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최용호

    최용호 프로필

  • 학력 파리 10 낭테르대학 언어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불어교육학 석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교육학 학사
  • 경력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교수

2021.05.2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편자 - 김상환
프랑스 파리4대학(소르본)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현대 프랑스 철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은 구조주의 전후의 현대 철학 사조를 동아시아의 문맥에서 재해석하는 데 있다. 2012년부터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 프로그램의 패러다임-독립연구재단에서 과학과 인문 예술 융합의 기초가 될 새로운 지식 패러다임과 방법론을 모색하는 3년간의 연구를 이끌고 있다. 저서로 『철학과 인문적 상상력』(2012), 『니체, 프로이트, 맑스 이후』(2002), 『예술가를 위한 형이상학』(1999) 등이, 편저로 『라캉의 재탄생』(2002) 등이 있으며, 역서로 『차이와 반복』(2002), 『헤겔의 정신현상학』(공역, 1986) 등이, 논문으로 「데리다의 글쓰기와 들뢰즈의 사건」(2011), 「데리다의 텍스트」(2008), 「헤겔과 구조주의」(2008) 등이 있다.

편자 - 장태순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철학과에서 「데카르트 형이상학에서의 명증성의 함의에 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파리 8대학(생드니) 철학과에서 「1990년대 이후 영화에 나타난 여러 시간의 모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구조주의 이후의 프랑스 현대 철학과 예술철학을 주로 공부하고 있으며, 자연과학의 형이상학적 의미를 밝히는 일과 예술 작품에서 개념적 사유를 끌어내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단 연구원으로 일하였고 서울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현대 정치 철학의 모험』(공저, 2010)이 있고, 옮긴 책으로 『비미학』(2010)이 있다.

편자 - 박영선
연세대, 홍익대, 숭실대에서 철학, 사진, 매체예술 등을 공부했다. 사진을 주 매체로 작업 중이며, 3회의 개인전과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단에서 과학-예술 협업팀 ‘인디 트랜스’를 이끌었다. 『연결합도시』(편저, 2015), 『지역 아카이브, 민중 스스로의 기억과 삶을 말한다』(공저, 2010), 『한국 사진이론의 지형』(공저, 2000), 「예술적 실천으로서의 디지털 아카이빙과 사진의 상호관계」(2015), 「사진아카이브, 이상한 다양체되기」(2013), 「실재에의 기억: 김장섭과 한국적 모더니티의 심연」(2012),「디지털 사진과 개인적 기억: 강홍구의 [그 집]에 나타난 작업수행 과정을 중심으로」(2012) 등을 썼다.

저자 - 유헌식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 철학부에서 「헤겔의 역사적 사유에서 새로움의 문제」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단국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한국 헤겔학회 회장을 맡아 헤겔철학의 현실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철학의 일상화에 대한 관심으로 『통합적으로 철학하기』 1권 고독(2006), 2권 성장(2007), 3권 죽음(2008)을 출간했으며, 헤겔 연구와 관련하여 크로너의 『헤겔』(1990)을 번역하고, 『역사이성과 자기혁신』(2009)을 저술했다. 한국 사회에 대한 관심의 일환으로 『한국인의 일상행위에 감춰진 의미구조 연구』(2008)를 썼으며, 편지 형식의 철학 입문서 『철학 한 스푼』(2014)을 펴냈다. 최근에는 철학과 타 학문 간의 융합을 위한 접점 찾기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자 - 민주식
일본 동경대학대학원 미학예술학 전문 과정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영남대학교 미술학부 및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 미학 및 비교 미학이며, 근래에는 동아시아 예술 문화의 현대적 조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 『아름다움 그 사고와 논리』(1999), 『동서의 예... 술과 미학』(2007), 『동아시아의 언어, 문화, 예술』(2011) 등이, 역서로 『그리스 미술 모방론』(1995), 『미술의 해석』(1999), 『비교미학연구』(2000) 등이, 논문으로 「작품과 인품」(2015), 「예술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2014), 「‘창조성’의 개념구조와 그 현대적 의미」(2013) 등이 있다.

저자 - 김연희
홍익대학교 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예술 이론 관련 강의를 한다. 주요 관심은 교육 미학의 정립에 있으며, 예술 영역에서는 사고 활동으로서의 예술, 공동체 삶에 참여하는 참여적 예술의 문제에 관심이 있다. 나아가 예술-인문/사회-과학의 융합적 지식 및 창의성의 문제까지 연계하여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새로운 예술영재교육을 위한 교육철학과 교육과정』(2011), 『존 듀이의 교육미학』(2012)이 있으며, 논문으로 「예술교육의 관점에서 예술과 지식의 문제」(2007), 「탐구로서의 예술경험과 교육적 함의」(2008), 「존 듀이의 미적 비평과 교육적 함의」(2008), 「질적 사고와 창의성」(2011), 「예술과정으로 본 창의성의 기원」(2012), 「미적 교육의 관점에서 본 존 듀이의 미학」(2014) 등이 있다.

저자 - 황유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미학회 부회장과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가톨릭관동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현대 영미 분석 미학이다. 저서로 『미술·진리·과학』(공저, 1996), 『미학』(공저, 2007), 『예술 기호론: 굿맨과 엘긴의 미학』(2015) 등이 있으며 역서로 『미학입문』 (공역, 1980)이 있고 논문으로 「분석미학에 있어서 예술비평의 문제」(1991), 「지식으로부터 이해로의 이행: 정서·예시·허구·은유의 인 지적 기능(I), (II)」(2005, 2006), 「분석미학의 주류와 전망」(2010) 등이 있다.

저자 - 김임구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에서 독문학(전공), 사회학·철학(부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독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은 잠재정신사라는 개념으로 독일과 한국의 문화사를 새롭게 해석하는 데 있다. 관심 연구 분야는 문예학, 비교문학 및 간문화적 독문학이다. 저서로 『‘생명’의 시인으로서의 프란츠 퓨만』(1996), 『인물로 읽는 독일문화사』(공저, 1999), 『괴테 그리고 그의 영원한 여성들』(공저, 2005), 『간문화적 전 시장인 대도시』(공저, 2015)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고난의 승화. 파울 첼란 시에 나타난 그리스도 모티브 연구」(2010), 「후기세속 사회의 문화 패러다임 연구」(2010), 「근대적 자유개념과 악의 착종」 (2010), 「근세의 종언 - 카프카의 소설 『소송』에 대한 잠재정신사적 해석」(2009), 「부자가 되는 세 가지 방법 - 재산 형성의 정당성 시각에서 본 『흥부전』」(2006) 등이 있다.

저자 - 박기순
프랑스 파리4대학(파리-소르본)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스피노자를 중심으로 한 17세기 철학과 현대 프랑스 철학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서양근대미학』(2012), 『다시 쓰는 맑스주의 사상사』(2013),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2014) 등의 책을 공저했고, 『프랑스 인식론의 계보』(1996), 『스피노자의 철학』(1999) 등의 책을 번역했으며, 논문으로는 「랑시에르에서 미학과 정치」(2010),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개념과 목적론의 문제」(2015) 등이 있다.

저자 - 최용호
프랑스 파리10대학(낭테르)에서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프랑스 기호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은 현대 사회 및 문화를 기호학적 방법론으로 읽고 분석하고 비평하는 것이다. 저서로 『언어와 시간』(2000), 『텍스트 의미론 강의』(2004), 『의미와 설화성』(2006), 『서사로 읽는 서사학』(2009), 『노랑신호등 - 포스트모던 비평의 지점』(공저, 2012) 등이, 편저로 『광고, 커뮤니케이션, 문화마케팅』(2005) 등이, 역서로 『일반언어학 노트』(공역, 2007), 『정념의 기호학』(공역, 2014)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일반언어학 노트: 기호에서 가치로 - 텍스트 없는 텍스트성과 텍스트성 없는 텍스트 간의 긴장」(2005), 「기호사각형의 미결문제와 그 문화기호학적 함의」(2015) 등이 있다.

저자 - 피에르 몽테벨로 (Pierre Montebello)
파리1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툴루즈대학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생성의 형이상학에 관심을 가지고 맨 드 비랑, 니체, 베르그손, 들뢰즈를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 『사유의 분해, 맨 드 비랑에 있어서 이원성과 초월적 경험론』(1994), 『자연과 주관성』(2007), 『들뢰즈, 사유의 열정』(2008) 등이 있다.

저자 - 맹정현
프랑스 파리7대학에서 정신분석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파리 섹션클리닉, 파리 콜레주클리닉 등에서 정신분석학과 정신병리학을 공부한 후 서울대, 서강대, 연세대, 성균관대 등에서 정신분석학을 강의했다. 현재 정신분석클리닉 혜윰에서 정신분석가로 임상을 실천하면서, 서울정신분석포럼(SFP) 창립 회원이자 한국프로이트라깡칼리지(FLC) 상임 교수로 활동하며 프로이트라캉주의에 기반한 정신분석 임상가 양성에 힘쓰고 있다. 서울정신분석포럼(SFP)과 프랑스 렌느 2대학 “정신병리학_새로운 증상과 사회적 연대 센터”가 공동으로 설립한 “HANS 아동청소년정신병리연구센터”의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Forums du Champ lacanien-France 회원, Internationale des Forums 회원이며 『인문예술잡지 F』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프로이트 패러다임』, 『멜랑꼴리의 검은 마술』, 『트라우마 이후의 삶』, 『리비돌로지』,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싸우는 인문학』(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자크 라캉 세미나 11』(공역), 『라캉과 정신의학』 등이 있다.

저자 - 김선욱
숭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버펄로)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숭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윤리학, 정치철학, 사회철학 등의 분야를 가르치고 있다. 숭실대 부설 가치와윤리연구소 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한나 아렌트 연구가 주업이며 종교와 정치의 관계에도 관심이 많다. 『정치와 진리』(2001), 『한나 아렌트 정치판단이론』(2002), 『행복의 철학: 공적 행복을 찾아서』(2011), 『아모르 문디에서 레스 푸블리카로: 한나 아렌트의 공화주의』(2015) 등의 저서와 공저가 있고, 한나 아렌트의 『칸트 정치철학 강의』(2002), 『예루살렘의 아이히만』(2006), 『정치의 약속』(2008), 『공화국의 위기』(2011)와 리처드 J. 번스타인의 『한나 아렌트와 유대인 문제』(2009) 등을 번역하였고,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 『하버드 명강의, 정의』를 감수하였다.

저자 - 최호영
독일 베를린자유대학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이론 심리학, 구성주의 메타이론, 마음에 대한 학제적 연구 등이다. 저서로 『온건구성주의의 전망(Zu einer gemaessigten Perspektive des Konstruktivismus)』(2008, Saarbruecken), 『인지와 자본』(2011, 공저)이 있으며, 역서로 『앎의 나무』(2007), 『사회적 뇌』(2015), 『도덕적 불감증』(2015) 등이, 논문으로 「마음과 과학과 문화 - 과학적 심리학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하여」(2008), 「‘탈인간의 심리학’과 자율적 주체의 운명」(2010)이 있다.

저자 - 이재혁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강대 사회학과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회학 이론과 방법론, 경제사회학 등이 전공 분야로, 그간 사회학 이론 분야에 대해 꾸준히 글을 써왔으며, 합리적 선택론의 적용, 신뢰와 사회적 자본, 인적 자본과 효 규범 등의 주제로 한국 사회를 분석해왔다. 최근에는 진화론, 복잡계, 법사회학 등과 관련하여 타 학문 분야와 사회학 이론의 접목 및 사회학 이론의 확장 가능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논문으로 「고전이론에서의 물리주의와 인구적 사고」(『한국사회학』 제46집 5호, 2012), “Kula and Relation Capital”(Rationality and Society 23(4), 2011) 등이 있다.

저자 - 우실하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항공대학 교양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동양사회사상학회 부회장, 단군고조선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국 문화와 사상의 원류를 찾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3수 분화의 세계관』(2012),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2004), 『전통문화의 구성원리』(1998) 등의 저서와, 「3수 분화의 세계관’의 기원과 홍산문화」(2011), 「「천부경」, 「삼일신고」의 수리체계와 3수 분화의 세계관’」(2006), 「북유럽 신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2013) 등 여러 편의 논문이 있다.

저자 - 르노 바르바라스(Renaud Barbaras)
리옹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파리1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 프랑스에서 메를로퐁티 현상학의 가장 대표적인 연구자로 알려져 있다. 현상학으로 시작하여 관심의 폭을 생명철학과 정신분석학으로 넓히면서 새로운 현상학적 존재론을 모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생명과 지향성. 현상학적 연구』(2003), 『생명의 현상학 입문』(2008), 『나타남의 동학』(2013) 등이 있다.

<동서의 문화와 창조> 저자 소개

최용호 작품 총 5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