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즈미 시키부 Sikibu Izumi

    이즈미 시키부 프로필

  • 국적 일본
  • 출생-사망 0978년 - 1035년

2017.04.27.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이즈미시키부의 출생 연도는 동시대의 다른 여성 작가와 마찬가지로 확실한 자료가 없다. 따라서 그녀를 둘러싼 육친, 또는 연인 등과 연령 차이를 고려해 추정할 수밖에 없는데, 대략 978년 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부친 오에노 마사무네(大江雅致)와 다이라노 야스히라(平保衡)의 딸인 모친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즈미시키부’라는 이름은 부친의 관직명인 ‘시키부(式部)’와, 첫 남편인 다치바나노 미치사다(橘道貞)의 부임지였던 이즈미(和泉) 지방의 지명에서 비롯했다고 전한다. 995년, 이즈미시키부는 18세에 다치바나노 미치사다(橘道貞)와 결혼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혼 이듬해에 미치사다와의 사이에서 딸 고시키부(小式部)를 출산한다. 미치사다의 이즈미 지방관 재임 기간은 999년부터 1003년까지로 알려져 있다. 다메타카 황자가 이즈미시키부 처소를 찾았다고 한다면 그 기간은 1000년부터 그 이듬해인 1001년 9월까지로 고작 1년 남짓인 것으로 추정된다. 미치사다는 이즈미시키부가 아닌 다른 처자를 동반해 새로운 임지인 무쓰 지방관 생활을 시작했는데, 애당초 두 사람이 결별하게 된 원인은 미치사다가 새로운 부인을 만들었기 때문이며, 이에 이즈미시키부도 아쓰미치 황자와 사랑에 빠지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즈미시키부 생애에서 가장 농밀한 시기는 아쓰미치 황자와 함께한 때였을 것이다. 황자는 1007년 10월 2일 사망하므로, 1003년 4월 황자와의 관계가 시작된 이후 4년 정도의 짧은 기간이다. 이즈미시키부는 황자의 사십구재를 맞이해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만가를 읊는다. 아쓰미치 황자가 사망한 지 1년 반 정도 지난 1009년 봄, 이즈미시키부는 이치조(一條) 천황의 중궁 쇼시(彰子: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딸)를 모시는 여관으로 출사한다. 궁정에서 여관으로 지내는 동안 미치나가의 가신이었던 후지와라노 야스마사(藤原保昌)와 만나게 되고, 이윽고 결혼에 이른다. 결혼한 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대략 1009년에서 1011년 사이로 추정된다. 야스마사는 야마토(大和) 지방 지방관을 거쳐 1020년에는 단고(丹後) 지방의 지방관으로 임명되었고, 이때 이즈미시키부는 남편을 따라 단고 지방으로 내려간 것으로 전해진다. 1027년 9월, 야마토 지방의 수령으로 가 있던 남편 후지와라노 야스마사를 대신해 황태후(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딸)의 사십구재에 참석해 옥으로 만든 장신구와 와카를 지어 올렸다는 기록(≪영화 모노가타리≫)이 그녀에 관한 마지막 기록이다. 당시 그녀의 나이 50세 무렵이다. 이후 그녀의 행적은 묘연한데, 58세경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노선숙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이즈미시키부 일기의 심정 표현>에 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일본 쓰쿠바 대학 대학원 문예·언어연구과에서 <이즈미시키부 연구>로 석사 학위를, <이즈미시키부 가집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8년부터 부산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본의 전통적인 시가 표현의 유형과 통사적 고찰을 통해 시어의 생성과 변용, 그리고 그 의미에 관한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저서에 ≪에로티시즘으로 읽는 일본 문화≫(공저, 2013), 옮긴 책에 ≪마음에 핀 꽃 – 일본 고전문학에서 사랑을 읽다≫(역서, 2013) 등이 있다.

<이즈미시키부 일기>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