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육미당기 상세페이지

육미당기작품 소개

<육미당기> 서유영(徐有英)이 1863년에 지은 한문 장편소설 《육미당기》는 영웅소설로 분류되는 작품이다. 신라 소성왕(昭聖王)의 아들 소선 태자(簫仙太子)가 부왕의 병을 고치고자 험난한 바다를 건너 영약(靈藥)을 구해 오다가 사악한 이복형 세징에게 약을 빼앗기고, 그가 뿌린 독약에 눈이 머는 등 온갖 역경을 겪는다. 조력자의 도움에 힘입어 마침내 중국에 들어간 김소선은 당나라 덕종(德宗)의 사위가 되고 변방을 정벌하는 공을 세우는 한편, 당나라의 공주를 비롯해 세 부인과 세 첩을 맞아들여 신라로 귀국한다.
간략한 서사만 살펴보면 《육미당기》는 기존의 영웅소설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육미당기》는 ‘남성’과 ‘영웅’만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기존의 영웅소설과는 전혀 작품이다. 김소선의 떠남과 귀환의 과정에서 결연을 맺는 여성들의 모험담이 《육미당기》의 또 다른 중심 서사로 펼쳐지기 때문이다. 오히려 《육미당기》에서 김소선의 영웅성은 기존 작품의 ‘영웅’들에 비해 다소 약화되어 있다. 그의 능력은 음악과 문장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언제나 다른 사람들의 조력에 힘입어 활약한다. 반면 여성 인물 백운영은 소극적인 영웅성을 보이는 김소선과 달리 적극적인 영웅성을 보인다. 그녀의 비범한 능력은 ‘문(文)’과 ‘무(武)’를 두루 갖추고 있으며, 자신에게 주어진 ‘여성’이라는 운명을 거부하고, 여러 과정을 거쳐 초월적인 영웅으로 성장해 활약한다.
한편, 설서란과 그녀의 시녀 춘앵의 이야기는 또 다른 층위에 있다. ‘남성’이 아닌 동시에 ‘영웅’도 아닌 그들은 비범한 능력을 갖추지도 못했으며, 영웅으로서 활약하지도 않는다. 그들의 이야기는 수난담이다. 부모와 이별하고 거처할 집마저 불탄 상황에서, 규방의 약질로 성장한 그녀는 바깥 세계의 위협에 정면으로 노출된다. 인신매매와 겁탈을 비롯해 ‘여성’이라는 신체에 가해지는 여러 위협과 이를 피하기 위한 두 여성의 힘겨운 사투는 《육미당기》의 또 하나의 중심 서사다. 결국 김소선에 의해 구원된다는 결말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서사는 ‘남성’도 아닌 ‘영웅’도 아닌 한 개인의 자기 구원의 서사를 보여 준다.


저자 프로필


저자 소개

서유영(徐有英, 1801∼1876?)
자(字)는 자직(子直), 호(號)는 운고(雲皐).
아버지 서격수(徐格修, 1759∼1842)와 어머니 안씨(安氏)에게서 2남 1녀 중 둘째 아들로 1801년(순조 1) 12월 20일에 태어나, 아들이 없던 숙부 서옥수(徐沃修, 1756∼1823)의 양자로 들어갔다. 서유영은 첫 부인 권씨(權氏)와 둘째 부인 박씨(朴氏)를 잃고 양씨(楊氏)와 세 번째 결혼을 하지만, 아들이 없어 사촌인 유위(有緯)의 아들 정보(正輔, 1821∼1898)를 양자로 들였다.
서유영의 저작으로는 한문장편소설 《육미당기(六美堂記)》 외에 야담집 《금계필담(錦溪筆談)》, 시집 《운고시선(雲皐詩選)》이 필사본의 형태로 남아 있다.
서유영의 생애는 그 변화의 굴곡에 따라 세 시기로 나눠 볼 수 있다. 첫째, 과거를 포기한 1830년 이후, 경기도 양주에 살면서 시사(詩社)를 결성해 문인들과 교유하며 지내던 시기. 둘째, 1860년 사릉참봉(思陵參奉), 1865년 의령현감(宜寧縣監)을 지내며, 역사의 비극을 반추하고, 지방 아전들의 폐단과 백성들의 고충을 몸소 겪는 시기. 셋째, 1868년 평안도 삼등(三登)에 유배됐다가, 풀려나 금계(錦溪, 충청도 금산)로 낙향해 지내는 고독한 시기.
서유영에게 있어 가장 득의(得意)의 시절은 첫 번째 시기, 즉 시사(詩社)를 결성해 문인들과 교유하던 시절이었다. 이 시기에 정학연(丁學淵), 정학유(丁學游), 윤정현(尹定鉉), 홍한주(洪翰周), 김영작(金永爵), 박규수(朴珪壽) 등의 동년배 문인들과 시사를 결성해 교분이 자못 두터웠다.
1860년(철종 11)에 음보(蔭補)로 사릉참봉을 지냈는데, 1863년에 소설 《육미당기》를 지었다. 1865년(고종 2) 가을에 역시 음보로 경상도 의령현감에 부임했는데, 3년째인 1868년 가을에 암행어사의 탄핵을 받아 평안도 삼등으로 유배를 간다. 탄핵을 받은 이유에 대해서는, 암행어사와 모(某) 진사(進士) 간에 서로 헐뜯다가 그 분노로 인해 파면됐다고 적었다. 1870년 1월에 유배에서 풀려 돌아오게 되는데, 곧바로 금계로 낙향한 듯하다. 1873년에 야담집 《금계필담(錦溪筆談)》을 저술한다.
족보에도 몰년은 나와 있지 않아 정확한 연도를 알 수 없으나, 1876년까지는 생존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따르면, 1876년(고종 23) 윤5월 3일 조사오위장(曹司五衛將)에 임명했지만, 윤5월 22일 서유영이 신병을 이유로 고사했으며, 같은 날 일종의 명예직이라 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임명했다는 기사가 있다.
서유영의 교유 가운데 흥미로운 사실은 두산(斗山) 서돈보(徐惇輔, 1808∼1876)와의 교유이다. 서돈보는 《육미당기》 권말에 들어 있는 평문 가운데 “나의 벗 남담초의 옥루몽…(吾友 南潭樵 玉樓夢…)”이라는 문구가 든 평문을 적어 《옥루몽》의 작자가 담초 남영로(南永魯, 1810∼1857)라는 문헌적 증거를 제시해 주는 인물이다. 서돈보는 한편으로는남영로와, 다른 한편으로는 서유영과 교우관계에 있었던 것이다. 남영로는 경기도 용인에서 살았는데, 서돈보를 매개로 서유영과의 교유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격찬하는 기록이나, 박지원의 손자 박규수, 정약용의 아들 정학연·정학유와의 교유에서 보듯, 서유영은 실학의 학문적 전통과도 접맥되어 있었다. 서유영의 취향으로 특히 주목되는 면은 도교와 불교에의 관심이다. 그의 이러한 입장은 그대로 반영되어 도교적·불교적 색채를 강하게 띤 《육미당기》를 산출케 된다.

장효현
1955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에서 문학석사학위와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85년부터 호서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1993년부터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2020년에 정년퇴임해 현재 고려대 명예교수로 있다.
미국 스토니브룩뉴욕주립대 방문연구교수(1999), 영국 런던대 SOAS 방문연구교수(2007∼2008), 일본 메이지대 객원교수(2011)로 있었다. 제13회 도남국문학상(1991), 제8회 성산학술상(2003)을 수상했다. 한국고소설학회 회장(2005∼2006), 민족어문학회 회장(2012∼2013), 동방문학비교연구회 회장(2012∼2013)을 역임했다.
주된 연구 분야는 한국고전소설이다. 저서로 《서유영 문학의 연구》(아세아문화사), 《한국고전소설사연구》(고려대출판부), 《한국고전문학의 시각》(고려대출판부), 《심능숙 문학의 연구》(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가 있고, 역주서 《구운몽》(신구문화사), 《옥루몽》(문학동네)이 있다.
시집 《밝아오는 평원》(서정시학), 산문집 《이 아침의 성찰》(아침책상), 간증집 《내가 채워 줄게》(안북스)을 펴냈다.

목차

제1회 보타산으로 태자가 영약을 찾아가고, 자죽도에서 천자의 사신이 사람을 구제하다
제2회 부용각에서 백 소부가 혼인을 정하고, 양류가에서 이모가 곡조를 알아듣다
제3회 과봉루에서 담장 너머 단소 소리를 듣고, 기러기 편에 편지를 보내 바다 건너 소식을 전하다
제4회 고향집으로 돌아가다가 초강에서 도적을 만나고, 남장을 했다가 설부의 데릴사위가 되다
제5회 백 소저가 해운암에서 선도에 들어가고, 김 상서가 파릉교에서 친구를 만나다
제6회 붉은 단장을 사양하고 과거에 응시해 장원에 뽑히고, 금정에서 잔치하며 손님을 머물게 해 서를 짓다
제7회 중매를 잘하여 붉은 기러기가 관직에 봉해지고, 토번 조정에 맞서다가 백랑하에 갇히다
제8회 원수가 계책을 세워 찬보를 사로잡고, 부마가 기회를 타 내력을 알게 되다
제9회 화장대에서 표문을 올려 실정을 아뢰고, 해산으로 돌아가며 편지를 보내 혼인을 사양하다
제10회 삼청전에서 점을 쳐 괘를 얻고, 한 알의 단약으로 죽음에서 살아나다
제11회 여릉왕이 자란궁에서 죄를 따지고, 낙랑왕이 녹운각에서 다시 인연을 맺다
제12회 왕 노파를 속여 연화장을 벗어나고, 꿈에 심원에서 노닐고 묘정을 만나다
제13회 화주부의 자사가 의리를 드높이고, 옥천원에서 부마와 기이하게 만나다
제14회 추향이 동정을 살피다가 비단 주머니를 줍고, 서란 소저가 환난을 벗어나 아리따운 인연을 잇다
제15회 붉은 기러기를 인연하여 여러 낭자가 시를 짓고, 익새 그림의 배를 띄워 행장 갖춰 바다를 건너다
제16회 왜구를 쳐부숴 거듭 개가를 부르고, 모두 신선이 되어 보타산으로 돌아가다

원문
제1회 普陀山太子訪藥, 慈竹島天使濟人
제2회 白傅證婚芙蓉閣, 李謨知音楊柳街
제3회 跨鳳樓隔墻聽簫, 送雁書越海傳信
제4회 返鄕廬楚江遇盜, 假男裝薛府贅壻
제5회 白小姐海雲庵入道, 金尙書灞陵橋證交
제6회 辭紅粧應榜擢魁, 宴錦亭留賓作序
제7회 做良媒赤雁封官, 抗蕃庭白狼滯因
제8회 元帥定計擒贊普, 駙馬乘機識原因
제9회 對粧臺上表陳情, 歸海山貽書辭婚
제10회 三淸殿卜卦問占, 一粒丹起死回生
제11회 廬陵議讞紫鸞宮, 樂浪重會綠雲閣
제12회 誑王婆計脫烟花, 遇妙淨夢遊沁園
제13회 華州府刺史高義, 玉泉院駙馬奇逢
제14회 秋香探信拾錦囊, 蘭姐脫難續芳緣
제15회 會赤雁諸姬賦詩, 泛畵鷁全裝渡海
제16회 破島夷再次奏歌, 返普陀擧家登仙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지식을만드는지식 소설선집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