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2021.05.2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인문학적 사유로 시대를 통찰하는 철학자’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현대철학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고 프랑스 파리제4대학교 철학과에서 데카르트의 제1원리(코기토)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등과학원 초학제독립연구단 연구책임자와 한국프랑스철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네이버 열린연단 [문화의 안과 밖]에서 자문위원 및 강연자로 활동하고 있다.저자는 인문학적 사유로 우리 사회와 인간을 통찰하는 글을 쓰고 강연을 해오고 있다. 이 책에서는 칸트의 위대한 업적을 통해 철학이 시대의 고민을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인간에게 생각한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저서로는 『근대적 세계관의 형성』, 『김수영과 논어』, 『철학과 인문적 상상력』, 『니체, 프로이트, 맑스 이후』 등이 있으며 함께 쓴 책으로는 『고전 강연 1, 4』, 『융합 인문학』, 『문화의 안과 밖 3, 4』, 『사유의 공간』, 『라깡의 재탄생』 등, 옮긴 책으로는 『탈이데올로기 시대의 이데올로기』, 『차이와 반복』 등이 있다./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파리8대학(생드니) 산하 철학의 현대적 논리 연구소에서 그라마톨로지 이전부터 유령론 너머까지 이어지는 데리다 사유의 전개를 주제로 박사 논문을 작성하고 있다.논문으로 「사유의 시간들: 데카르트와 데리다의 경우」, 「데리다의 시원적 사유로서의 『발생의 문제』」, 「리듬 게임, 가장 빈곤해서 가장 자유로운」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비밀의 취향』(2022), 『우편엽서』(공역, 근간)가 있다./한경국립대학교 문예창작미디어콘텐츠홍보전공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경국립대학교 문예창작미디어콘텐츠홍보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다매체 환경에서 나타나는 스토리텔링의 변화와 K-스토리텔링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학부 졸업 후 10년간 방송작가로 활동하면서 MBC [우리시대], [사과나무] 등의 TV 프로그램을 집필했다. 지은 책으로 『스토리텔링 입문』(공저, 2023), 『K-스토리텔링 1, 2, 3』(편저, 2022),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2018),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2018) 등이 있다./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동 대학원 프랑스어과를 졸업하고 파리 통번역학교(ESIT) 번역학부 한불과를 졸업했다. 파리 3대학에서 「17~18세기 라신과 그 작품 수용에 관한 사회 시학적 연구」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12년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교 언어번역학과 초청 교수로 연구 활동을 했다. 지은 책으로는 『바로크』 (2004), 『노랑신호등』(2012, 공저)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프랑스 연극 미학』(2007, 공역), 『번역가의 초상 - 남성 번역가 편』(2009), 『페드르와 이폴리트』(2013), 『신앙과 지식, 세기와 용서』(2016, 공역) 등이 있다./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콘텐츠스쿨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융합콘텐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10년 웹툰 <세실자유경제고등학교>가 대원웹툰대상에 당선되며 스토리 작가로 데뷔한 후 만화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 연구와 창작 양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결혼해龍"(2016), 「아멘티아」(2015), "왕자님이 있다"(2014), 「국립자유경제고등학교 세실고 2학기」(2014), 「국립자유경제고등학교 세실고」(2011) 등의 기획 및 스토리를 맡아 연재했으며 이 중 "결혼해龍"은 중국과 대만에서, 「아멘티아」는 일본에서 동시 연재 및 출간되었다. 저서로 일본에서 출간된 「なぜ?校でマンガを?えるのか(왜 학교에서 만화를 가르치는가)」(공저, 2019)가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는 “브랜드웹툰의 서사 구조 연구”(2017), “연작 웹툰 「2013 전설의 고향」에 나타나는 상호텍스트성 연구”(2014) 등이 있다./인하대학교 문화콘텐츠문화경영학과 교수. 서강대 불문과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프랑스 파리 8대학 불문과에서 이미지 기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 인문과학원 연구교수와 서강대 프랑스문화학과 연구교수를 지냈다. 기호학, 만화, 영화, 게임, 사이언스픽션, 테크놀로지 인문학 연구의 크로스오버를 도모한다. 저서로 ??사이언스픽션, 인간과 기술의 가능성??(2017), ??크리스티앙 메츠??(2016), ??기호와 기호 사이, 이미지들 너머??(20??13), ??만화기호학??(2004), 역서로??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2??(2011), ??상상적 기표??(2009) 등이 있다. 최근 논문으로 “인터랙티브 무비의 종단과 횡단의 플레이”(2020), “<블레이드 러너 2049>에 드러난 ‘약함(vulnerability)’의 영화 기표 연구”(2020), “개인화된 영상 : Searching의 이미지 기억과 라이브 스트리밍”(2019), “시뮬라시옹과 포스트-재현”(2018) 등이 있다./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 대학원과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공부한 후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양 근대 철학, 프랑스 현대철학, 감정철학 등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으며 가천대학교와 목포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지은 책으로 『성찰, 모든 것을 의심하며 찾아낸 생각의 신대륙』(2014), 『고전하는 십 대의 이유 있는 고전』(2015), 『나다움 쫌 아는 10대: 데카르트 vs 레비나스』(2021), 『몸의 철학』(공저, 2021), 『이야기의 끈』(공저, 2021), 『일꾼과 이야기꾼』(공저, 2022), 『불안 쫌 아는 10대: 프로이트 vs 니체』(2023)가 있고, 슬라보예 지젝의 『나눌 수 없는 잔여』(2010)를 번역했다./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파리 8대학(생드니)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현대철학과 예술철학을 주로 공부하고 있다.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단과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의 연구원을 지냈고, 현재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지은 책으로 『철학, 혁명을 말하다』(공저, 2018), 『체계와 예술』(공저, 2017), 『동서의 학문과 창조: 창의성이란 무엇인가?』(공저, 2016), 『현대 정치철학의 모험』(공저, 2010), 『이야기의 끈』(공저, 2021), 『일꾼과 이야기꾼』(공저, 2022)이 있고, 옮긴 책으로 『비미학』(2010)이 있다./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프랑스어를 전공하고,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소쉬르의 시간 개념에 관한 논문으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지은 책으로 『일꾼과 이야기꾼』(공저, 2022), 『이야기의 끈』(공저, 2021), 『소쉬르는 이렇게 말했다』(2017), 『노랑 신호등』(공저, 2012), 『서사로 읽는 서사학』(2009), 『의미와 설화성』(2006), 『광고 커뮤니케이션 문화 마케팅』(2005), 『텍스트 의미론 강의』(2004), Le temps chez Saussure(2002)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신앙과 지식/세기와 용서』(공역, 2016), 『정념의 기호학』(공역, 2014), 『일반 언어학 노트』(공역, 2007) 등이 있다./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실존철학, 예술철학, 비교철학을 연구하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옮긴 책으로는 한병철의 『선불교의 철학』(2017), 하이데거의 『철학의 근본 물음』(2018), 야스퍼스의 『철학적 생각을 배우는 작은 수업』(2020),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의 샘』(2022)이 있다. 한국 하이데거 학회 및 Heidegger Circle in Asia에서 활동하며 국내외 하이데거 철학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디지털 게임의 다변수적 서사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디지털스토리텔링 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뉴미디어 환경에서 나타난 다양한 융합 콘텐츠와 인공지능 시대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지은 책으로 『앨리스 리턴즈』(2016), 『아이의 마음을 훔치는 스토리텔링 전략』(2012), 『디지털 시대의 신인류 호모 나랜스』(2010), 『디지털 게임 스토리텔링』(2005) 등이 있다.
<이야기꾼과 놀이꾼 : 서사와 창의성>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