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웃는달

2015.11.09.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김시습(1435~ 1493)은 조선 전기의 학자로 호는 매월당입니다.
그는 세 살 때부터 시를 지을 정도로 총명하여 신동으로 온 나라에 소문이 날 정도였어요. 다섯 살 때 세종 앞으로 불려갔는데, 그때 세종이 ‘동자의 배움은 하얀 학이 푸른 하늘 끝에서 춤추는 것과 같다’라고 운을 떼자, 김시습은 ‘임금님의 덕은 황색의 용이 푸른 바다에서 번득이는 듯하다’라 답하여 왕을 놀라게 했다고 해요.
세종 대왕은 어린 김시습에게 비단 50필을 내리며 어른이 되어 꼭 임금을 도우라 당부하였어요. 그러나 김시습의 앞날은 순탄하지 못했어요. 열다섯 되던 해에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돌봐주던 외숙모가 눈을 감은 데 이어, 아버지 마저 중병을 앓기에 이르지요. 그러던 중 계유정난이 일어나 수양대군이 어린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릅니다. 마음을 다지고 과거 시험을 위해 절에서 공부에 매진하던 김시습은 이에 분노하며, 공부하던 책을 모두 불태워버리고, 세상을 등진 채 중이 되어 전국을 떠돌며 글을 지으며 지냈다고 합니다.
김시습이 지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 소설 『금오신화』에는 우리나라를 배경으로한 다섯 편의 짤막한 이야기들이 실려 있어요. 죽은 후에도 잊지 못하는 사랑 이야기 「이생규장전」을 비롯하여 귀신과의 사랑을 다룬 「만복사저포기」, 용궁에 다녀온 선비 이야기인 「용궁부연록」, 죽어 선녀가 된 여인과 사랑을 나누는 「취유부벽정기」, 저승 세계에 대한 여행 이야기인 「남염부주지」등 모두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기이한 이야기들이에요. 이를 통해 김시습은 사회에 대한 불만과 삶의 허망함으로 현실 밖으로 나온 자신의 마음이 고스란히 드러내지요.

<이생규장전> 저자 소개

웃는달 작품 총 17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