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상세페이지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 관심 0
소장
전자책 정가
22,400원
판매가
22,400원
출간 정보
  • 2021.07.28 전자책 출간
  • 2021.04.01 종이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27.2만 자
  • 14.1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28889752
ECN
-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작품 정보

디지털 도구와 플랫폼을 사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이는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살아가기 위한 필수 역량이며, 학습자 개인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줄 뿐만 아니라 그를 둘러싼 세상을 바꾸는 데 사용된다.

만들며 배우기,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방법
사람들은 직접 무언가를 만들고 창조할 때 가장 잘 배운다. 특히 미디어 제작은 학습한 내용을 응용하고 표현하는 데 유용할 뿐 아니라 추상적이고 애매하게 이해했던 내용들을 살아 있는 지식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교사의 전문성과 교과서에 의존한 학습과 달리 만들며 배우기는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생이 서로에게 배우는 배움의 공동체를 형성한다. 미디어 제작으로 배운 것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것은 오늘날의 유동하는 지식을 효과적으로 습득하는 방법이며, 배움을 더욱 의미 있고 수평적이고 흥미로운 과정이 되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소비자에서 생산자 되기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도구를 활용하여 정보에 접근, 분석, 제작, 성찰, 행동하는 것은 학습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학습의 대상이 된다.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가 우리 삶 깊숙한 곳까지 들어온 오늘날, 학교 안팎은 물론 일터와 일상에서 능동적인 디지털 미디어 이용자가 될 것을 요구받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이 디지털 미디어 도구와 기술에 관해 평생학습자가 되어야 한다는 과제를 직면한 셈이다.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소비뿐 아니라 개인의 콘텐츠 생산과 이를 통한 사회적 기여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오늘날, 디지털·미디어 리티러시 역량을 키우고자 하는 모든 이들이 이 책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블로그·팟캐스트·사진·인포그래픽·브이로그·영상·애니메이션·리믹스·소셜미디어… 아홉 가지 미디어로 만들며 배우기
“2부 만들며 배우기를 돕는 아홉 가지 미디어”에는 무료 또는 저렴한 미디어 제작 도구 목록, 아홉 가지 미디어로 만들며 배우기를 실천한 사례, 만들며 배울 때 고려할 점, 각 미디어를 둘러싼 윤리적 문제 들을 총망라했다. 각 장의 후반부에는 그대로 따라 해 볼 수 있는 미디어 제작 활동 가이드가 제시되어 있다.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이론과 실제를 골고루 다룬 종합 안내서다.

원서에 없는 저자 인터뷰, 통계 자료 업데이트, 풍부한 주석까지… “한국 독자들에게 친절한 책”
이 책에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한국 맥락에서의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등을 다룬 저자 인터뷰가 실려 있다. 한국 교사들과 긴밀하게 소통해 온 역자의 사려 깊은 질문과 깊은 통찰이 묻어나는 저자의 답변은 많은 교육자들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불어넣어 준다. 또한 역자는 원서에 인용된 통계 자료 중 최신 자료로 바꿀 수 있는 것을 모두 찾아 수정했고, 한국 독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미국적인 내용이나 용어를 역자주로 상세히 설명했다. 원서가 미국 독자들에게 친절한 책인 것처럼, 이 책도 한국 독자들에게 친절한 책이 되도록 노력했다.

작가 소개

르네 홉스(Renee Hobbs)
로드아일랜드대학교 교수로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인정받는 연구자이자 교육자, 활동가다.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의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다. 연구와 교육, 사회봉사를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발전시키는 것을 사명으로 하는 미디어교육연구소(Media Education Lab) 설립자이자 디렉터이기도 하다. 2013년부터 매해 여름 디지털 리터러시 교사 연수 프로그램(Summer Institute in Digital Literacy)도 운영하고 있다. 미시건대학교에서 영문학과 영화학 학사 학위를, 미시건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학위를, 하버드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미디어 리터러시 실전편: 미디어에 질문하기(Media literacy in action: Questioning the media)』(2021), 『미디어 주의 깊게 보기: 디지털 세대를 위한 프로파간다 교육(Mind over media: Propaganda education for a digital age)』(2020), 『도서관의 스크린: 학교, 대학 지역사회 속 영화와 미디어 리터러시(Library screen scene: Film and media literacy in schools, colleges, and communities)』(2019) 등 다수가 있다.

윤지원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로 한동대학교 언론정보문화학부를 졸업하고 대안교육으로서의 미디어 교육을 살펴본 논문으로 뉴욕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미디어 교육을 통한 탈북자들의 문화적 자신감 증진에 대한 논문으로 템플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시카고의 루스벨트대학교에서 조교수와 부교수(종신교수)로 재직하며 미디어학과 전공주임교수, 학교 안과 밖의 배움을 연결하는 봉사학습(serviceᐨlearning) 담당 보직교수를 지냈다. 다른 꿈과 목표를 품고 학교를 그만둔 후 현재는 미디어교육연구소에 속해 있다. 다수의 학술지와 『미디어 리터러시 인터내셔널 백과사전(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dia literacy)』, 『이데올로기로 움직이는 국가들(Ideocracies in comparison: Legitimation, co-optation, repression)』,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 그리고 다른 문화와의 대화(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intercultural dialogue)』,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으로 세상을 바꾸는 청소년들(Youth engaging with the world: Media, communication and social change)』 등 여러 권의 책에 미디어 리터러시, 탈북자들을 위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북한사회와 문화 등에 대한 글을 실었다.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정치/사회 베스트더보기

  • 결국 국민이 합니다 (이재명)
  • 그 꿈이 있어 여기까지 왔다 (이재명, 스토리텔링콘텐츠연구소)
  • 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박문재)
  • 이재명의 준비 (이재명 곁에서 함께해온 사람들, 더민주전국혁신회의)
  • 오직 민주주의, 꼬리를 잡아 몸통을 흔들다 (이재명)
  • 기울어진 평등 (마이클 샌델, 토마 피케티)
  • 총, 균, 쇠 (재레드 다이아몬드, 강주헌)
  • 정조 책문, 새로운 국가를 묻다 (정조, 신창호)
  • 이재명의 굽은 팔 (이재명, 서해성)
  • 이재명, 대한민국 혁명하라 (이재명)
  • 페이크와 팩트 : 왜 합리적 인류는 때때로 멍청해지는가 (데이비드 로버트 그라임스, 김보은)
  • 이재명의 길 (박시백)
  •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스티븐 레비츠키, 대니얼 지블랫)
  • 한국이란 무엇인가 (김영민)
  • 권력과 검찰 (최강욱)
  • 지구본 수업 1 :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박정주, 황동하)
  • 개정판 | 정치 성향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존 R. 히빙, 케빈 B. 스미스)
  •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 (스티븐 레비츠키, 대니얼 지블랫)
  •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김명철)
  • 법은 정치를 심판할 수 있을까? (최강욱)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