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디지털소사이어티

    디지털소사이어티 프로필

2025.11.06.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 : 이재열
절망의 한국에서 희망을 찾는 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한국의 과거를 진단하고 미래를 그리는 사회학자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방문연구원을 지냈고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자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 디렉터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경제의 사회학』 등이 있고, 함께 쓴 책으로는 『당신은 중산층입니까』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가치』 『아시아는 통한다』 『세월호가 우리에게 묻다』 『세월호가 묻고 사회과학이 답하다』 『아픈 사회를 넘어』 『기업시민의 길』 등이 있다.

저 : 권현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산업구조 변화, 글로벌 가치 사슬의 거버넌스 변화, 기술 변화 등 변동하는 사회 속에서 일의 세계 변화, 노동시장 구조 변화, 불평등 양상을 연구해 왔다. 현재 『산업노동연구』 편집위원장이다. 저임금노동 시장의 젠더 불평등, 조직 내 관계적 불평등, 노동 이력을 통해 본 한국 청년 및 여성 노동시장 구조 변화, 청년 예술 노동자의 꿈과 사회자본, 범주적 불평등과 젠더화된 노동시장, 게임 산업 젊은 노동자들의 노조 조직화, 디지털화의 노동 및 고용 함의, 1차 벤더로서의 한국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글로벌 가치 사슬의 구조 변화 등을 주제로 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관심 분야: 전환기 산업과 노동의 변화, 노동시장 젠더 불평등

저 : 강정한
코넬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제조직과 수리사회학을 전공했으며, 데이터 사이언스와 디지털 경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세계적인 학술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고 ‘ICWSM’, ‘WWW’ 등의 학회에서 연구를 발표했다. 현재 한국조사연구학회 편집위원장, 디지털소사이어티 사회전환분과위원장, 클리오사회발전연구소 소장 등을 맡고 있다.

저 : 김종길
덕성여자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 사회학 전공 교수

저 : 강지원
김앤장 법률사무소 외국변호사(미국 뉴욕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최고위협의회 법제도분과 위원
방송통신위원회 인공지능 이용자보호 법안 검토연구위원
산업통상자원부 AI산업정책위원회 법제도분과 위원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저 : 권오성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저 : 권은정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저 : 김란우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교수

저 : 김태균
연합뉴스 데이터·AI전략팀 팀장이다. 연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영대에서 정보경영 전공으로 석사학위(MS)를 받았다. 2005년 연합뉴스에 입사해 정보과학부(현 테크부), 사회부, 국제뉴스부 등에서 취재하고 기사를 썼다. 저서로는 『AI시대의 저널리즘』(공저·2019), 『AI 뉴스 제작 방법』(공저·2021), 『챗지피티와 생성 AI 전망』(공저·2023) 등이 있다.

저 : 김현주
민주노총 공공운수지부 든든한콜센터지부장

저 : 오민규
울산에서 노동운동을 시작해 현대차비정규노조 결성을 비롯해 비정규직 조직화 운동에 함께 해 왔다. 전국비정규노조연대회의 집행위원장(2004~2012년), 민주노총 미조직비정규직전략사업실장(2015~2017년)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노동문제연구소 해방 연구실장, 플랫폼노동희망찾기 집행 책임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라이더유니온, 한국지엠지부 등 노동조합 자문역도 겸하고 있다. 2008년부터 '오민규의 인사이드경제'를 《프레시안》에 연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카네이션: 브레이크 없는 어느 자동차 왕국 시승기》(이매진), 《톡 까놓고 이야기하는 노동》(공저, 숨쉬는책공장)이 있다.

저 : 오삼일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장

저 : 윤수주
포자랩스 작곡가

저 : 윤혜선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행정법을, 인공지능대학원에서 AI와 법을 강의하고 있다. 생화학과 생리학을 학부와 대학원에서 전공한 후 법학으로 전향하여 미국과 캐나다 변호사 자격 취득 후 캐나다와 국내 로펌에서 짧게 재직하였다. 방송통신, 데이터, 인공지능, 바이오, 원자력 분야의 행정법적 이슈와 규제 및 입법 정책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최근 연구논문으로는 「보건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법제도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와 BERT 모델을 활용한 인공지능 관련 국내외 법학연구 동향과 함의」, 「인공지능의 사회적 수용성과 법제도의 기능적 관계에 관한 소고」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Data Justice and COVID-19: Global Perspectives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혁신과 규제정책』 등이 있다.


저 : 이성규
EMX 대표이사

저 : 임준호
튜터러스랩스 CTO

저 : 임지선
한겨레신문 기자다. 빅테크팀장으로 일하던 2024년 건국대 언론홍보대학원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에 관한 언론 보도 연구’ 논문으로 석사 학위와 논문상을 받았다. 한겨레에 2023년부터 ‘AI 파워피플’ 인터뷰 연재를 했고 2024년 초에 미국 실리콘밸리와 할리우드 현지 취재를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 열풍과 비판론을 보도했다. 주요 저서로는 『4천원 인생』, 『왜 우리는 혼자가 되었나』, 『아동학대에 관한 뒤늦은 기록』, 『열 가지 당부』, 『젠더와 미디어 경험』, 『이따위 불평등』을 공저했고, 『현시창』, 『에어비앤비 서울 아트숙소 11』을 썼다. 기자 생활을 하며 한국기자상, 이달의 기자상, 언론인권상, 앰네스티 언론상, 관훈언론상, 인권보도 대상, 양성평등미디어상 우수상, 민주시민언론상, 쉬운 우리말 기자상 으뜸상 등을 수상했다.

저 : 장지연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이다. 여성노동에 관한 관심을 시작으로 복지국가의 노동·사회정책 그리고 이러한 정책을 탄생시키는 사회세력관계에 대한 관심으로 연구영역을 넓혀왔다. 지은 책으로 [OECD 주요국의 고용보호와 사회적 보호](2012, 공저), [산업사회의 이해](2012, 공저), [노동시장 구조와 사회보장체계의 정합성](2011, 공저), [글로벌화와 아시아 여성: 노동과 삶](2007, 공저)[어떤 복지국가 인가?](공저) 등이 있다.前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위원 前 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 위원

저 : 하주영
스캐터랩 변호사

저 : 황용석
한국언론재단 연구위원을 거쳐 2003년부터는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1999)를 취득했다.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연구이사,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등을 역임했다. 현재 방송통신위원회 미디어다양성위원,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정책위원,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우리는 마이크로 소사이어티로 간다』(공저, 2008) 외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The Social Network of Korea Search Engine News Service”(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12)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기획 : 디지털소사이어티
디지털 기술의 올바른 역할과 바람직한 디지털 사회 구현 방안을 모색하고자 202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출범했다. 인문·사회·기술·경제·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석학과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기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하며 정부의 정책 수립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진격하는 AI와 흔들리는 노동자>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