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고지현

    고지현 프로필

  • 학력 브레멘 대학교 철학과 박사
  • 경력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2021.11.10.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독일 브레멘 대학 철학과에서 발터 벤야민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과학기술대 강사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꿈과 깨어나기: 발터 벤야민 파사주 프로젝트의 역사이론』이 있고, 벤야민 관련 다수의 논문들이 있다. 공저서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포스트모던의 테제들』 『현대 페미니즘의 테제들』 등이 있으며, 공역서로 『베스텐트 2012』 『베스텐트 2013/1』 『베스텐트 2014』 『베스텐트 2015』 『대탈주: 베스텐트 한국판 5호』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베스텐트 한국판 7호』 등이 있다./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롤스와 왈저의 정치철학을 비교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 상허교양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비판적 사고와 윤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공저서로 『윤리학과 그 응용』 『처음 읽는 윤리학』 『현대 정치철학의 테제들』 『현대 페미니즘의 테제들』 등이 있으며, 역서로 『해석과 사회비판』 『공동체주의와 공공성』(공역) 『도덕철학사 강의』 등이 있다./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을 거쳐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 철학과에서 악셀 호네트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여대 교양대학 현대철학 담당 교수로 재직 중이며 『베스텐트』 한국판 책임편집자를 맡고 있다. 저서로 『미셸 푸코의 비판적 존재론』 『인정의 시대』, 공저서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포스트모던의 테제들』 『현대 정치철학의 테제들』 『현대 페미니즘의 테제들』 등이 있으며, 역서로 『정의의 타자』 『인정투쟁』 『분배냐, 인정이냐?』(이상 공역) 『사회주의 재발명』 등이 있다./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공과대학 과학·기술·철학과에서 인지문화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서울대 기초교육원에서 교양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저서로 『행동지식』 『김광석과 철학하기』 『다시 민주주의다』(공저)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언어폭력」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동성애혐오」 등이 있다./연세대 철학과와 동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철학과에서 스피노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황해문화』 편집위원으로 있다. 저서로 『을의 민주주의』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공저서로 『알튀세르 효과』 『스피노자의 귀환』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등이 있으며, 역서로 『헤겔 또는 스피노자』 『법의 힘』 『스피노자와 정치』 『마르크스의 유령들』 『우리, 유럽의 시민들?』 『정치체에 대한 권리』 『폭력과 시민다움』 『쟁론』 『불화』 『알튀세르의 정치철학 강의』 등이 있다./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데카르트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크리스토프 멘케 교수의 지도 아래 「주체성과 예술: 헤겔과 니체에 따른 근대의 구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산업기술대 지식융합학부에서 교육전담교원으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 『데카르트』 『뉴레프트리뷰 3』(공역)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칸트의 존경 이론에서 주관적 전회와 존경의 절취」 「헤겔의 역사철학적 비극관」 「정신의 도야」 「선택의지의 자유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지식의 의지’ 개념 분석을 중심으로 한 푸코와 니체의 사상적 관계에 대한 고찰」 등이 있다./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철학과에서 헤겔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악셀 호네트 교수의 지도 아래 「인륜적 자유의 변증법: 헤겔과 그의 선행자들 간의 논쟁」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 『뉴레프트리뷰 1』(공역) 『비규정성의 고통』이 있으며, 논문으로 「피히테의 『자연법의 토대』에서의 상호인정의 근본이념」 「칸트의 도덕적 자율성으로부터 헤겔의 인륜적 자율성으로」 「헤겔의 인륜성 이론에서 “순수한 자기사유”」 등이 있다./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리처드 로티 교수의 지도를 받아 박사 후 과정을 마쳤다. 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리처드 로티』 『실용주의』 『아이러니스트의 사적인 진리』 『사회 철학』 『현대 정치철학의 테제들』(공저) 『로티의 철학과 아이러니』(공저) 『리처드 로티, 우연성ㆍ아이러니ㆍ연대성』 등이 있으며, 역서로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공역) 『철학의 재구성』 『공공성과 그 문제들』(공역) 등이 있다./인하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남대 통일문제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The liberal acceptance of Hegel: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Hegelian Philosophy in 19th Century Britain」 「영장류의 사회적 행위를 통한 ‘정의(justice)’의 기원에 관한 연구」 「포스트데모스(Postdemos): 새로운 정치적 주체의 가능성」 등 다수가 있으며 현재는 ‘위기시대의 정치철학’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서울시립대 철학과에서 마르크스의 물신주의와 이데올로기 개념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독일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아도르노의 정치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충북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아우구스티누스, 맑스, 벤야민. 역사철학과 세속화에 관한 성찰』, 공저서로 『현대 정치철학의 네 가지 흐름』 『비판적 사고』 『아도르노와의 만남』 등이 있으며, 역서로 『공동체의 이론들』(공역) 『아도르노, 사유의 모티브들』 등이 있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저자 소개

고지현 작품 총 4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