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김효정

    김효정 프로필

2025.09.09.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1991년 설립 이후부터 한국 사회의 이분법적 성별 권력관계 구조, 여성의 몸과 성을 규범화하는 통념, 차별과 혐오를 확대하는 사회문화에 맞서 평등하게 관계 맺고 나다운 모습으로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성폭력 피해 생존자 상담 및 지원, 성폭력을 조장하는 사회문화 개선, 여성인권 보장을 위한 법 제, 개정 운동 등의 활동을 한다. 《섹슈얼리티 강의, 두 번째》, 《우리들의 삶은 동사다》 등 다수의 책을 썼다./여성현실연구소 소장. 이화여자대학교, 성공회대학교와 여성현실연구소에서 여성학을 가르친다. 달리기, 텃밭, 고양이 집사 노릇을 모두 협동을 통해 함께하는 일상을 산다. 여성과 정치, 민주주의라는 세 단어의 연결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여자들의 사회》, 《늘 그랬듯이 길을 찾아낼 것이다》 등 다수의 책을 썼다./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여성학 석사 학위를,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젠더사회학, 가족사회학, 젠더폭력, 여성정책 등에 관심이 있다. 친밀한 관계 내 폭력, 교제폭력, 여성폭력에 관한 다수의 연구를 진행했다./한국성폭력상담소 활동가. 깊게 고민하며 새로운 언어를 찾아나가는 반성폭력운동 현장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 최근에는 기술 매개 성폭력, ‘해로운’ 남성성에 관심을 갖고 있다./페미니스트 연구 웹진 Fwd 필진. 디지털 환경을 경유하는 놀이·창작 문화가 젠더 질서와 어떤 관계를 만들어나가는지, 테크놀로지는 그 영역에 어떻게 개입하고 있는지에 관심이 있다./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조교수. 18세기 영국 지성사, 특히 젠더 담론의 역사를 연구하며, 현대 한국의 정치적·도덕적 담론의 탐구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2010년대 한국의 온라인 젠더 전쟁에 대한 짧은 책을 쓰고 있으며, 제프리 윅스의 《성의 역사란 무엇인가?What is Sexual History?》를 함께 옮기고 있다./남성과함께하는페미니즘 활동가. 좋은 친구들 덕분에 운 좋게 페미니즘을 만나 2017년부터 남성 페미니스트로서 활동하고 있다. 성교육과 젠더폭력 예방 교육, 성평등 교육을 한다. 《남성과 함께하는 페미니즘》을 썼고, 《포괄적 성교육》 등 다수의 책을 함께 썼다./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젠더 관점으로 다양한 형사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관련한 여성들의 생애 이야기를 채록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페미니스트, 경찰을 만나다》, 《군대에 대해 말하지 않는 것들》 등 다수의 책을 함께 썼다./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과정.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에서 활동했고, 지금은 불법과 합법을 넘나드는 성 시장, 성 경제 전반에 관심을 두고 있다. 《남자들의 방》을 썼고, 《불처벌》을 함께 기획하고 썼다.

<폭주하는 남성성>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