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허균 척독 상세페이지

허균 척독작품 소개

<허균 척독> 한 폭의 종이에 진정(眞情)을 담다
척독이란 편지, 즉 서(書)의 다른 이름이다. 편지는 기록한 재질에 따라 이름이 다른데 비단에 쓴 것을 ‘첩(帖)’, 대쪽에 쓴 것을 ‘간(簡)’, 나무쪽에 쓴 것을 ‘독(牘)’ 또는 ‘찰(札)’, 종이에 쓴 것을 ‘전(箋)’, 봉투를 사용한 것을 ‘함(函)’이라 했다. 척독이란 명칭 역시 본래는 종이 대신 석 자 정도 되는 목판에 옻칠해 글을 쓴 데서 비롯했다. 그 유래는 오래되었으나 하나의 문체로 인정받은 것은 명대(明代)에 이르러서다. 명나라 하복징(賀復徵)은 척독이란 한 폭의 종이에 진정을 요약하는 글로 간략함을 말한다고 정의했다. 명나라 진무인(陳懋仁)은 수간(手簡), 소간(小簡), 척독은 모두 ‘간략하다’는 뜻이며, 진한(秦漢) 이래 친지들 간에 오가며 문답하는 데 쓰인 글이라고 했다. 이후 만명(晩明)에 이르러 척독의 창작이 보편화됨에 따라 점차 문장 분류의 명칭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한마디 짧은 말로 이치의 핵심을 찌르다
우리나라에서는 17세기부터 서서히 일반 서신과 척독을 구별하기 시작했는데, 그 주역이 바로 허균이다. 허균은 척독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명나라 문인들의 척독을 모아 ≪명척독≫을 엮었으며, 명나라의 척독 선집을 두루 읽고 자신도 적극적으로 척독을 쓰고 주위에 전파했다. 허균의 문집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에서는 ‘서’와 ‘척독’을 다른 문체로 구분해 엮었는데, 이는 이후 사대부들의 문집 편차 방식의 기준이 되었다. 허균은 척독의 단사(單詞)와 척언(斥言)으로 이치의 핵심을 곧바로 지적해 사람의 뜻을 설득하면서도 뜻은 말 밖에 있다고 했다. 또한 척독은 진정(眞情)의 표출을 통해 풍부한 서정성을 담고 있으며, 일상생활의 실용적인 문장임과 동시에 예술 영역에서 문학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 것이다.

68명과 나눈 176통의 편지
척독은 편지글이다. 따라서 이 글에는 작가의 내면이 고스란히 나타날 뿐만 아니라 주변 인물과의 교유 관계도 쉽게 살필 수 있다. 이 책에는 허균이 총 68명에게 보낸 176통의 척독을 수록했다. 그 수신인으로는 유성룡, 이항복, 이덕형 등의 정치인, 정구, 이수광, 권필 등의 문학자, 한석봉, 이정, 이매창 등의 예술가, 서산 대사, 사명 대사, 중관 대사 등의 불교계 인사, 기생 이매창까지 다양한 계층의 유명인들을 포함하고 있어 허균의 폭넓은 고유 관계는 물론, 당대 사회의 다양한 모습과 사건들을 파악할 수 있다.

짧은 행간에서 드러나는 개성의 향기
허균의 척독은 대부분 단문이다. 짧은 것은 17자이고, 가장 긴 것도 161자에 불과하니, 지금으로 치면 블로그나 페이스북이 아니라 트위터인 셈이다. 일반적인 서간문의 형식을 파괴하고 짧은 편지 속에 간결미와 함축미뿐 아니라 서정성까지 담은 그의 척독에서는 독창성과 예술성이 돋보인다. 반역죄로 불행하게 생을 마감했지만 ≪홍길동전≫을 비롯한 뛰어난 작품들을 남기고, 과거 급제 후에도 문신들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몇 차례나 장원을 한 천재 문인 허균의 독특한 개성과 인간적인 매력을 만날 수 있다.


저자 프로필


저자 소개

허균(許筠, 1569∼1618)
자는 단보(端甫)이고, 호는 교산(蛟山)·학산(鶴山)·성소(惺所)·백월거사(白月居士)다. 서울 건천동(乾川洞)에서 승지였던 허엽(許曄)의 3남 3녀 가운데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서애 유성룡(柳成龍)에게 학문을 배우고, 둘째 형 허봉의 친구인 손곡(蓀谷) 이달(李達)에게 시를 배웠다.
1585년(17세) 봄에 한성부에서 치른 초시에 급제하고 1589년(21세) 이이첨(李爾瞻)과 함께 생원시에 합격했다. 1594년(26세) 2월 29일, 정시(庭試) 문과 을과에 급제해 승문원(承文院)에서 벼슬하고, 중국어 시험에 연이어 1등을 차지해 5월 3일 요동을 다녀왔다.
1613년 일어난 ‘칠서의 난’에 연루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이첨에게 의탁했으며, 인목 대비의 폐비를 강력히 주장했다. 그러나 칠서의 난 이후로 허균이 꾸준히 역모를 꾀했다는 상소가 잇따라 올라오고, 마침내 1618년 8월 17일 하옥되어 24일 급히 처형되었다.
문집으로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가 있으며 작품으로 ≪홍길동전(洪吉童傳)≫, ≪한정록(閑情錄)≫ 등을 남겼다. 누이 허난설헌과 작은형 허봉의 사후, 이들의 문집 ≪난설헌집≫과 ≪하곡집≫을 각각 엮었으며, 중국 사신 주지번에게 ≪난설헌집≫을 주어 중국에서 유통되게 하기도 했다.

박상수(朴相水)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국사편찬위원회, 온지서당, 중국 어언문화대학교 등에서 한문과 고문서, 초서와 중국어를 공부했고, 단국대학교 한문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전문위원, 단국대학교 강사, 한국한문학회 출판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지금은 전통문화연구회, 고전번역연구소, 국사편찬위원회, 구초회에서 한문 번역과 탈초·강의를 하고 있다.
번역서와 탈초 자료로, ≪간찰(簡札) 선비의 일상≫, ≪고시문집(古詩文集)≫, ≪구소수간(歐蘇手簡)≫, ≪다천유고(茶泉遺稿)≫, ≪동국명현유묵(東國名賢遺墨)≫, ≪동작금석문집(銅雀金石文集)≫, ≪미국 와이즈만 미술관 한국 문화재 도록≫, ≪방산유고(芳山遺稿)≫, ≪붓 끝에 담긴 향기(香氣)≫, ≪사문수간(師門手簡)≫, ≪사상세고(沙上世稿)≫, ≪서포일기(西浦日記)≫, ≪습재집(習齋集)≫, ≪신식(新式) 비문척독(備門尺牘)≫, ≪아언각비(雅言覺非)≫, ≪오가보첩(吾家寶帖)≫, ≪왕양명 집안 편지≫, ≪율곡 친필 격몽요결≫, ≪조선 말 사대부 27인의 편지, 우경 안정구 선생 간찰집≫, ≪주자, 스승 이통과 학문을 논하다≫, ≪중국의 음식 디미방≫, ≪초간독(草簡牘)≫, ≪퇴계 편지 백 편≫, ≪한문독해첩경−문학편≫, ≪한문독해첩경−사학편≫, ≪한문독해첩경−철학편≫, ≪항전척독(杭傳尺牘)≫ 외 다수가 있다.

목차

척독 상(尺牘 上)
1. 서애 정승께 드리는 편지 갑진년(1604) 8월
2. 서애 정승께 드리는 편지 을사년(1605) 2월
3. 서애 정승께 드리는 편지 병오년(1606) 1월
4. 한음 정승께 올리는 편지 을사년(1605) 3월
5. 한음 정승께 올리는 편지 무신년(1608) 3월
6. 오성 정승께 올리는 편지 을사년(1605) 3월
7. 오성 정승께 올리는 편지 경술년(1610) 5월
8. 일송 정승께 올리는 편지 을사년(1605) 2월
9. 황지천에게 올리는 편지 갑진년(1604) 9월
10. 황지천에게 올리는 편지 병오년(1606) 8월
11. 황지천에게 올리는 편지 정미년(1607) 3월
12. 윤월정에게 올리는 편지 병오년(1606) 8월
13. 윤월정에게 올리는 편지 정미년(1607) 8월
14. 윤월정에게 올리는 편지 무신년(1608) 5월
15. 이오봉에게 올리는 편지 갑진년(1604) 9월
16. 이오봉에게 올리는 편지 병오년(1606) 3월
17. 유서경에게 올리는 편지 을사년(1605) 3월
18. 유서경에게 올리는 편지 을사년(1605) 9월
19. 이월사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9월
20. 이월사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1월
21. 신현옹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3월
22. 신현옹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3월
23. 신현옹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10월
24. 신현옹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1월
25. 한유천에게 보내는 편지 신축년(1601) 8월
26. 한유천에게 보내는 편지 신축년(1601) 8월
27. 한유천에게 보내는 편지 신축년(1601) 9월
28. 이창해에게 올리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29. 이창해에게 올리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30. 이창해에게 올리는 편지 기유년(1609) 10월
31. 황사숙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월
32.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을사년(1605) 11월
33.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11월
34.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6월
35.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8월
36.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9월
37.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9월
38.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0월
39.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2월
40.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월
41. 최간이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3월
42. 최간이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3월
43. 정한강에게 보내는 편지 병신년(1596) 9월
44. 정한강에게 보내는 편지 병신년(1596) 9월
45. 정한강에게 보내는 편지 신축년(1601) 3월
46. 정한강에게 보내는 편지 계묘년(1603) 8월
47. 김남창에게 보내는 편지 을사년(1605) 12월
48. 김남창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7월
49. 김남창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10월
50. 김남창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8월
51. 심학이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3월
52. 정화백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10월
53. 이지봉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2월
54. 이지봉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4월
55. 김여수에게 답하는 편지 경술년(1610) 12월
56. 홍녹문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2월
57. 홍녹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월
58. 윤지중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8월
59. 남자안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1월
60. 이중집에게 답하는 편지 기유년(1609) 1월
61. 윤차야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0월
62. 윤차야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1월
63. 홍휘세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4월
64. 홍휘세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7월
65. 제강공자에게 보내는 편지 신축년(1601) 3월
66. 제강공자에게 보내는 편지 임인년(1602) 2월
67. 제강공자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8월
68. 이관송에게 답하는 편지 무신년(1608) 8월
69. 이관송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70. 이관송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1월
71. 이자민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3월
72. 이자민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3월
73. 이자민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4월
74. 이자민에게 보내는 편지
75. 한석봉에게 보내는 편지 갑진년(1604) 10월
76. 한석봉에게 보내는 편지 갑진년(1604) 3월
77. 송천옹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2월
78. 송천옹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2월
79. 경홍을 초대함 을사년(1605) 4월
80. 이실지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6월
81. 이실지에게 보내는 편지 을사년(1605) 7월
82. 이실지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7월

척독 하(尺牘 下)
1.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계묘년(1603)
2.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갑진년(1604) 10월
3.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0월
4.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5.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6.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3월
7.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6월
8.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9. 임자정에게 답하는 편지 정미년(1607) 8월
10. 임자정에게 답하는 편지 정미년(1607) 10월
11. 임자정에게 답하는 편지 무신년(1608) 11월
12.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0월
13.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2월
14.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3월
15.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9월
16.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2월
17.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2월
18.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19.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0월
20.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2월
21.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2월
22. 권여장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5월
23. 권여장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5월
24. 권여장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3월
25. 권여장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2월
26. 박숙야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2월
27. 임약초에게 보내는 편지 기해년(1599) 5월
28. 임약초에게 보내는 편지 기해년(1599) 5월
29. 임약초에게 보내는 편지 기해년(1599) 1월
30. 임약초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2월
31. 임약초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3월
32. 임약초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6월
33.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2월
34.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3월
35.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3월
36.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3월
37.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5월
38.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39.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7월
40.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신축년(1601) 2월
41. 심중경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9월
42. 윤명익에게 답하는 편지 경술년(1610) 12월
43. 조이숙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44. 심부안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7월
45. 조선술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9월
46. 기헌보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1월
47. 정시망에게 답하는 편지 경술년(1610) 12월
48. 임무숙에게 보냄 경술년(1610) 7월
49. 장지국에게 답하는 편지 신해년(1611) 1월
50. 조카 실에게 답하는 편지 신해년(1611) 1월
51. 조카 실에게 답하는 편지 신해년(1611) 3월
52. 양오 조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6월
53. 숙정 민인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2월
54. 용산수령 이할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3월
55. 함산수령 한회일에게 보내는 답장 신해년(1611) 1월
56. 함산수령에게 보내는 답장 신해년(1611) 3월
57. 남궁생에게 답하는 편지 신해년(1611) 2월
58. 조카 채에게 답하는 편지 신해년(1611) 3월
59. 이손곡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4월
60. 이손곡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4월
61. 이손곡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10월
62. 윤오정에게 답하는 편지 기유년(1609) 7월
63. 윤오정에게 답하는 편지 신해년(1611) 4월
64. 홍중인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65. 홍중인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12월
66.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정유년(1597) 8월
67.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2월
68.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5월
69.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5월
70.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월
71.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4월
72.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7월
73.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2월
74.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월
75.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3월
76.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3월
77.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5월
78.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3월
79. 양자점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0월
80. 양자점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81. 이사상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0월
82. 아무개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2월
83. 아무개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8월
84. 이나옹에게 보내는 편지 을사년(1605) 7월
85. 이나옹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월
86. 서산 노사에게 보내는 편지 임인년(1602) 2월
87. 서산 노사에게 보내는 편지 임인년(1602) 3월
88. 서산 노사에게 보내는 편지 임인년(1602) 4월
89. 서산 노사에게 보내는 편지 임인년(1602) 5월
90. 송운 대사에게 보내는 편지 갑진년(1604) 2월
91. 송운 대사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1월
92. 해안 경석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0월
93. 계랑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월
94. 계랑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