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남궁영

    남궁영 프로필

  •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 석사
    충남대학교 법학 학사
  • 경력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예술학부 방송연예과 교수
    시네마훼밀리
    나라기획
    한국섬유직물수출조합

2016.10.13.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김무규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부교수다. 연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과정을 마치고 독일 콘스탄츠대학교 미디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방송학회 영상연구회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이사를 맡고 있다. 한국언론학회에서는 편집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주로 영상 미디어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영화이론과 현대 미디어이론의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앞으로는 이론연구와 병행하여 미디어 교육과 문화콘텐츠 분야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할 계획으로 있다. 박사학위 논문인 “미디어의 배합. 상호미디어성 이론 연구(Mediale Konfigurationen. Ein Beitrag zur Theorie der Intermedialit?t)”가 2003년 하르퉁 고레(Hartung-Gorre) 출판사에서 출판되었으며, 그 외에 저서로는 『서사적 영상에서 성찰적 형상으로. 영화 미디어론』(2012)이 있다. 연구논문으로는 “담론의 언표와 기술적 상상”, “기술적 영상의 형상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 등이 있다.

남궁영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예술학부 방송연예과 교수다. 충남대학교 법과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하였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신문방송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섬유직물수출조합, 나라기획, 시네마훼밀리 등에서 근무했다. 영화 및 뮤지컬 연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광고와 영화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에 관한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다. 현재 대중문화에 대한 기호학적 탐구와 저서를 준비하고 있다. 단편영화 <소년, 소녀를 만나다>(2002)를 각색·연출, 시나리오 <팜므 파탈>(2006)을 각색, <카로마니>(2007)와 드라마 대본 <아파트 일기>(2010)를 발표했다. 뮤지컬 <근초고대왕, 칠지도>(2011)를 각색·연출했다.

배상준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건국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마부륵 필립스대학교 미디어학과에서 영화전공으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문콘텐츠학회 학술이사와 편집이사, ㈜엘에이치 멀티미디어 사업팀 제작이사, 방송공학회 편집이사 등을 역임했다. 유럽의 작가영화와 영화이론, 할리우드의 장르영화 시스템, 디지털 스토리텔링 미디어와 미장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 『유럽 애니메이션 대표작가 24인』(2006), 『영화 예술학 입문』(2009)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영화적 도시-톰 튁크버의 <롤라 런>”, “향토영화 또는 다큐멘터리 경계의 확장:<풀 메탈 빌리지>(조성형, 2007)”, “필름 누아르? 필름 블랑크! – 박찬욱 감독의 <박쥐>(2009)” 등이 있다.

송해룡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석사, 독일 뮌스터대학교에서 뉴미디어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쾰른대학교, 아헨 공과대학의 방문 교수, 한국방송학회 24대 회장,KBS 시청자위원을 역임했다. 최근에 뉴미디어와 디지털미디어의 생태계 변화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스포츠 커뮤니케이션의 미디어 콘텐츠적인 차원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새로운 분야를 융합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뉴미디어 경영론』(1994), 『스포츠 커뮤니케이션론』(1993), 『미디어2.0과 콘텐츠 생태계 패러다임』(2009), 『미디어비즈니스 시장과 생태계』(2010)외에 다수의 저서를 갖고 있다.

이자혜
동서대학교 영상매스컴학부 방송영상전공 교수다.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MBC, KBS, (주)제일기획 삼성 영상사업단 등에서 다큐멘터리 및 교양 프로그램 100여 편을 기획, 집필하였으며 프랑스 파리 3대학에서 기억의 재현 방식에 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콘텐츠마켓(BCM) 집행위원 및 프로그래머, 부산MBC 시청자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영화영상 분야의 대안적 재현방식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시선과 담론』(2008, 공저)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매체 상호간 공유 가능한 스토리 밸류 분석 -영화와 게임의 사례를 중심으로”, “다큐멘터리에서의 외화면 활용을 통한 리얼리즘”,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Sans Soleil)>에 나타난 시간의 재현 방식 연구” 등이 있다.

이제영
관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단법인 미디어미래연구소 책임연구원을 역임했다. 광고홍보, 방송영상,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관한 양적 및 질적 실험연구를 하고 있다. 앞으로는 관심분야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론적 적용과 저서작업에 관심을 기울일 예정이다. 저서로 『미디어와 주관성』 (2010),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2011), 『방송규제와 공영성』(2012) 등이 있다. 논문은 “방송광고의 패러디 소구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수용행태 유형 연구”, “라디오광고의 청각적 표현요소에 관한 인식 유형화 연구”, “스마트미디어와 정치문화 현상” 등이 있다.

이혜경
건양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과 교수다. 충남대학교 대학원에서 “현대한국가족사소설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토리텔링과 국어화법, 문화콘텐츠, 영상미디어, 현대문학 등에서 연구 주제를 찾아 전통적인 서사이론에 새롭게 진화하는 다양한 매체와 장르의 특성을 접목시켜 논의를 넓혀 가는 융합적인 학술활동을 전개 중이다. 한국방송학회, 어문연구학회,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현대문학이론학회, 국어국문학회 등에서 이사 및 편집위원,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전광역시 무대공연작품 심사위원, 충청남도 지역미디어발전위원회 위원, CMB 시청자참여프로그램 운영위원, 입법고시 시험위원 등을 지냈거나 맡고 있다. 논문으로는 “문학작품의 영화로의 전환방식”, “소설과 영화의 이야기 소통”, 저서로는 『한국문학과 신화』(2006, 공저), 『인문한국어』(2009, 공저), 『화법과 프리젠테이션』(2011, 공저) 등이 있다.

이호은
청운대학교 방송영상학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학회 영상연구회회장,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전 TV 프로듀서로서 다큐멘터리와 드라마를 다수 연출하였고, 최근 영상이론의 체계적 적용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다큐멘터리 또 하나의 영화』(2006), 『영상학 서설』(2006), 『현대정치와 미디어선거』(2008) 외에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정동환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전임연구원이다. 사진영상학을 전공하였으며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을 기획, 전시하였다. 사진, 회화, 미술사, 신화, 문화 원형, 스토리텔링 등의 다양한 시각문화콘텐츠의 소통을 주제로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에서 “시각문화(視覺文化)콘텐츠의 소통(疏通) 연구”로 문화예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차원적 감상 매체에서 2∼3차원적 감상 매체에 이르기까지 오늘날의 확장된 미디어 장에서의 감각 표현을 연구하고 있다. 논문은 “광고사진에 활용된 시지각 표현 연구”, “감각 충족 제품 광고의 이미지 소구 차이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청각 충족 제품의 인쇄 광고를 중심으로”, “TV 광고에 적용한 VISUAL IMPACT 연구” 등이 있다.

정태섭
청운대학교 방송영상학과 교수이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에서 제품디자인으로 석사를 받았으며, 동국대학교 영화영상대학원 시각특수효과 연출 박사수료이다. 주식회사 제니큐의 이사를 역임했으며, 프리미어 인터렉티브에서 영상관련 기술 이사를 역임하였다. 인턱렉티브 영상과 영상의 화면분할 및 디자인을 접목한 영상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영상에서의 감성공학과 편집에서의 패턴을 분석하여, 문화적 차이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논문은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속 화면분할과 이미지 충돌”, “TV영상자막의 감성변화에 관한 연구”, “시각특수효과 영상의 이미지분해와 재조합에 관한 사례연구”, “TV 프로그램에서 편집 패턴을 적용한 사례 분석”, “드라마 <뉴하트>의 화면분할에 관한 미학” 등이 있다.

<영상 이론과 실제>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