교 이산수학 명예교수. 2002년 관람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세계 최초의 수학 박물관 마테마티쿰Mathematikum을 설립해 관장으로 일하고 있다. 수학 교육에 헌신한 공로로 독일과학후원협회의 커뮤니케이터상(2000), 독일 IQ상(2004), 헤센 문화상(2008), 독일 물리학회 자연과학 저널리즘상(2014) 등 많은 상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 『생활 속 수학의 기적』, 『퍼즐로 즐거워지는 사고력 수학』, 『수학 파티』, 『어떻게 비눗방울 안으로 들어갈까?』, 『수의 마법사』, 『포켓 속의 수학』, 『스파게티에서 발견한 수학의 세계』 등이 있다.

목차

서문
1 하나일 수밖에 없어
2 차이를 만들어내는 수
3 최초의 전체
4 방향을 대표하는 수
5 자연을 대표하는 수
6 자연의 형태
7 존재하지 않는 수
8 타협 없는 아름다움
9 따분한 수?
0 무의 상징
10 합리성을 대표하는 수
11 은밀히 활동하는 수
12 전체는 부분들의 합보다 크다
13 야생의 수
14 B+A+C+H
17 가우스 수
21 토끼와 해바라기
23 역설적인 생일의 수
42 모든 질문의 답
60 최선의 수
153 물고기의 수
666 동물의 수
1,001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수
1,679 외계인 탐사를 상징하는 수
1,729 라마누잔 수
65,537 궤짝 안의 수
5,607,249 오팔카 수
267-1 말없이
-1 터무니없는 수
2/3 분할된 수
3.125 간단하지만 천재적인
0.000… 무의 숨결
탁월한 무리수
정육면체 배가하기
φ 황금분할
π 비밀 많은 초월수
e 성장을 대표하는 수
i 수학에 허구를 도입해도 될까?
∞ 모든 것보다 더 큰
그림 출처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