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김은주

2023.03.21.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지냈으며, 현재는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영국경험론 연구』(서광사, 1999), 『논쟁과 철학』(공저,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7), 『마음과 철학』(공저,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신일철, 그의 철학과 삶』(공저,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서양근대교육철학』(공저,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21)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F. 코플스톤의 『영국경험론』(서광사, 1991), G. 버클리의 『새로운 시각이론에 관한 시론』(아카넷, 2009), J. 로크의 『인간지성론』(공역, 한길사, 2014)이 있다./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니체에 관한 연구로 동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고려대, 순천향대, 대진대학교 등에서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공저로는 『혐오를 넘어 관용으로』(2019, 서광사)가 있고, 역서로는 『니체의 『비극의 탄생』 입문』(2012, 서광사)이 있다./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주로 고려대와 강원대에서 철학사 및 윤리학 관련 강의를 하며, 철학서의 번역에도 큰 관심을 갖고 계속 여러 책들을 번역 중이다. 대표적인 번역서로는 로버트 L. 애링턴의 『서양 윤리학사』(서광사, 2003), 앤서니 케니의 『고대철학』, 『중세철학』, 『근대철학』(서광사, 2008, 2010, 2014), 헨리 R. 웨스트의 『밀의 『공리주의』 입문』(서광사, 2015), 폴 켈리의 『로크의 『통치론』 입문』(서광사, 2018) 등이 있다./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헤겔 논리학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철학과에서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헤겔과 딜타이에서 전체와 부분의 순환 구조와 개별성 개념?이 있고, 저서로 『철학의 시선으로 본 갈등과 소통』(공저)이 있다./서울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스피노자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12년 프링스 리옹고등사범학교(Ecole Normale Superieure de Lyon)에서 상상을 산출하는 인과성과 상상이 만들어내는 인과성을 중심으로 스피노자의 인과성 개념을 다루는 논문을 써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피노자를 중심으로 데카르트와 홉스 등 17세기 철학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면서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자크 라캉 등 현대 프랑스 철학을 함께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와 단국대 등에서 시간강사, 한양대에서 박사후연구원 및 학술연구교수롤 거쳐, 현재 국립부경대 교양교육원 교수로 있다. 저서로 『생각하는 나의 발견, 방법서설』(미래엔, 2007)과 『스피노자의 귀환』(공저, 민음사, 2017)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테러 시대의 철학: 하버마스, 데리다와의 대화』(지오바나 보라도리, 공역, 문학과지성사, 2002), 『스피노자 철학에서 개인과 공동체』(알렉상드로 마트롱, 공역, 그린비, 2008), 『스피노자 매뉴얼』(피에르-프랑수아 모로, 공역, 에디토리얼, 2019) 등이 있다./영국 더럼(Durham)대학교 철학 박사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교양대 교수현) 국제 저명학술지(A&HCI급)의 심사위원전) 서양근대철학회 회장(2018~2020)전) 한국철학회 편집위원(2019~2021)전) 서울대학교 BK철학교육연구사업단 교수(2010~2013)전)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선임연구원(2008~2009)전) 서울대학교 철학과 강사(2007~2013)2015년 서양근대철학회 제2회 김효명 학술상 수상2019년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베스트 강의상 수상주요 논저『서양근대윤리학』(공저), 창비, 2010.『마음과 철학』(공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상) 편, 2012.『서양근대미학』(공저), 창비, 2012.『서양근대교육철학』(공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외 다수.「The Appropriateness of Moral Emotion and Humean Sentimentalism」, The Joual of Value Inquiry, 2009.「How is vicarious feeling possible」, Organon F, 2020.「Hume’s Second Thoughts on Personal Identity」, Problemos, 2018 외 다수./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 대학원과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공부한 후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양 근대 철학, 프랑스 현대철학, 감정철학 등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으며 가천대학교와 목포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지은 책으로 『성찰, 모든 것을 의심하며 찾아낸 생각의 신대륙』(2014), 『고전하는 십 대의 이유 있는 고전』(2015), 『나다움 쫌 아는 10대: 데카르트 vs 레비나스』(2021), 『몸의 철학』(공저, 2021), 『이야기의 끈』(공저, 2021), 『일꾼과 이야기꾼』(공저, 2022), 『불안 쫌 아는 10대: 프로이트 vs 니체』(2023)가 있고, 슬라보예 지젝의 『나눌 수 없는 잔여』(2010)를 번역했다./숭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플라톤 존재론 연구로 석사학위를, 뉴욕주립대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숭실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희랍어·라틴어 고전을 번역하고 연구하는 정암학당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Aristotle on Emotions in Law and Politics(공저)가 있고, 논문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정론」 등이 있다./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프랑스 파리 고등사범대학에서 앙리 베르그손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 후 귀국하여 단국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연세대학교 철학과에 재직 중이다. 공저로 『철학, 혁명을 말하다』, 『서양근대교육철학』, 『푸코와 철학자들』 등이 있으며, 근현대 프랑스 철학사 및 철학적 우주론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철학의 눈으로 본 노년> 저자 소개

김은주 작품 총 3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