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재용_1989년 ‘비 오는 날의 수채화’로 영화감독으로 데뷔했다. 2009년 제12회 상하이 국제영화제 합작 프로젝트 마켓 CO-FPC 최고상, 2005년 제39회 대종상 영화제 각색상, 2003년 홍콩 금장상 영화제 최고 아시아 영화상 등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주홍나비』 등이 있다.
김경윤_1957년 전남 해남에서 태어났다. 1989년 무크지 『민족현실과 문학운동』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아름다운 사람의 마을에서 살고 싶다』, 『신발의 행자』, 『바람의 사원』, 『슬픔의 바닥』 등이 있다.
김대원_동양화가이자 문학박사이며, 경기대학교 미대 교수를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조선시대 그림 이야기』, 옮긴 책으로 『중국역대화론』 등이 있다.
김병익_동아일보 문화부 기자를 거쳐 문학과지성사를 창사(1975)하여 대표로 재직했고, 현재 문학과지성사 상임고문이다. 대한민국문학상, 팔봉비평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비평집 『상황과 상상력』, 『지성과 문학』, 산문집 『무서운, 멋진 신세계』 등이 있다.
김선태_1993년 광주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했다. 송수권 시문학상, 시작문학상 등을 수상했고, 현재 목포대 국문과 교수이다. 시집 『간이역』, 『작은 엽서』, 『동백숲에 길을 묻다』, 『살구꽃이 돌아왔다』, 『그늘의 깊이』 등이 있다.
김윤배_1986년 『세계의 문학』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경기도문학상 등을 수상했고, 시집 『겨울 숲에서』, 『떠돌이의 노래』, 『강 깊은 당신 편지』, 『굴욕은 아름답다』, 『따뜻한 말 속에 욕망이 숨어 있다』 등이 있다.
나기철_1987년 『시문학』으로 등단했다. 제주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신성여자고등학교 국어교사로 재직하다 명예퇴직했으며, 시집 『섬들의 오랜 꿈』, 『남양여인숙』, 『올레 끝』, 『지금도 낭낭히』 등이 있다.
문태준_1994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에 시 「처서(處暑)」 외 9편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시집으로 『수런거리는 뒤란』, 『맨발』, 『가재미』, 『그늘의 발달』, 『먼 곳』, 『우리들의 마지막 얼굴』, 『내가 사모하는 일에 무슨 끝이 있나요』, 『아침은 생각한다』 등이 있다.
문효치_1943년 전북 군산에서 태어났다. 1966년 한국일보 및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김삿갓문학상, 정지용문학상, 한국시협상 등을 수상했다. 시집 『계백의 칼』, 『어이할까』, 『바위 가라사대』 등이 있다.
박명성_1963년 전남 해남에서 태어났다. 1982년 극단 동인극장에 입단하면서 연극 ‘여자의 창’으로 배우로서 첫발을 내디뎠고, 이후 극단 신시 창단멤버로 연출가로 활동했다. 1999년 신시컴퍼니 예술감독으로 연극에서 쌓은 경험을 토대로 ‘맘마미아!’, ‘시카고’ 등 뮤지컬을 제작했다. 지은 책으로 『드림 프로듀서』 등이 있다.
박병두_1964년 전남 해남에서 태어나 1992년 ≪월간문학≫, 1997년 ≪문학세계≫ 등에 시와 소설, 수필, 문학평론 등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고산문학상, 이육사문학상, 전태일문학상, 김달진문학상, 대한민국문화예술대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해남으로 귀향해 인송문학촌 토문재를 운영 중이다. 산문집 『흔들려도, 당신은 꽃』, 시집 『해남 가는 길』, 장편소설 『그림자밟기』 등이 있다.
박해현_1990년부터 조선일보 문화부 기자로 일했다. 1999~2004년 조선일보 파리 특파원을 거쳐 문화부 기자로 일하다 2010~2013년 논설위원을 역임했다. 조선일보 문화부 문학전문기자로 일하다 얼마 전 퇴직했다. 지은 책으로 『한국 문화유전자 지도』가 있다.
손택수_199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당선했다. 시집으로 『호랑이 발자국』, 『목련 전차』, 『나무의 수사학』, 『떠도는 먼지들이 빛난다』, 동시집으로 『한눈파는 아이』, 청소년시집으로 『나의 첫 소년』 등이 있다.
송기원_1947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중앙대학교 문예창작과를 졸업했고, 197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경외성서(經外聖書)」,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회복기의 노래」가 함께 당선되어 등단했다. 신동엽창작기금과 오영수문학상, 동인문학상 등을 받았다. 소설집 『월행(月行)』, 시집 『그대 언살이 터져 시가 빛날 때』 등이 있다.
송소영_2009년 『문학·선』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젊은 시인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시집 『사랑의 존재』 등이 있다.
신경숙_1963년 1월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났다.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한 뒤 1985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호암상 예술상 등을 수상했다. 소설 『풍금이 있던 자리』, 『외딴방』, 『엄마를 부탁해』 등이 있다.
신달자_1972년 《현대문학》에 「발」, 「처음 목소리」가 추천되어 등단했다. 정지용문학상, 석정문학상, 김달진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고, 현재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이다. 시집 『북촌』, 『종이』 등, 산문집 『여자를 위한 인생 10 강』, 『엄마와 딸』 등이 있다.
어수웅_문화부 기자가 되고 싶어 1995년 《조선일보》에 입사했다. 문학, 출판, 영화, 여행 담당으로 주로 일했고, 현재 조선일보 문화부 부장이다. 지은 책으로 『파워 클래식』, 『탐독』 등이 있다.
오세영_1942년 전남 영광에서 태어나 전남 장성과 광주, 전북 전주에서 성장했다. 1965~1968년 《현대문학》에 추천되어 등단했다. 서울대 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한국예술원 회원이다. 시집 『사랑의 저쪽』, 『바람의 그림자』, 평론 집 『시론』, 『한국현대시분석적 읽기』 등이 있다.
유성호_연세대 국문학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으로 등단했다. 현재 한양대 국문학과 교수이자 인문대 학장이다. 김달진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서정의 건축술』, 『다형 김현승 시 연구』 등이 있다.
유자효_1968년 신아일보에 시가, 불교신문에 시조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시집 『신라행』, 『성자가 된 개』 등이 있고, 시선집 『세한도』, 시집해설서 『잠들지 못한 밤에 시를 읽었습니다』, 번역서 『이사도라 나의 사랑 나의 예술』 등이 있으며, 현재 한국시인협회장이다.
이건청_196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현대문학상, 한국시협상, 목월문학상, 김달진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등을 수상했고, 한양대 명예교수와 한국시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시집 『실라캔스를 찾아서』, 『곡마단 뒷마당엔 말이 한 마리 있었네』 등이 있다.
이경철_2010년 『시와시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그리움 베리에이션』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한국 현대시 100년 기념 명시』, 명화 100선 시화집 『꽃필 차례가 그대 앞에 있다』, 『시가 있는 아침』, 『천상병, 박용래 시 연구』, 『미당 서정주 평전』, 『현대시에 나타난 불교』 등이 있다.
이재무_1958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났다. 1983년 『실천문학』과 『문학과 사회』 등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월시문학상, 풀꽃문학상, 송수권문학상 등을 수상했고, 현재 (주)천년의시작 출판사 대표이다. 시집으로 『즐거운 소란』 등 이 있다.
이지엽_1982년 『한국문학』 신인상에 시 「촛불」, 198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조 「일어서는 바다」가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평화문학상, 중앙시조 대상 등을 수상했다. 시집으로 『씨앗의 힘』, 시조집으로 『해남에서 온 편지』, 『떠도는 삼각형』 등이 있다.
임철우_198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소설 부문에 당선했다. 이상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고, 소설집 『아버지의 땅』, 『그리운 남쪽』, 『달빛 밟기』, 장편소설 『그 섬에 가고 싶다』, 『등대』, 『봄날』, 『백년여관』, 『이별하는 골짜기』 등이 있다.
장석주_197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애지문학상, 질마재문학상, 영랑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시집 『일요일과 나쁜 날씨』, 『몽해항로』, 『헤어진 사람의 품에 얼굴을 묻고 울었다』 등이 있다.
정끝별_1988년 『문학사상』에 시가, 199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평론이 당선된 후 시 쓰기와 평론 활동을 병행해 오고 있다. 현재 이화여대 교수이며, 유심작품상, 소월시문학상, 청마문학상, 현대시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시집으로 『자작나무 내 인생』, 『흰 책』 등이, 평론집으로 『천 개의 혀를 가진 시의 언어』 등이 있다.
정일근_198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 198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조 부문에 당선했다. 소월시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현재 경남대 석좌교수이다. 시집 『바다가 보이는 교실』, 『기다린다는 것에 대하여』 등이 있다.
조동범_2002년 문학동네신인상으로 등단했다. 청마문학연구상, 딩아돌하작품상, 미네르바작품상, 김춘수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시집 『심야 배스킨라빈스 살인사건』, 『카니발』, 『금욕적인 사창가』 등이, 산문집 『보통의 식탁』 등이, 비평집 『디아스포라의 고백들』 등이 있다.
조용연_1954년 경북 문경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를 졸업했다. 1978년 경찰에 입문해 울산경찰청장, 충남경찰청장 등으로 33년간 재직하다 치안감으로 퇴임했다. 현재 월간 <자전거생활> 편집위원이며, 지은 책으로 『빽 없는 그대에게』, 『반나절 주말여행』 등이 있다.
조용호_세계일보를 거쳐 UPI뉴스에서 문학전문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1998년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했다. 소설집으로 『베니스로 가는 마지막 열차』, 『왈릴리 고양이나무』, 『떠다니네』, 장편소설로 『기타여 네가 말해다오』, 산문집으 로 『꽃에게 길을 묻다』, 『여기가 끝이라면』 등이 있다.
조희문_상명대와 인하대 교수,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한국영화학회 회장, 대통령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 영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위대한 한국인 나운규』, 『채플린』, 『한국영화쟁점 1』, 『조희문영화평론집』 (전2권) 등이 있다.
최동호_1948년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나 경남대와 경희대, 고려대 교수로 활동했다. 197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와 현대문학 추천을 통해 등단했다. 현대불교문학상, 고산윤선도문학상 현대시 대상, 박두진문학상, 소천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시집으로 『황사바람』, 『아침책상』, 시론집으로 『불확정 시대의 문학』 등이 있다.
최수철_1958년 춘천에서 태어나 198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소설 부문에 「맹점」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현재 한신대 문예창작과 교수이며, 윤동주문학상, 이상문학상,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소설집으로 『공중누각』, 『화두, 기록, 화 석』, 장편소설로 『고래뱃속에서』, 『어느 무정부주의자의 사랑』, 『벽화 그리는 남자』 등이 있다.
황지우_1952년 전남 해남군 북일면에서 태어났다. 광주제일고, 서울대 미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홍익대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신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198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연혁’으로 입선했고, 김수영문학상, 백석문학상, 현대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는 고향 해남 현산면 황산리에 집을 짓고 창작에 몰입하고 있으며, 고산문학축전과 인송문학촌 토문재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다. 시집으로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등이 있다.
허형만_1945년 전남 순천에서 태어났다. 1973년 『월간문학』을 통해 시로, 1978년 『아동문예』를 통해 동시로 등단했다. 한국시인협회상, 영랑시문학상, 윤동주문학상, 공초문학상 등을 수상했고, 현재 국립목포대학교 국문학과 명예교수이다. 시집으로 『영혼의 눈』, 『불타는 얼음』, 『황홀』, 『바람칼』 등이 있다.
홍신선_1965년 월간 『시문학』을 통해 시로 등단했다. 현대문학상, 불교문학상, 한국시협상, 김달진문학상, 김삿갓문학상, 노작문학상, 문덕수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시집으로 『서벽당집』, 『겨울섬』, 『우리이웃사람들』, 『다시 고향에서』, 『황사바람 속에서』, 『자화상을 위하여』, 『우연을 점찍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