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학성과 골계미 속에서 농촌 현실을 형상화했다. 그러나 웃음의 이면에는 어둡고 암담한 모습이 있었다. 김유정 소설에 드러난 자연과 인간, 그리고 불가능한 소망의 관계를 통해 김유정 소설의 비극성과 도덕성의 문제를 살펴볼 수 있다.
김유정 소설에 대한 연구 경향은 다음의 몇 갈래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문체, 인물 묘사에 나타난 해학성과 골계미를 통해 전통적 미학을 찾는 연구와 향토성과 해학성 등의 전통 미학의 배면을 이루는 농촌 현실에 대한 리얼리즘적 형상화에 대한 연구를 들 수 있다. 또 소재, 문체, 방언, 어휘 등에 드러나는 토속성과 전통성, 바보 인물형의 의미에 대한 연구가 있으며, 최근에는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자각과 이와 관련한 매춘 제재의 의미 분석이 행해지는데 이는 김유정 소설이 최신의 연구 방향과도 유연하게 결합되어 원론적 제재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렇듯 다양한 연구 경향은 김유정 소설이 가진 포용성과 유연함에 대한 증명이며 김유정 문학의 미래적 가치에 기인한다.
1931년 김유정은 낙향하여 고향인 실레마을에서 농촌 교육 사업을 펼친 바 있다. 이때부터 김유정의 습작이 본격화된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의 농촌 경험이 김유정 소설의 주된 소재가 된 것은 물론이고 농촌을 바라보는 작가 의식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어주었다.
김유정이 목도한 농촌의 현실이란 자연과 인간의 아름다움을 위협하는 두려움 자체였는지도 모른다. 극도의 가난과 그로 인해 피폐해지는 인성, 기본적 생계도 보장되지 않고 소작농의 관성적 노동으로 구축되는 농경 사회와 같은 조건에서 옳고 바른 인간과 아름다운 자연이란 불가능한 소망일 수 있다. 농경은 삶의 방식이 아니라 삶의 방편에 불과했고, 농민들은 더 이상 정착민도 천하지대본(天下之大本)도 아니었다. 김유정이 목격한 농촌과 농민은 <소낙비>, <노다지>, <금 따는 콩밧>, <떡>과 같은 비극적 소설로 재현되었고, 참담한 운명과 비극적 결말은 김유정 소설의 일반적 특징이 되었다. <봄·봄>, <동백꽃>에 드러난 해학성과 골계미는 김유정 소설에서 이례적으로 두드러지는 몇몇 작품의 특징이라 해야 할 것이다. 김유정이 토속어를 활용하여 생동감 있는 표현을 보여준 것은 사실이나 김유정의 대표작인 <봄·봄>, <동백꽃>에서 보이는 즐거운 해학과 아름다운 자연은 몇몇 작품에 국한되는 것은 물론이며 그마저도 매우 애상적으로 드러나 있다. 그만큼 김유정 눈에 비친 농촌 현실은 어둡고 암담한 것이었다.
인간성의 파괴와 회복
김유정 소설에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불가능한 소망의 관계를 통해 김유정 소설의 비극성과 도덕성의 문제가 드러난다. 이는 가난과 제도의 견고한 벽 앞에서 무시되던 인간성과 도덕성이 회복되는 과정과 다르지 않다. 불가능한 소망을 가능하게 만들고 무너진 인간성을 다시 세우는 것은 결국 인간의 마음이고 신뢰다.
<소낙비>의 춘호는 노름판에 가서 돈을 따 아내와 ‘후한 인심’의 서울로 이사 가서 살 생각에 부풀어 있었다. 이들의 소망은 이루어질 수 없는 불가능의 소망이다. 건너편 금맥이 우리 콩밭으로 이어져 있어 밭에서 콩 대신 금이 나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며 그래서 열흘 만에 소 반 필 값이 생기고 명태를 먹어보는 일 또한 불가능한 일이다. 아내가 몸 판 돈 이 원을 가지고 노름판에 가서 큰돈을 따는 것도 불가능한 일이고 이사 간 서울이 ‘후한 인심’인 것도 불가능한 일이다. 이들은 불가능한 소망에 들떠 불쌍한 아내를 때리고 콩밭에서 콩 대신 금을 따려 하고 생명의 은인을 배반하고 있다. 여기에 김유정 소설의 비극성이 배가된다. 극한의 가난 앞에 파탄에 이르는 인간성의 문제가 사실은 불가능한 소망에 기댈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임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이 키운 벼를 정당하게 베어내지 못하고 몰래 도둑질해야하는 소작농의 비애를 그린 <만무방>에도 불가능한 소망이 나타난다.
<봄·봄>에서 점순이의 키가 크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이는 전제 조건일 뿐이다. 점순이가 크지 않더라도 점순이와 결혼한다면 이는 소망을 이룬 것이고 인간의 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장인을 고마워하는 마음과 사위로 맞으려는 마음이 인간적 신뢰로 만나 소망을 이룬 것이다. <동백꽃>에는 제도적으로 결정된 수직적 관계가 젊은 남녀의 사랑으로 무화되는 모습이 보이는데 이 또한 제도나 사회적 구조로서 불가능한 일들이 인간의 마음과 신뢰로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