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홍진희

    홍진희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54년
  •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 학사
  • 경력 미림여자고등학교 교사

2014.11.20.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구보데라 이쓰히코(久保寺逸彦)
1902년 홋카이도에서 태어나 1925년 국학원대학 문학부를 졸업했다. 이후 도경부립7중, 도쿄제2사범을 거쳐 도쿄학예대학 교수로 오랫동안 재직하였다. 1966년 정년퇴임 후(동 대학 명예교수), 고마자와(駒澤)대학으로 옮겼다. 그러는 동안 1960년에 문학 박사를 취득하고, 일본민족학회 평의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언어학자 긴다이치 교스케(金田一京助) 박사와는 1922년 처음으로 사제 관계를 맺은 이래, 평생 경모의 마음을 품게 된다.
구보데라가 처음으로 홋카이도(北海道) 도카치(十勝) 오비히로시(帶広) 시내, 후시코(伏古, 현재 오비히로시에 편입) 부락을 방문한 것은 1922년 국학원대학(國學院大學) 재학 중 여름방학 때였다. 이듬해 1923년 8월에도 10여 일, 은사 긴다이치 교스케(金田一京助) 박사의 유카라 탐방 여행에 동반을 허락받아, 아이누 고유문화를 최고조로 발달시켜 펼쳐 가는 생활 속에서 더욱 옛 관습을 짙게 남기고 있던 도난(道南) 히다카(日高) 사루강(沙流川) 유역 마을을 방문했다. 이 사루(沙流) 여행이 그에게 일생일대의 전기가 되어 학문의 방향성을 결정하게 되었다. 이로써 홋카이도 혹은 가라후토(樺太)에도 몇 차례 방문하고, 또 아이누 노인들을 도쿄로 초대해 그 언어, 전승문학, 종교 의례 등의 채록 연구를 계속했다.
그는 생애 최대의 역작인 《아이누 서사시, 신요·성전 연구》 출간을 보지 못한 채 1971년 11월 5일 세상을 떠났다.

이용준
한국외국어대학교 및 동 대학원 독일어과를 졸업했다. 2014년 심훈문학상 및 계간 아시아 신인상을 수상했다. 장편소설로는 《피시스케이프》(아시아, 2020), 창작집으로는 《붕어찜 레시피≫(문학과 행동, 2025)가 있다. 역서로는 《푸른꽃》(푸른씨앗, 2023), 《자이스의 제자들》(지만지, 2024), 《아이누 신요집》(지식을만드는지식, 2020, 공역), 《독일낭만주의 이념》(지식을만드는지식, 2017), 《독일의 질풍노도》(지식을만드는지식, 2018)가 있다. 현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문예창작 전문가 과정에서 ‘서사와 신화’를 강의하고 있다.

홍진희
중동고등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했다. 미림여자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했고, 번역서로 《아이누 신요집》(지식을만드는지식, 2020, 공역), 《조선인의 죽음(關東大震災)》(동쪽나라, 1993)이 있다. 저서로는 《일본은 한국 역사를 왜 비뚜로 가르칠까》(소나무, 1992), 《비뚜로 가는 일본인》(청담문화사, 1993), 《관동 보고서》(나무와숲, 1998), 《양파와 다마네기》(창조인, 1999)가 있다. 현재 번역 작업과 일본 사회 비평서 저술에 몰두하고 있다.

박현숙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문예창작 전문가 과정 수료(시). 한국작가회의 신인상을 수상하고(2023년, 22회) 《작가》(통권 85호)에 동시 5편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아이누 신요집》(이용준·홍진희, 지식을만드는지식, 2020) 발간 작업에 참여했다.

<아이누 서사시>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