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괄량이 길들이기(The Taming of the Shrew)'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코미디 작품으로, 고집 센 딸을 길들이려는 아버지와 그 딸의 기상 넘치는 모습을 유쾌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줄거리> 이 작품은 크게 두 가지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이야기는 주인공인 루첸시오가 비앙카를 사랑하게 되면서 시작됩니다. 비앙카의 아버지 바티스타는 맏딸 카타리나가 결혼하기 전까지는 다른 딸의 결혼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까다로운 카타리나 때문에 비앙카의 결혼은 늦춰지고, 루첸시오는 카타리나를 길들일 수 있는 사람과 결혼시키겠다는 바티스타의 제안에 페트루치오라는 남자를 소개받습니다. 페트루치오는 카타리나를 길들이기 위해 일부러 엉뚱한 행동을 하고, 카타리나를 굶기고 잠 못 자게 하는 등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 결국 카타리나는 페트루치오에게 복종하게 되고, 두 사람은 결혼하게 됩니다. <주요 테마> * 여성의 역할: 셰익스피어 시대의 여성관을 반영하며, 여성이 남성에게 순종해야 한다는 당시의 사회적 통념을 보여줍니다. * 사랑과 결혼: 사랑을 통해 변화하는 인간의 모습과 결혼의 의미를 다루고 있습니다. * 사회적 지위와 계급: 사회적 지위와 계급에 따른 차별과 갈등을 보여줍니다. <작품의 특징> * 코미디: 극단적인 상황 설정과 캐릭터들의 행동을 통해 웃음을 자아냅니다. * 풍자: 당시 사회의 여성관과 결혼관을 풍자적으로 비판합니다. * 다층적인 해석: 카타리나의 변화를 단순한 길들이기로 볼 것인지, 자발적인 변화로 볼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합니다.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여성의 역할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으로, 현대 관점에서는 여성 혐오적인 요소가 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이 작품은 다양한 각도에서 해석될 수 있으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저자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영국의 시인, 극작가. 세계 연극사상 최대의 극작가이며, 영국 문학사를 장식하는 대시인이다. 1564년에 태어나 1616년에 타계하였다. '햄릿', '리어왕', '오셀로', '맥베스', '로미오와 줄리엣', '말괄량이 길들이기', '베니스의 상인', '한 여름 밤의 꿈' 등 37편의 희곡과 장시 2편과 54편의 소네트를 썼다. 18세기 이래 영국에서는 '셰익스피어학'이라는 독립된 학문이 발전하여 모든 비평 원리의 선례로 이용되고 있으며, 극단에서는 셰익스피어의 극이 배우의 등용문으로 되어 있다. 셰익스피어의 전 희곡 37편 가운데 거의 절반은 그의 생전에 출판되었다. 그의 예술은 연극이라는 매체를 통해 인간 내면의 세계를 극한까지 추구한 것으로, 시적 표현이 넘치는 최고의 운문과 함께 세계 문학사와 연극사의 텍스트로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