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브룩스
현재 '위클리 스탠더드'의 편집장이자 '뉴스위크'의 객원 편집위원이며,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NPR)'의 논설위원으로서 짐 레러(Jim Lehrer)와 함께 ‘뉴스아워’를 진행하고 있다. 브룩스는 1983년 시카고 대학을 졸업한 후 '시카고 트리뷴'과 '선 타임스'의 공동 소유 통신사인 '시티 뉴스'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고,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9년 동안 근무하며 유럽 특파원을 역임했다. 사회 현상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과 유려한 문체로 명성을 얻으며, '뉴욕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뉴요커', '뉴 리퍼블릭', '코멘터리' 등 유수의 신문과 잡지들에 기고했다. 1995년 8월 '위클리 스탠더드' 창간팀에 합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1996년 '퇴보와 향상: 신보수주의의 문서(Backward and Upward: The New Conservative Writing)'를 펴냈다.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뉴스위크>와 <애틀랜틱 먼슬리>의 객원편집위원이자 NPR의 ‘뉴스분석All Things Considered’과 PBS의 ‘짐 레러의 뉴스아워The NewsHour with Jim Lehrer’에 시사해설자로 출연하고 있다. 그의 대표작 '보보스 : 디지털 시대의 엘리트'는 기존의 엘리트 계층이 관습·제도·가문 등 외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아 성공한 것과는 달리, 높은 교육 수준을 바탕으로 스스로 성공 신화를 이룬 신흥 엘리트 계층인 '보보스'의 출현을 알린 수작으로,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가 된 바 있다. 대표 저작으로 내면의 결함을 딛고 위대한 성취를 이룬 사람들을 탐구한 《인간의 품격》을 비롯해 《소셜 애니멀》 《보보스》 등이 있다.
번역 : 이경식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와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옮긴 책으로 『싱크 어게인』 『에고라는 적』 『신호와 소음』 『문샷』 『문 앞의 야만인들』 『두 번째 산』 『소셜 애니멀』 등이 있다, 쓴 책으로는 『1960년생 이경식』 『나는 아버지다』 외 다수가 있으며, 오페라 〈가락국기〉, 영화 〈개 같은 날의 오후〉 〈나에게 오라〉, 연극 〈춤추는 시간 여행〉 〈동팔이의 꿈〉, TV드라마 〈선감도〉 등의 각본을 썼다.
<소셜 애니멀>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