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바로 직통하는 '기술관리 개론'
현직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기술관리>
- 취준생,
- 사회초년생,
- 신입사원,
- 재직자(현직자),
- 실무자를 위한 Basic 업무 개론!
재무 및 회계 파트 분야라면 한번쯤 되짚어 보고,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알고 있으면서도 바로 써먹지 못하고 묵혀 두었던 내 머리 속의 지식을 되찾아 주는 기본서!
기본에 충실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그 자리에서 최고의 전문가의 반열에 오를 수 있다.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만이 최정상으로 가는 지름길임을 반듯이 기억하자!!!
더욱이 신제품의 수명(life cycle)이 급속도로 단축되는 오늘날에 있어서 연구 개발은 기업의 생명이기도 하다.
이 연구 개발은 선진공업국, 특히 미국에서는 기업체 내의 한 중요부소(部所)로 독립하여 관리된다.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나 듀퐁 드 네무르(Dupont de Nemour)와 같은 기업체는 이 연구개발에 대규모의 자본을 투입함으로써 신제품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이런 기술관리가 기업체에 의하여 행해짐은 그것이 기업의 이익과 직접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큰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모든 기업체는 자체의 능력으로 이 활동을 벌일 수는 없고 타기업(他企業)으로부터 특허권을 삼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기도 한다.
특히 이 연구 개발의 문제는 후진국의 경우 심각한 양상을 띠는데, 후진국에서는 선진국에 비해 기술적 격차가 큰 만큼 이를 줄여나가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 나라들에서는 자체의 능력으로 이 갭을 메꿀 수 있는 기술적·재정적 뒷받침이 없기 때문에 선진국과의 기술적 격차는 점점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