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김주환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대학원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대학원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
  • 경력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부교수
    2010년 한국HCI학회 인문사회학술위원장
    2009년 한국인지과학회 이사
  • 수상 2001년 한국언론학회 신진교수 우수논문상
    199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부문 당선

2014.12.03.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 : 김주환 (KIM JOO-HWAN,金周煥)
현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이자, 휴먼커뮤니케이션연구소장이다. 주로 소통 능력, 회복탄력성, 말하기와 토론, 설득과 리더십, 여론 분석, 뉴로마케팅, 고급통계 등을 주로 연구하고 강의한다. 최근에는 신경과학과 뇌영상 기법(fMRI, EEG)을 이용한 소통지능향상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펜실베니아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탈리아 정부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볼로냐 대학에서 움베르토 에코 교수에게 기호학을 사사하였으며, 보스턴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부문에 당선되어 미술평론가로도 활동 중이다.

한국인지과학회 이사와 HCI 인문사회과학 학술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마음두뇌교육협의회 이사로 있다. KBS2 '생방송 백인토론', EBS '생방송 토론카페' 등의 TV 시사토론프로그램을 수년간 진행한 바 있고, 2011년 KBS 'TV 특강'을 통해 행복커뮤니케이션을 강의하였다. 2001년 한국 언론학회 신진교수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2010년에는 연세대 우수강의 교수로 선정되었다. 저서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 쓰기』,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스피치의 정석』,『드라이브』등이 있다.

<회복탄력성(리커버)>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