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주영하

    주영하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62년
  • 학력 중국 중앙민족대학교 대학원 민족학과 박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과 석사
    서강대학교 사학과 학사
  • 경력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인문콘텐츠학회 이사
    한국사회학회 이사
    201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처 처장
    2007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처 연구정책실 실장
    2006년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놀이 연구소 소장
    2006년 한국민속학회 국제협력 이사

2014.12.18.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 주영하
1962년 경남 마산 출생.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과에서 <김치의 문화 인류학적 연구>로 석사를, 중국 중앙민족대학 대학원 민족학과에서 <중국 쓰촨성 량산 이족의 전통 칠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 전공 교수로 재직하면서 동아시아 지역의 음식 문화와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에 힘쓰면서 각종 매체에 음식과 관련한 기고를 꾸준히 하고 있다.
음식 문화 관련 주요 저서로는 《김치, 한국인의 먹거리》, 《음식 전쟁 문화 전쟁》, 《중국, 중국인, 중국음식》, 《그림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역사》, 《차폰, 잔폰, 짬뽕: 동아시아 음식 문화의 역사와 현재》등이 있고, 역서로는 《중국음식문화사》등이 있다.
일견 일상적이고 사소한 듯한 음식 행위는 한 사람 혹은 한 문화집단을 이해하는 표징이 된다. 따라서 음식은 단지 식품학·영양학·농학 등에서 접근할 수 있는 물질적 연구 대상일 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에서도 연구해야 하는 중요한 대상이다. 지난 100년 동안 한국음식은 조리법이나 맛에서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그런데도 학계와 대중은 한국음식의 위대한 역사와 국가와 민족의 이름에 부합하는 내셔널 푸드에만 지대한 애정을 보인다. 21세기 지구촌 사회에서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상호존중 하기 위해서라도 한반도에서 생산·소비되는 에스닉 푸드를 포괄하는 한국음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 연구는 ‘음식의 역사와 문화’에 초점을 두고 출발해야 한다.
― 본문 중에서

<음식 인문학> 저자 소개

주영하 작품 총 10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