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연인, 봄 문학콘서트 ‘만남’(계간 연인 2017 봄호(통권 33호) 발행)
- 우리글과 말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만드는 대한민국 최고의 명품 문학콘서트!
아름다운 우리글과 말로 가슴을 울리는 문학콘서트 ‘행복’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연인 2017년 봄호(통권 33호)를 발행합니다. 항상 새봄처럼 행복이 넘치시길 기원합니다.
특별기획 <특종자료발굴> 이번 호에는 “20년대 운문과 50년대 산문의 시대적 정서”라는 유한근 문학평론가의 해설로『동광(東光)』에 발표되었던 주요한의 미발굴 시조 <새해>(1927년 1월호), 김동명의 미발굴 시 <길손의 노래>(1927년 2월호)와 양주동의 미발굴 시 <근영삼장(近詠三章)>(1927년 2월호)과 『국제신보(國際新報)』에 실린 유치환의 미발굴 산문 4편 <개악(改惡)>(1955년 12월 23일), <비대불가(肥大不可)>(1956년 9월 7일), <9.28과 북진(北進)의 회고(回顧)>(1956년 9월 28일), <민족의 예지(叡智) 세종(世宗) 성군(聖君)>(1956년 10월 10일)과 이영도의 미발굴 산문 <잔치 집 이야기>(1956년 10월 14일)와 <세모(歲暮) 수상(隨想)>(1956년 12월 16일) 등이 나갑니다.
특집으로 <독도시·한국독도문인협회>(홍찬선 이태경 한나라 김종해 정용현 이제희 이경상 김경원 박귀자 김성훈 박금자 정택명 윤정미 김시화 최경미)를 비롯하여 이번 호 새롭게 시작하는 특집 코너들로 <정유지 시인의 조선왕릉 시조기행 1>(<건원릉> 외 9편), <김석호 시인의 한시 감상 오솔길 산책 1>(<새봄맞이 옛 향수를 찾는 나비> 외 3편), <서경숙 시인의 이 계절의 시(<세상을 맑히고, 따스하게 데울 김연대 시인>), <마진수 시인의 에로스 읽기 1>(<에로하십니까?>), <진성호 기자의 대안공동체 탐방기 1(<질문하며 찾아가는 공동체>), <키워드로 읽는 서브컬처>(이석근 <일베충 이야기>) 등이 나갑니다. 많은 성원과 관심 바랍니다.
김현옥 여행기고가 <자스민의 터키 여행 3> ‘말마라 지역-이스탄불 2’와 미국의 <이영묵 작가의 미얀마 기행 1> ‘바간’으로 함께 떠납니다. 즐겁고 유익한 여행 되시기 바랍니다.
우리 아동문학의 현실을 진단하고 숨은 작가를 집중조명 발굴하여 작가와 작품을 직접 만나는 자리, 기획특집 <문학평론가 유창근 박사의 꿈과 동심의 세계> 5회째로 ‘동시인 엄승희’의 <눈물> 외 9편의 작품을 집중 조명합니다. 아울러 유창근 박사의 ‘지상 동시 창작특강 5’ 또한 많은 참여와 관심 바랍니다.
유기흥 시인의 세상사는 이야기 <세상 토렴> ‘변화를 꿈꾸는 자의 향기-이발소’, 내과의사이며 시인인 김세영 선생의 <김세영의 포토필> ‘꽃잎 산채비빔밥’ 외 2편이, <동네의사 우영춘 박사의 의가(醫家) 산책> ‘세렌디피티 법칙’ 외 2편이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시대를 반영하는 문자화된 우리글과 말들의 발굴, 재조명함으로써 글과 말의 역사성과 문화사적 의미를 찾아가는 기획특집 <글글말말>은 ‘tvN 드라마 <도깨비> 명대사’, ‘<독도는 한국 땅> 19세기 일본 교과서 발견’, ‘남편과 대통령의 공통점/아내와 국회의원의 공통점’ 등으로 꾸몄습니다.
연인 신인문학상 작품공모 시 부문 이인순(<산막이 옛길> 외 4편) 씨와 시조 부문 박진숙(<신 정몽주론> 외 4편) 씨가 당선되었습니다. 당선을 축하드리며, 더욱더 큰 문운과 축복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