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2014년 생 상세페이지

2014년 생작품 소개

<2014년 생> 2023년 제1회 이영만 연극상 작품상 수상작
“세월호 이후 세월호와 함께 살아가는 법을 알려준 소중한 작품”

애도하고 기억하려는 노력은 어떻게 서로를 연결하는가?
2014년에 태어난 한 존재와 2014년 생존자들의 만남
세월호 참사 10년 그리고 그 너머의 세상을 말하다

모든 것이 무너진 그해, 진실은 가라앉고 애도는 통제당했던 2014년에도 새로운 생명은 곳곳에서 자기만의 세계를 탄생시켰다. 노란 리본으로 가득한 세상에서, 참사 이전과는 너무나도 달라져버린 세상에서 한 2014년생의 삶도 시작됐다. 극작가 겸 연출가 송김경화의 희곡 《2014년 생》은 2014년‘생’ 시원이 2014년 세월호 참사의 ‘생존자’ 언니들(김도연, 김주희)과의 만남을 통해 세월호의 진실을 알아가고, 끊이지 않는 사회적 재난의 원인에 다가가려 노력하며, 모두가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우리가 어떻게 연결되어야 하는지 이야기하는 작품이다. 이 책에는 〈2014년 생〉 원작 희곡 외에도 연극 제작을 함께한 세월호 참사 생존자 김도연, 김주희의 에세이, 인권운동가 미류의 해설이 수록되어 있다.
연극 〈2014년 생〉은 2022년에 초연된 후 ‘아동 청소년의 관점에서 세월호를 다시 바라보고 애도와 무기력을 반복하는 어른들에게 질문을 재구성하는 법을 알려주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2023년 제1회 이영만 연극상에서 작품상을 수상했다. ‘이영만 연극상’은 2014년 세월호 참사로 세상을 떠난 고 이영만(당시 단원고 2학년)의 어머니이자 연극배우인 이미경 씨의 주도로 만들어진 상이다.


출판사 서평

2023년 제1회 이영만 연극상 작품상 수상작, 〈2014년 생〉
“세월호 이후 세월호와 함께 살아가는 법을 알려준 소중한 작품”

애도하고 기억하려는 노력은 어떻게 서로를 연결하는가?

2014년에 태어난 한 존재와 2014년 생존자들의 만남
세월호 참사 10년 그리고 그 너머의 세상을 말하다

모든 것이 무너진 그해, 진실은 가라앉고 애도는 통제당했던 2014년에도 새로운 생명은 곳곳에서 자기만의 세계를 탄생시켰다. 노란 리본으로 가득한 세상에서, 참사 이전과는 너무나도 달라져버린 세상에서 한 2014년생의 삶도 시작됐다. 극작가 겸 연출가 송김경화의 희곡 《2014년 생》은 2014년‘생’ 시원이 2014년 세월호 참사의 ‘생존자’ 언니들(김도연, 김주희)과의 만남을 통해 세월호의 진실을 알아가고, 끊이지 않는 사회적 재난의 원인에 다가가려 노력하며, 모두가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우리가 어떻게 연결되어야 하는지 이야기하는 작품이다. 이 책에는 〈2014년 생〉 원작 희곡 외에도 연극 제작을 함께한 세월호 참사 생존자 김도연, 김주희의 에세이, 인권운동가 미류의 해설이 수록되어 있다.

연극 〈2014년 생〉은 2022년에 초연된 후 ‘아동 청소년의 관점에서 세월호를 다시 바라보고 애도와 무기력을 반복하는 어른들에게 질문을 재구성하는 법을 알려주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2023년 제1회 이영만 연극상에서 작품상을 수상했다. ‘이영만 연극상’은 2014년 세월호 참사로 세상을 떠난 고 이영만(당시 단원고 2학년)의 어머니이자 연극배우인 이미경 씨의 주도로 만들어진 상이다.

부재의 자리에 무엇이 존재했는지 함께 알아가기
세월호 이후에도 계속되는 참사들의 원인에 다가가기

인권운동가 미류는 《2014년 생》의 작품 해설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애도는 슬퍼함이 아니다. 상실을 대면하는 ‘용기 냄’이다. 부재의 자리에 무엇이 존재했는지 함께 알아갈수록 슬퍼할 용기가 난다.”(153쪽) 이 작품은 2014년생인 시원이 ‘생존자’ 언니들을 알게 되고, 언니들과 ‘세월호 참사’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 궁금증을 갖게 되면서 한 편의 연극으로 발전되어나갔다.

단원고 기억교실에서 시원은 함께 간 주희 언니에게 질문했다. “가장 친한 친구는 누구야? 칠판에 언니가 쓴 글씨도 있어? 배는 얼마나 커? 배에서 친구들이랑 뭐 하고 놀았어? 무슨 과자 먹었어? 언니는 세월호 어디에 있었어? 왜 진도에 온 거야? 왜 등대에 노란 리본이 있어? 왜 빨갱이라고 하는 거야?”(46쪽) 그 질문들은 생존자 주희의 말처럼 “그동안 수도 없이 받아왔던 질문들, 원하는 대답을 듣고자 어떤 의도를 가지고 하는 질문이 아닌 오로지 정말 궁금해서 나온”(136쪽) 것이었다. 그렇게 궁금해하고, 용기 내어 질문하고, 진실을 알아갈수록 시원은 언니들의 아픔에 더 깊이 공감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용기 내어 슬퍼할 수 있게 되었다.

시원은 다른 사람이 겪은 아픔과 상실을 애도할 수 있게 된 것에 머무르지 않고, 지금 여기 한국 사회에서 아동 청소년으로서 마주하고 있는 일들에 대해서도 더 궁금해하기로 결심한다. 그래서 세월호 기억공간 지키기 1인 시위를 하고, 이태원 참사 분향소에 가고, 퀴어퍼레이드에 참여하고, 계속되는 스쿨존 어린이 교통사고의 원인과 해결책을 찾기 위해 책을 읽고 공부한다. 이는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끊이지 않는 크고 작은 사회적 재난들, 피해자를 향한 차별과 혐오의 구조적 원인에 다가가려는 어린이 나름의 노력이다. 그러면서 시원은 동물학자 제인 구달의 말을 관객에게 전해준다. “알아야 사랑한다. 사랑해야 돕는다. 도와야 구할 수 있다.”

사람과 이야기와 장소는 어떻게 연결되고 기억되는가
2014년생과 함께 2014년 이후의 세계를 살아내는 법

“사람과 이야기와 장소를 만나지 못할 때 세상의 많은 사건들은 ‘옛날이야기’가 되어간다.”(152쪽) 2014년의 세월호 참사는 이제 ‘옛날이야기’가 되었을까? 《2014년 생》은 2014년에 태어난 한 존재를 통해서 다음 세대, 또 그다음 세대가 ‘세월호의 사람과 이야기와 장소들’을 만나고 서로 연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럼으로써 세월호 참사는 ‘옛날이야기’가 아닌 지금 여기의 이야기로서 새로운 세대에게 전달된다. “지금까지가 2014년에 살아남은 이들이 2014년에 태어난 이에게 세월호 참사를 더 잘 이야기해주기 위한 시간이었다면, 지금부터는 2014년에 태어난 이가 2014년 이후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세월호 참사를 더 잘 이야기해주는 시간”(12쪽)이 되는 것이다.

시원이 생존자 언니들의 이야기를 자신의 친구들과 자기보다 어린 아이들에게 전해주겠다며 연극 무대에 오르기로 마음먹었을 때, 쓸쓸해진 팽목항을 다시 노란 리본으로 가득 채우겠다는 결심을 하고 관객들과 함께 리본을 묶을 때, 노란 리본이 한가득 묶여 있는 끈을 차원 이동의 문으로 삼아 어린이만 사는 안전한 세상으로 떠나겠다는 상상을 할 때, 그 노란 리본은 애도와 기억을 계속하겠다는 새로운 세대의 약속이자 보다 안전한 세상을 만들어가겠다는 모두의 다짐이 된다.

2014년의 생존자 도연은 이렇게 말한다. “저마다의 방법으로, 저마다의 속도로 충분히 애도하고 아파할 수 있도록 우리 사회가 조금 더 너그러이 기다려주면 얼마나 좋을까. 최소한 같은 아픔이 반복되지 않도록 인정하고, 책임지고, 준비하는 사회가 될 수는 없을까. 우리가 말하는 ‘기억’은 그런 차원이다. 우리 모두 그날을 아프게 떠올리며 머무르자는 이야기가 아닌, 2014년 4월 16일을 잊지 않음으로써 미래에는 다시 상처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자는 것이다. 세월호 너머의 가치를 잊지 않고 기억하자는 호소이다.”(146쪽)

《2014년 생》은 뛰어난 구성과 유쾌한 대사들을 통해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장소들은 물론 장애인 지하철 시위 현장, 차들이 빠르게 달리는 어린이보호구역, 기후위기로 폭발 직전에 있는 미래의 지구 등 궁금해하지 않으면, 상상하지 않으면 알지 못할 장소들로 우리를 안내한다. 2014년생의 눈에 비친 세상은 비극적이기만 한가? 세월호 기억공간 지키기 1인 시위를 하러 간 시원은 자신의 경험을 들려준다. “아까 어떤 가족이 지나가다가 다시 돌아보고 ‘수고하세요.’ 하셨다. 근데 나한테는 이렇게 들렸어. ‘고맙습니다.’”(70쪽)

알아가기를 멈추지 않고 상처가 반복되지 않도록 함께할 때 희망은 언제든지 다시 피어난다는 사실을, 《2014년 생》은 보여준다.


저자 프로필

송김경화

  • 경력 극작가
  • 데뷔 2015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희곡 프라메이드Pla-maid
  • 수상 2023년 제1회 이영만 연극상 작품상

2024.04.22.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극작가, 연극 연출가, 가끔 배우. 불평등, 노동, 인권을 주제로 동시대 인간 실존에 질문을 던지고 ‘당사자 관점’을 견지하며 사회 구조에 문제를 제기하는 연극으로 20년간 극장에서 연대해왔다. ‘홈리스야학’ 교사, ‘청소년주거권네트워크 온’ 활동가, 단원고 생존자 모임 ‘돛자리’의 조력자로도 활동하고있다. 2009년 극단 낭만유랑단을 창단했으며,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6기 동인으로 활동했다. 〈프라메이드Pla-maid〉로 2015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 당선되었고, 간호사의 노동을 다룬〈섹스인더시티〉(작/연출)로 2019년 레드어워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을, 〈2014년 생〉(작/연출)으로2023년 제1회 이영만 연극상 작품상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 〈모두에게〉, 〈시소와 그네와 긴줄넘기〉, 〈신의 입자〉, 〈체체파리〉 등이 있다. 2014년에 태어난 이와 함께 세월호 참사 이후의 시간을함께 살아왔고, ‘2014년생’과 ‘2014년의 생존자’가 인연을 맺은 후부터 서로의 안부를 전하고 매년만남을 주선했다. 어느 날 2014년에 태어난 이가 세월호 참사를 물었고, 2014년에 살아남은 이들이답했다. 질문과 대답이 쌓였다. 그렇게 〈2014년 생〉이 만들어졌다


저자 소개

저 : 송김경화
극작가, 연극 연출가, 가끔 배우. 불평등, 노동, 인권을 주제로 동시대 인간 실존에 질문을 던지고 ‘당사자 관점’을 견지하며 사회 구조에 문제를 제기하는 연극으로 20년간 극장에서 연대해왔다. ‘홈리스야학’ 교사, ‘청소년주거권네트워크 온’ 활동가, 단원고 생존자 모임 ‘돛자리’의 조력자로도 활동하고있다. 2009년 극단 낭만유랑단을 창단했으며,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6기 동인으로 활동했다. 〈프라메이드Pla-maid〉로 2015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 당선되었고, 간호사의 노동을 다룬〈섹스인더시티〉(작/연출)로 2019년 레드어워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을, 〈2014년 생〉(작/연출)으로2023년 제1회 이영만 연극상 작품상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 〈모두에게〉, 〈시소와 그네와 긴줄넘기〉, 〈신의 입자〉, 〈체체파리〉 등이 있다. 2014년에 태어난 이와 함께 세월호 참사 이후의 시간을함께 살아왔고, ‘2014년생’과 ‘2014년의 생존자’가 인연을 맺은 후부터 서로의 안부를 전하고 매년만남을 주선했다. 어느 날 2014년에 태어난 이가 세월호 참사를 물었고, 2014년에 살아남은 이들이답했다. 질문과 대답이 쌓였다. 그렇게 〈2014년 생〉이 만들어졌다

목차

작가의 말_ 세월호 이후, 길을 찾아서

2014년 생

에세이
2014년의 생존자가 2014년생을 만나서
- 김주희 (단원고 생존자)

기억과 추억 사이
- 김도연 (단원고 생존자)

해설
2014년에 태어난 한 사회 이야기
- 미류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부록_ 존엄과 안전에 관한 4.16 인권선언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