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플로티누스 Plotinus

    플로티누스 프로필

2025.10.17.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아마도 이집트에서 태어났을 것이다. 28세에 철학에 뜻을 세우고 알렉산드리아로 갔으며 플라톤주의자 암모니오스 사카스를 만나 11년간 사사했다. 인도와 페르시아 철학에 대한 관심으로 243년 로마 황제 고르디아누스 3세를 따라 동방 원정길에 올랐다고 전한다. 황제의 암살로 원정이 무산되자 안티오코스로 피신했다가 244년 로마에 정착했다. 귀족 게미나의 집에 머물며 고아들을 돌보았고, 사설 학원을 열었다. 플로티누스의 학원은 성, 인종, 직종의 차별 없이 모두에게 개방되었다. 그의 문하에는 직업적 철학자들도 있었지만, 의사와 문인 등 다른 직업을 지닌 수강생들도 있었다. 원로원 회원들과 갈리에누스 황제(253~268 재위) 부부도 청강했다고 전한다. 그는 황제에게 플라톤의 ‘법률’에 따라 사는 플라토노폴리스(Platonopolis)의 건설을 제안했다. 플로티누스는 플라토노폴리스의 꿈은 이룰 수 없었지만, 서양 고대 철학의 다양한 전통을 비판적으로 통합하여 오늘날 ‘신플라톤주의’라 불리는 사조를 수립했다. 269년 지병이 악화되어 캄파니아로 은퇴한 후 이듬해 숨을 거두었다./서울대학교에서 불어교육을 전공하고 철학을 부전공한 후, 같은 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함부르크대학교에서 신플라톤주의의 주창자인 플로티누스의 윤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교수를 거쳐 지금은 경희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주요 연구 분야는 서양 고대의 형이상학과 윤리학이며, 철학과 종교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에토스에 관한 철학: 윤리학의 기원과 교육의 문제」, 「플라톤의 『에우튀프론』에 나타난 인간애와 경건」, 「덕의 미메시스 ― 플라톤의 시(詩) 개혁」, 「의지의 기원과 이성적 욕망 ― 아리스토텔레스의 소망 개념 연구」, 「악덕의 자발성 ― 아리스토텔레스의 반-소크라테스적 논증」, 「플로티누스의 세계제작자: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의 탈신화적 해석」, 「영혼의 모상: 플로티누스의 자연과 영혼의 구분」 등이 있다.

<아름다움에 관하여>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