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Survivors become The strong 경제위기 대응실록 (영문판) 상세페이지

Survivors become The strong 경제위기 대응실록 (영문판)

Truths & Lessons of Asian and Global Economic Crises

  • 관심 1
소장
종이책 정가
24,000원
전자책 정가
40%↓
14,400원
판매가
14,400원
출간 정보
  • 2015.11.25 전자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56.9만 자
  • 9.8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88976339607
UCI
-
* 본 도서는 본문이 모두 외국어(영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도서 이용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Survivors become The strong 경제위기 대응실록 (영문판)

작품 정보

강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자다!
두 번의 경제위기에서 한국은 어떻게 살아남았나?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이 기록한 한국경제 생존기


“한국경제는 시련과 위기 속에 피어난 도전의 역사입니다. 당신은 늘 그 도전의 앞자리에 섰습니다.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때는 기획재정부 장관으로서 한국경제가 위기를 딛고 일어나도록 이끌었습니다. 설득엔 서툴렀지만 포기하거나 돌아가지 않았습니다. 세월은 흐르지만 영혼이 깃든 정책은 남습니다. 당신의 헌신은 오래도록 기억될 것입니다. 때로는 비판하며, 때로는 옹호했던 기자단이 오늘 이 자그마한 감사패를 드립니다.”

저자가 장관에서 물러난 후 몇 년이 지난 2012년 11월 15일, 글로벌금융위기 당시 기획재정부 출입기자단이 저자에게 전달한 감사패의 내용이다. “18년 기자생활을 했는데 지난 1년간 쓴 기사가 과거 17년간 쓴 기사보다 많았다”라는 어느 기자의 말처럼 2008년은 글로벌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수많은 대책들을 쏟아낸 한 해였고, 그 중심에서 저자는 누구보다 무거운 책임을 어깨에 짊어져야 했다. 1997년 재정경제부 차관으로서 아시아금융위기와 싸웠고 2008년 기획재정부 장관으로서 또다시 글로벌경제위기에 맞서야 했던, 어쩌면 유일하게 두 번의 위기 모두를 가장 치열하고 냉혹한 현장에서 온몸으로 겪어낸 저자의 이력은 그 자체로 한국경제가 걸어온 길을 증명한다.
이 책은 한국의 모습을 바꿔놓은 두 위기, 아시아금융위기와 세계경제위기에 관한 흥미 있는 기록으로서, 험난한 파도 사이를 직접 헤쳐 나갔던 관점에서 위기요인의 확산, 격동의 날들, 위기극복을 위한 정치적ㆍ외교적 협상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위기에 부딪혀 한국경제가 어떠한 선택을 했는지, 과연 그 선택은 어떠한 맥락에서 이루어졌는지, 또 어떠한 결과로 이어져왔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The Korean economy is a history of challenge that has blossomed amid hardship and crises. You have always stood at the forefront in facing challenges. During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you led the Korean economy as Minister of Finance to rise from the crisis. You were unskilled at persuasion, but didn’t give up or circumvent. Time passes by, but policies with soul last. Your devotion will be long remembered. We, the press corps who criticized sometimes and defended other times, present you today with this small plaque of appreciation.”

This was what was written on the plaque of appreciation presented to the author on November 15, 2012, several years after retirement from the Minister of Finance post, by the members of the Press Corps at the Ministry of Finance during the time of global financial crisis. As a journalist recalled, "I have worked as a journalist for 18 years, and I have written more articles during this one year than I did for the past 17 years", 2008 was a year marked by a continuous series of numerous countermeasures to overcome the global economic crisis, while the author, in the center of this turmoil, had to bear the heavy burden. The path taken by the author, perhaps one of the only officials to confront two crises in the fierce and harsh field, battling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as Vice Minister of Finance and tackling the 2008 global economic crisis as Minister of Finance, chronicles path that the Korean economy has traveled.
This book provides a gripping record on the two crises, Asian financial crisis and global economic crisis, that have changed and shaped Korea, with detailed first hand accounts on the causes of the crises, turbulent times during the crisis, and political and diplomatic negotiations in the process of tackling the crisis. It is a must read if one wishes to gain a true insight on the Korean economy, decisions that had to be made in times of crises, how decisions were made, and what resulted from such decisions.

ACKNOWLEDGEMENT

The ebb and flow of global liquidity and the associated fluctuations in financial conditions has been a constant backdrop to the global economy following the advent of financial globalization. Many countries and regions have been touched by the ebb and flow of global liquidity but few countries have been affected as much as Korea. It was one of those countries most severely affected by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1998 and it was again at the sharp end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unleashed in 2008 after the bankruptcy of Lehman Brothers.
It was Man-Soo Kang’s fate to be standing at the helm of the ship that was the Korean economy on both occasions, steering the ship through treacherous waters?as the Vice Minister of Finance during the Asian crisis and then as the Finance Minister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having spent the intervening ten years in the political wilderness. In this extraordinary book, Man-Soo Kang has produced a gripping account of the two financial crises that has shaped the modern Korean psyche viewed from the ship’s bridge.
The book details the build-up of vulnerabilities and gives a unique glimpse into the frantic days following the outbreak of crisis and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deals that officials struck to quell the crisis. Throughout the book we are given the sketch of an official with the steely determination to do the right thing, even if it means courting short-term unpopularity.
On a personal note, I had the privilege of serving alongside Man-Soo Kang on the President’s staff in Korea in 2010, and many of the personal traits that I admired and learned from during those times are on display in the pages of the book.
- Hyun Song Shin Economic Adviser and Head of Research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and former Professor of Economics at Princeton University

FORM THE BOOK

“In 2008, foreign media sarcastically described Korea’s economic situation as ‘1997 rewind’, ‘heading for black September’, ‘Asia’s Iceland’, and ‘as risky as Poland’. However, they quickly switched to plaudits the next year when Korea began recovering at the fastest pace in the OECD. Bloomberg ran a column, ‘Hats off to officials in Seoul’ on July, 2009. Financial Times said that Korea was no more a loser, the economy was as big as India’s with a population 20 times larger than Korea’s, and the exports was bigger than that of the UK on February, 2010. On August, 2011, the IMF praised that the Korean government’s fast and decisive measures set a textbook example on how to stimulate an economy in recession.”

“We became stronger and got seven achievements in tackling the 2008 turmoil with the “get-up-and-go” spirit and by turning the crisis into an opportunity. They were; the fastest recovery in the OECD; rise as the world’s seventh largest exporter; the world’s highest R&D investment relative to GDP; switchover to capital exporter; highest credit rating in Asia; transformation into a rule making country; and transition from a recipient to a donor.”

“In this new era, it is increasingly true that the strong don’t always survive but survivors become the strong. Zero interest rates and quantitative easing were phenomenon of a new form of currency war, and we do not know where it is heading. They may be adding fuel to the bubbles that sparked the crisis, deepening the problems even further.”

작가

강만수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45년
학력
1987년 뉴욕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1969년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경력
2013년 한국산업은행 은행장
2013년 산은금융그룹 회장
2009년 대통령실 경제특별보좌관
2011년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위원장
2009년 기획재정부 장관
2005년 제9대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원장
2000년 디지털경제연구소 이사장
1998년 제4대 재정경제원 차관
1997년 제3대 통상산업부 차관
1996년 제14대 관세청 청장
1988년 주미국대사관 재무관
수상
2013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2012년 포브스 최고경영자 대상
2012년 매경이코노미 선정 올해의 CEO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작가의 대표 작품더보기
  • Survivors become The strong 경제위기 대응실록 (영문판) (강만수)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경제일반 베스트더보기

  • AGI, 천사인가 악마인가 (김대식)
  • 돈의 심리학 (모건 하우절)
  • 왜 그들만 부자가 되는가 (필립 바구스, 안드레아스 마르크바르트)
  • 달러는 왜 비트코인을 싫어하는가 (사이페딘 아모스)
  • 머니: 인류의 역사 (데이비드 맥윌리엄스, 황금진)
  • 빅 사이클 (레이 달리오, 조용빈)
  • 세계경제 지각변동 (박종훈)
  • 생각에 관한 생각 (대니얼 카너먼, 이창신)
  • 미치도록 보고 싶었던 돈의 얼굴 (EBS 돈의 얼굴 제작진, 조현영)
  • 2026 트렌드 노트 (박현영, 유지현)
  •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20주년 특별 기념판 (로버트 기요사키, 안진환)
  •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 (앙드레 코스톨라니, 한윤진)
  • 결핍은 우리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센딜 멀레이너선, 엘다 샤퍼)
  • 박곰희 투자법 (박곰희)
  • 자본주의자 선언 (요한 노르베리, 김종현)
  • 이 정도만 알면 되는 경제학 만화 (김상현)
  • 환율의 대전환 (오건영)
  • 나의 두 번째 교과서 × 이진우의 다시 만난 경제 (이진우, EBS제작팀)
  • 박태웅의 AI 강의 2025 (박태웅)
  • ESG와 세상을 읽는 시스템 법칙 (도넬라 H. 메도즈, 김희주)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