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김채원

    김채원 프로필

  • 학력 네바다주립대학교 호텔경영학과 졸업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
  • 경력 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 근무

2022.03.25.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 : 주디스 휴먼
1947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났다. 생후 18개월에 겪은 소아마비로 인해 휠체어를 탄다. 휠체어를 탄다는 이유로 다섯 살에 학교 입학을 거부당하면서 장애인의 권리를 위한 긴 투쟁을 시작한다. 1970년 장애를 이유로 교사 면허를 불허한 뉴욕시 교육위원회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교사 면허를 취득했고, 1972년 장애인 시민권 단체 동료들과 닉슨 대통령의 재활법 개정안 서명 거부에 항의하며 맨해튼 매디슨 애비뉴의 차선을 점거했다. 1977년 재활법 504조 시행 규정에 서명하지 않는 보건교육복지부 장관에 항의하며 100명이 넘는 장애 동료들과 샌프란시스코 연방 정부 건물을 24일간 점거한 끝에 서명을 이끌어냈다. 1980년 에드 로버츠, 조앤 리언과 함께 세계장애인기구를 설립하고, 1990년 미국장애인법이 제정되기까지 투쟁의 최전선에 섰다. 1993~2001년 클린턴 행정부의 특수교육 및 재활 서비스국 차관보, 2002~2006년 세계은행 최초의 장애와 개발 자문위원, 2010~2017년 오바마 행정부의 국제 장애인 인권에 관한 특별 보좌관으로 일하며 세계 장애 운동의 리더로 활약했다. 2020년 이 모든 투쟁을 함께한 주디스 휴먼과 장애 동료들의 이야기를 다룬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크립 캠프〉가 공개되었다.

저 : 크리스틴 조이너
사람들이 세상을 보는 방식을 바꾸는 이야기를 쓰는 작가이자 활동가이다. 『스탠퍼드 소셜 이노베이션 리뷰』를 비롯해 수많은 매체에 배제, 불평등, 사회 변화에 관한 글을 실었다.

역 : 김채원
미국 네바다주립대학교 호텔경영학과,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근무했다. 발달장애인을 위한 ‘사람중심계획’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역 : 문영민
서울대학교에서 화학과 사회복지학을 전공했다. 장애인의 생애사와 장애 운동사의 상호 작용에 관심이 있고, 장애인 건강에 관한 생애사 연구로 박사학위 논문을 쓰고 있다.

<나는, 휴먼>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