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주
1994년 문학사상신인상에 “잃어버린 말”로 등단한 작가 장병주는 “아가야 걸어라(1995년 문학사상)”, “회다지 소리(1996년 실천문학)”, “그 여자의 축제(2000년 작가)”, “비로용담을 찾아가다(2002년 문학아카데미)” 등 다수의 중.단편을 발표하였고 2007년 장편 “스칼렛 길리아(문학코리아 刊)”를 발표한 후 세 번째 작품으로 장편소설 “벨자를 쓴 여자를” 집필한 작가이다.
낙산(駞駱山) 아래 동숭동에서 태어난 서울토박이로 숙명여고와 연세대학교 기악과를 졸업한 그녀는 음악에 대한 열정 대신 문학·미술 등에 한눈을 팔며 오랜 기간 방황한 끝에 “잃어버린
말”이 문학사상 신인상(1994년)에 당선되어 작가의 길로 들어선다.
이후 인간지성의 타락, 거짓 사회에 대한 이중적 태도 등에 대한 통렬한 질문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발표하는데, 현실과 상상의 공간인 새장 속의 새 날리기를 반복하며 진실을 추적해가는 “잃어버린 말”, 뻐꾸기 탁란(托卵)을 소재로 입양의 가치를 묘사한 “그 여자의 축제”, 우리 사회 부조리한 교육현장을 희화화한 “아가야 걸어라”, 진실을 외면한 죄의식으로 절필 상태에 빠진 작가의 고뇌를 다룬 “카멜레온의 눈”과 같은 중. 단편을 잇달아 발표하며 첫 창작집 “비로용담을 찾아가다”를 출간한다.
그 후, 사랑의 부정이라는 소재를 전면에 내세워 가부장 세대의 도덕성을 비판하며 상처받은 여성의 생존가치를 제시한 장편 “스칼렛 길리아”를 발표한다.
이처럼 작가는 인간의 선악·미추·정반이라는 이중적 모순에 처한 현대인을 주요인물로 내세워 인간지성의 양심과 현실적 생존문제를 가열차게 질문하고 있다.
그러한 작업의 소산이 바로 세 번째 신작 “벨자를 쓴 여자”다.
<벨자를 쓴 여자>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