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 대사(617~686)는 신라의 스님으로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스님 중 한 사람이다. 원효는 스님이 된 후에 지은 이름으로 ‘첫 새벽’이라는 뜻이다. 대사는 스님을 높여서 부르는 말이다. 원효 대사의 원래 이름은 ‘설서당’ 또는 ‘설신당’이었다. 원효는 불교에 관한 깊은 지식을 사람들에게 가르치고 널리 전하는 일에 온 힘을 바쳤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불교에 관해 그가 쓴 많은 책들이 전해지고 있다.
원효는 자신이 사랑했던 부모와 할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자 삶과 죽음에 의문을 갖기 시작했다. 원효는 그 의문에 대한 해답을 불교에서 찾기 위해 스님이 되었다. 원효는 불교의 경전으로 부처의 가르침을 공부하고, 스승을 만나 깨달음을 얻었다. 그리고 백성들의 삶 속에서 그 가르침과 깨달음을 스스로 실천하며 일생을 살았다.
원효가 살았던 시대는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신라가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백성들의 삶은 나아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원효는 백성들과 함께 지내며 그들의 마음에 평화를 주고 싶었다. 그래서 당시의 스님들이 대부분 큰 절에서 귀족처럼 산 것과 다르게 시골의 마을과 길거리를 돌아다니며 불교를 전했다.
원효는 불교에 관한 공부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불교의 가르침에 관한 어려운 책들을 밤새도록 공부했다. 그리고 그것을 백성들이 알기 쉽게 가르쳐 주었다. 다른 스님들이 자신만의 공부나 기도만 중요하게 여겼던 것과 달랐다. 이런 이유로 그는 한국 불교의 역사 속에서 오늘날까지 잊히지 않는 위대한 스님이 되었다.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을 위한 책입니다. 재미있게 읽으면서 한국어 실력을 키울 수 있는 읽기 책을 만들었습니다. 한국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을 준비하는 외국인, 한국어를 주 언어로 사용하지 않는 해외 교포, 한국어를 배우는 다문화가정의 부모와 자녀들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한국어 읽기 수준에 꼭 맞추었습니다. 한국에서 널리 읽히는 문학작품을 한국어 학습자의 실력에 맞게 다시 썼습니다. 단어와 문장을 읽기 수준에 맞추고 어려운 단어의 뜻을 풀이했습니다. 모르는 단어를 만나도 문제없이 읽어 나갈 수 있습니다. 읽기 수준은 세 단계로 나누었습니다. 자기에게 맞는 책을 골라 읽을 수 있습니다.
한국어의 모든 문장 형태를 만날 수 있습니다. 모두 100권입니다. 옛날이야기, 신화, 고전소설, 현대소설, 동화, 시, 수필, 희곡, 시나리오, 편지 등을 다양하게 담았습니다. 한국의 위대한 인물과 오늘날 한국 사회의 모습도 만날 수 있습니다. 한 권씩 읽는 동안 한국어 실력이 향상되어 더 높은 단계의 책도 쉽게 읽어 나갈 수 있습니다.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함께 배울 수 있습니다.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먼저 읽는 책 ★’ 50권에는 책의 배경지식이 될 만한 그림과 사진을 정성껏 골라서 실었습니다. ‘나중에 읽는 책 ★★’과 ‘끝에 읽는 책 ★★★’ 50권에는 한국의 유명한 인물과 한국의 다양한 사회 모습을 풍부하게 담았습니다.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심화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