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최상명

    최상명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63년 12월 13일
  • 학력 2011년 한신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2008년 한신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석사
    1989년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 경력 우석대학교 김근태민주주의연구소 소장
    우석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 링크 블로그

2015.01.06.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정치학 박사. 김근태 민주주의 연구소 소장. 한반도재단(이사장 인재근) 사무총장
우석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학생운동 시절 김근태 당시 민청련(민주화운동청년연합) 의장과 조우한다. 온화하고 따듯하면서도 논리 전개에 있어서는 예리했던 운동권 선배의 정세 분석에 대한 강론을 듣고 감동한다.
1989년 대학 졸업 후 직장생활을 하던 중에 민주동문회를 결성하여 시민사회단체 등과 사회활동을 전개한다.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신자유주의가 개혁의 이름으로 국민들을 현혹할 때 김근태를 찾아간다. 그리고 같은 고민을 하고 있던 김근태와 반신자유주의 전선확대를 위해 함께할 것을 결심한다. 이후 김근태가 세상과 이별할 때까지 지근거리에서 신자유주의 대안의 정책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학구파 김근태와 호흡을 같이했던 두 사람의 토론학습은 김근태의 미발표 국민제안문에 이르기까지 10여 년간 지속되었다.

신자유주의 대안을 설계하기 위해 2009년 여름, 김근태와 함께 ‘동인모임’을 결성한다. 정치인, 언론인, 학자, 전문가 등이 참석한 이 스터디 모임은 김근태 의장이 서거하기 직전 10월까지 계속되었다.

2007년 김근태는 대선후보를 사퇴하고 대통합을 위해 매진한다. 그해 민주진영은 대선에서 패배한다. 2008년 4월 김근태는 총선에서 낙선한다. 김근태의 시련이 이어진 것이다. 김근태는 그때부터 민주정부 10년에 대한 성찰과 동시에 반보수, 반신자유주의의 깃발을 새로 세우는 작업을 시작한다. 이때 한반도재단 기획회의와 동인연구모임 등을 함께하며 김근태의 인간적 고뇌와 정치적 사건의 뒷이야기를 알게 된다. 그간 ‘정치지도자 김근태’를 따르던 후배에서 김근태의 철학과 사상, 인간적인 면모를 기록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김근태가 세상을 떠나기 20일 전 김근태의 딸 병민의 결혼식이 있었다. 가족들 모두가 결혼식장에 가고 혼자 병실의 김근태를 지키고 있었다. 그때 우연히 인재근의 메모를 발견한다. 메모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고난의 역사를 기록하고 가르치라. 구약 레위기”. 오전 10시쯤 김근태가 순간적으로 의식이 돌아왔다. 기뻤다. 반가워 핸드폰으로 셀카를 찍었다. 김근태는 카메라를 응시했다. 잠시 후 김근태는 다시 깊은 수면에 들어갔다. 그렇게 김근태의 마지막 의식과 교감한 순간 김근태를 기록하는 일이 숙명으로 다가왔다.

<하나가 되지 못하면 이길 수 없습니다>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