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안의 성 상세페이지

안의 성작품 소개

<안의 성> 최찬식의 신소설 《안의 성(雁의 聲)》은 개화기 지식층 젊은이들의 삼각관계를 소재로 자유연애라는 새로운 모럴과 구시대의 반상(班常) 개념 타파를 지향한, 봉건사회에서 근대적인 사회로 바뀌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자유연애와 자유결혼을 주장하는 한편, 기성 사회의 권위인 계급제도 대신에 새로운 지식과 돈의 힘을 새 시대의 권위로 대치시킴으로써 봉건사회가 무너지는 과정과 애정에 대한 새로운 도덕을 제시한 작품이다.

신소설의 문학사적 특징은 일반적으로 문체가 묘사적이란 점이다. 고대소설이 설화체에 그치는 점과 대조를 이룬다. 또 소재 채택과 사건 전개에 있어서 본질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고대소설은 예외 없이 소재를 비현실적인 데에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신소설에서는 그 소재들이 대체로 우리 주변에서 일상 일어나는 것들이다. 그 사건 또한 현실적으로 가능한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신소설이 고대소설보다는 근대소설 쪽에 한 걸음 더 다가섰음을 뜻한다.

학창 시절 국어 시간에 암기하듯 달달 외운 기억이 있는 신소설의 연대기적 개념은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일본에 예속되어 가던 약 15년간의 조선 사회의 황폐한 구조와 당대인의 삶의 양상을 잘 담아낸 서사 양식으로 이인직을 비롯해 이해조, 최찬식, 안국선, 장지연 등 1918년 이광수의 《무정》이 나오기 전까지 창작되거나 발표된 소설들을 한국문학사에서는 ‘신소설’로 분류하고 있다.

이 신소설 작품들은 개화기 수백 년간 지속되어 온 봉건 질서의 해체와 새로운 식민자본주의의 형성기를 배경으로 한 우리나라 개항시대의 시대적 이념을 형상화하는데 가장 야심적이고 대표적인 서사 양식이었다. 그러므로 신소설은 이때 가장 광범위한 독자층을 형성하였다.

최찬식의 신소설 《안의 성(雁의 聲)》은 1912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초판이 발간되었다. 이 소설 역시 15판을 거듭한 《추월색》과 마찬가지로 스토리 전개 방식에서 우연의 연속으로 되어 있으며, 양반과 천인이 결합함으로써 평등사상을 부르짖는다든지, 법학을 공부하여 판사가 된다는 내용은, 당시의 개화사상을 고취하는 소설의 공통된 일면이 있다. 작품의 무대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기성사회의 규범을 무너뜨리는 새로운 지식으로 신시대의 도래를 예견한 작품이다.

본서는 1912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발행한 최찬식의 《안의 성》을 일반 독자들이 국어사전이나 옥편 없이 그대로 줄줄 읽을 수 있도록 고어체 원고를 현대어 가로쓰기 전자책(이펍 2.0) 판형으로 번역한 편역본에다 최초 발표된 《안의 성》초판본을 <책 속의 책> 형태로 삽입한 전자 도서이다. 그러므로 이 전자책 한 권으로 초판본 원본과 현대문 번역본을 대조해 가며 함께 읽을 수 있는 재미와 실리를 구현할 수 있다. ●


저자 소개

저자: 최찬식(崔瓚植)

저자 최찬식(崔瓚植)은 1881년 음력 8월 16일 경기도 하남시 풍산동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찬옥(贊玉), 호는 해동초인(海東樵人) · 동초(東樵). 아버지 최영년(崔永年)은 『제국신문(帝國新聞)』을 발행한 개화기 언론인이었고, 어머니는 청송 심씨(靑松 沈氏)였다.

유소년 시절 경기도 광주 사숙(私塾)에서 한학을 수학하며 성장하다 사서삼경까지 마쳤다. 열세 살 때 갑오경장(1894년)을 만났다. 3년 후인 열여섯 살(1897년) 때 아버지 최영년(崔永年)이 광주에 설립한 시흥학교(時興學校)에 입학해 신학문을 공부하였다. 이후 서울로 올라와 관립한성중학교(官立漢城中學校)에서 수학하였다.

신학문을 공부하면서 문학에 뜻을 두어 1907년에 중국 상해에서 발행한 소설전집 《설부총서(說部叢書)》를 번역한 뒤 우리나라 현대소설의 토대가 된 신소설 창작에 착수하였다.

1910년 잡지 『자선부인회』 편집인과 『신문계(新文界)』 『반도시론(半島時論)』의 기자로 활동하며 장시 <부랑의 경고가>를 발표했고, 단편소설 <종소리>를 발표했다. 중국 소설집 ≪설부총서(說部叢書)≫ 번역을 계기로 시, 소설, 수필, 평론, 번역 등 본격적인 문필활동을 시작하며 중국의 단편소설 <백장홍(百丈紅)>을 국내 문단에 소개하기도 했다.

최찬식은 독실한 불교 신도였다. 이인직, 이해조와 함께 대한제국 시기 우리나라 신소설 3대 작가 중의 한 사람으로 국문학사를 배우는 우리나라 초중고생들은 반드시 한번은 만나야 하는 작가이기도 하다.

1910년 이전에 창작된 그의 신소설 작품들은 다분히 정치적⋅사회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반면, 1910년 이후에 발표된 작품들은 주로 청춘남녀의 애정 문제 및 그와 관련되는 윤리 도덕 문제를 다루고 있어 당시의 많은 독자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그의 소설에 나타나는 신 결혼관과 신 교육관은 전통적 유교 윤리에 눌려 있던 인간의 개성을 옹호하는 자유 평등사상에 기반했다는 점에서 근대지향성으로 주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그의 작품들에서 주장된 신사상이 외면적이고 피상적인 데 그쳐 근대성에 미달했다는 비판과 더불어, 식민지 초기의 물리적이고 억압적인 통치질서가 파생시킨 왜곡된 사회구조 속에서 개인의 행복만을 추구하는 폐쇄적 욕망구조를 표현한 데 불과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그는 이인직, 이해조와 함께 친일파 작가로 《인명사전》에 등재되어 있으나 개화기 한국 신문학 개척에 공헌한 선구자적 열정과 문학적 공적은 부인할 수 없다. 대표작으로 꼽히는 《추월색(秋月色)》(1912)을 비롯하여, 《안(雁)의 성(聲)》(1914), 《금강문(金剛門)》(1914), 《도화원(桃花園)》(1916), 《능라도(綾羅島)》(1919), 《춘몽(春夢)》(1924) 등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는데, 이 같은 작품들은 한결같이 이성 간의 애정 문제를 다룬 것이었다.

말년에는 최익현(崔益鉉)의 실기(實記)를 집필하다 6.25 한국전쟁을 만나 1⋅4 후퇴 당시 신병으로 피난을 가지 못하고 고초를 겪다가 1951년 1월 10일 서울 교외 뚝섬에서 만 70세의 일기로 일생을 마쳤다. 자세한 작품활동은 <최찬식의 일생과 연보>를 참고하기 바란다. (편역자) ●
------------------------------------------------------------------------------------------------------------------------
편역자: 서동익(徐東翼)

소설가. 북한전문가.
편역자 서동익은 1948년 경북 안강(安康)에서 태어나 향리에서 성장기를 보내다 1968년 해군에 지원 입대하여 7년간 현역으로 복무했다. 만기 전역 후, 6.25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 후 남북 관계와 북한 동포들의 삶을 연구해오다 1997년 국가정보대학원을 수료했다.

1976년 중편소설 <갱(坑)>으로 제11회 세대신인문학상을 수상하고 등단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한 <한국현대소설문학의 반쪽현상>과 <왜소성>을 발견, 이를 극복하는 장편소설을 집필하다 북한 동포들의 일상적 라이프스타일과 생활용어 속의 정치용어, 경제용어, 은어 등에 막혀 실패했다. 이후 직장을 대북전문기관인 자유의 소리방송(전문집필위원), 통일부(학술용역), 국방일보(객원논설위원), 인천남동신보(주간 겸 논설위원), 사)북방문제연구소(연구이사 겸 부소장) 등에서 근무하며 30여 년간 북한을 연구해 왔다.

주요 북한연구저서로는 <북에서 사는 모습(북한연구소, 1987)>, <인민이 사는 모습 1, 2권(자료원, 1996)>, <남북한 맞춤법 통일을 위한 사회주의헌법 문장 연구(사단법인 북방문제연구소, 2007)>, <남북한 맞춤법 통일을 위한 조선로동당 규약 문장 연구(북방문제연구소, 2007)> 외 다수 논문이 있다.

문학창작집으로는 서동익 소설집 <갱(坑, 자료원, 1996)>, 장편소설집 <하늘 강냉이 1∼2권(자료원, 2000)>, <청해당의 아침(자료원, 2001)>, <퇴함 1∼2권(메세나, 2003)>, <장군의 여자 1∼2권(메세나, 2010)> 등이 있으며, 장편소설 <청해당의 아침>이 1960년대 한국의 문화원형과 전후세대의 삶을 밀도 있게 묘사한 작품으로 선정되어 2010년 6월 1일부터 한 달간 KBS 라디오 드라마극장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어 국내는 KBS AM 972khz로, 국외는 KBS 한민족방송망을 타고 중국 동북3성 ․ 러시아 연해주 ․ 사할린 ․ 일본 ․ 미국 등지로 방송된 바 있다.

고소설 편역(번역) 작품집으로는 강도몽유록(OLIN, 2013), 달천몽유록(2013), 원생몽유록(2013), 안빙몽유록(2013), 수성궁몽유록(2013), 피생명몽록(2014), 김시습 금오신화_용궁부연록(2015), 남염부주지(2015), 취유부벽정기(2015), 이생규장전(2015), 외 인현왕후전(2015), 계축일기(2015), 최치원전(2015), 조선상고사 제1권, 조선상고사 제2권(2021년) 등이 있다.

그동안의 창작활동으로 <제8회 인천문학상(1996)>, <남동구민상(1996)>, <인천광역시문화상(2004)>, <남동예술인상(2011)> 등을 수상했다. / (편집자) ●

목차

판권 페이지
책머리에
편역자의 말
저자 소개
편역자 소개
안의 성 현대어 국역본
안의 성
작품 해설
작품 해설과 이해
저자 연보
최찬식의 일생과 연보
책 속의 책
1912년 박문서관 발간 초판본 전문 수록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