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개정판 |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 상세페이지

에세이/시 에세이

개정판 |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

소장종이책 정가17,000
전자책 정가30%11,900
판매가11,900

개정판 |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작품 소개

<개정판 |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

고(故) 이민아 목사 9주기를 맞아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 개정판이 새롭게 출간되었다. 약 10년에 가까운 시간이 흐른 지금 암 투병 중인 이어령 교수가 딸을 생각하며 서문을 다시 썼다. 초판에서 한 부를 차지했던 시들이 빠지고 따듯한 삽화와 함께 1, 2부 모두 편지글로만 묶었다. 1부에는 떠나간 딸에게 전하는 아버지 이어령의 말이, 2부에는 고(故) 이민아 목사와 생전 주고받은 편지들이 실렸다.

사랑하는 딸을 보내고 이어령 교수는 세상 모든 딸과 아버지,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모든 이를 위로하려는 마음으로 이 책의 초고를 썼다. 굿나잇 키스를 기대하며 서재 앞을 서성이던 딸을 안아주지 못한 일, 미용실에서 깜빡 잠이 들어 딸의 신부 입장을 늦춘 일, 떠나기 며칠 전 딸이 호텔에서 하룻밤을 더 묵어도 될지 조심스레 묻던 일……. 애도를 위해 딸의 생애를 되짚어보던 저자는 미숙했던 아버지로서 미처 전하지 못한 사랑에 관해 털어놓는다.

죽음은 그 자체로 종결이 아니고 또 다른 시작, 탄생을 의미한다. 병마와 사투하며 저자에게 죽음의 개념은 더욱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드러나지만 딸이 보여주었듯 그것이 허무요 끝은 아니다. 저자는 스스로에게, 딸에게, 상실을 견디는 또 다른 모든 이에게 이야기한다. ‘이제 마음 놓고 울어도 된다’고. 우리의 이별은 또 새로운 만남이 될 것이기에.


출판사 서평

딸을 보내고 난 아버지의 독백은
남겨진 이들을 위로하는 대화가 된다

“딸을 잃었다. 처음에는 나에게만 닥쳐온 비극이라고 생각했지만 사실 모든 사람이 그것을 겪는다. 나와 똑같은 슬픔과 고통을 받는 사람들에게 말을 걸고 싶은 생각이 든다. 당신도 그랬냐고. 그때 그 골목을 지나다가 그런 기억들이 떠올랐느냐고. 그게 죽음인데도 오히려 그 애가 태어나던 때 생각이 나더냐고.” -‘초판 서문’에서

사람들은 남에게 자기의 우는 모습이나 눈물 자국 같은 것을 보여주기를 꺼린다. 울음소리가 새지 않게 수돗물을 틀어놓고 울던 흔한 기억처럼 말이다. 딸을 잃은 슬픔을 독백처럼 쓰던 저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그 글이 점점 딸에게 건네는 대화가 되어가는 것을 느낀다. 방류하듯 쏟아낸 슬픔과 치유의 언어는 그와 아무 관계도 없는 이들에게까지 가 닿는다. 자신을 달래고, 딸을 달래고, 만나면 반드시 헤어져야 하는 모든 이의 운명을 달래기 위해 그는 허무한 생의 끝 맛을 되새기며 자신의 연약함과 아픈 상처를 담담히 드러낸다. “요즘은 왜인지 자꾸 울음이 난다”는 누군가가 일상의 아픔에서 선뜻 고개 들 수 있도록. 마르지 않던 눈물이 기꺼이 그쳐갈 수 있도록. 저자는 딸의 출생부터 영원한 이별까지 짧은 생애를 회상하며 그녀가 이 땅에 남긴 사랑의 자취를 되짚어본다. 수많은 상실을 껴안는 거대한 사랑과 희망의 발견이 바로 이 여정의 종착지가 된다.

네가 태어나는 순간 나도 아버지가 된 것이니까,
전하지 못한 사랑을 대변하는 부(父) 이어령의 고백록

“너는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의 차이였을 뿐이라고 날 두둔해주었지만, 아니다. 진실은 그게 아니야. 그건 사랑하는 방식의 차이가 아니라, 사랑 그 자체의 부족함이었다는 사실을 숨기지 않겠다. 사랑을 표현하는 데는 눈 한 번 깜박이는 순간이면 된다. 그런데 그 순간이 너에게는 어쩌면 일생의 모든 날이었을 수도 있겠구나.” -‘네가 없는 굿나잇 키스’에서

잠자리에 들기 전 굿나잇 키스를 기대하며 서재 앞을 서성이는 아이와 등을 돌린 채 일에 몰두하는 아버지. 그 돌아갈 수 없는 시절을 회상하며 저자는 글로써나마 딸에게 늦은 ‘굿나잇 키스’를 보낸다. 그는 가끔 그런 생각을 한다. 병실에 누워 있을 때, 무료한 오후의 햇살이 방 안을 비출 때, 무엇보다 가장으로서 의욕을 잃고 손등의 파란 정맥만 바라볼 때. 아버지란 무엇이며 자신은 어떤 아버지였나 자문한다.
아내의 입덧을 체한 것으로 오해하기도 하고, 남과 겨루기보다 양보하고 배려하는 딸에게 염려와 경외를 느끼기도 하며, 그녀의 삶에서 일어난 기적적 순간들을 목도하며 더 순수한 진리를 배우기도 한다. 세상 많은 아버지가 딸을 구한다고 믿지만 실은 딸이 아버지를 구하는 일이 더 많다고 저자는 말한다. 마지막까지 미숙하기만 했던 아버지로서 딸을 위한다고 했던 일들이 오히려 아이를 외롭게 하지는 않았는지 그는 뒤늦게나마 아쉽고 미안한 마음을 털어놓는다. 그의 진솔한 고백에서는 서툰 시절에 담지 못한 온유한 사랑이 느껴진다.

“내가 너를 위해 울거나 네가 나를 위해 가슴 아파할 이유가 없다.”
죽음이라는 절벽 앞에 절망하기보다 그 너머 재회의 세계를 관망하다

“나는 이제 너의 죽음에 대해서 더 이상 말하지 않아. 그만큼 죽음이 내 앞으로 가까이 다가왔기 때문이야. 추상명사가 아니라 물건 이름처럼 손으로 잡을 수 있고, 냄새를 맡을 수 있고, 던지면 깨질 수 있는 유리그릇 같은 아주 구상적인 명사로 죽음은 그렇게 내 앞으로 온 거야.” -‘네가 나에게 가르쳐준 그 모든 것’에서

사랑하는 이가 세상을 떠나면 슬픔만 남는 것이 아니다. 흔히 자식은 땅이 아니라 가슴에 묻는다고 한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냥 묻어두는 것만으로 끝나지는 않는다. 어느 서쪽의 지는 노을이 다른 동쪽의 여명이 되는 것처럼 죽음은 그 자체로 종결이 아니고 또 다른 시작, 탄생을 의미한다. 저자는 ‘너는 내 곁을 떠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그는 태어나는 다른 아이의 울음소리에서 딸의 탄생을 기억한다. 그 기억 속에서 딸을 잃은 슬픔을 재생의 기쁨으로 포옹한다.
암과 투병하면서 저자에게 죽음의 개념은 더욱 구체적이고 사실적이게 된다. 하지만 딸이 보여줬듯 죽음이 허무요 끝은 아니다. 그는 슬픔이나 두려움에 사로잡히기보다 지나간 생애를 의젓하게 되돌아본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딸에게, 상실을 견디는 또 다른 모든 이에게 이야기한다. ‘이제 마음 놓고 울어도 된다’고. 우리의 이별은 또 새로운 만남이 될 것이기에. 선혈이 흐르던 상처가 아물고 딱지가 떨어진 아픈 살에서 새살이 돋는다.

딸을 잃은 슬픔을 딛고 자신과 비슷한 고통을 겪는 이들에게 위로를 전하고자 쓰인 이 글은 독자로 하여금 상실의 고통과 좌절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정한 독려의 메시지가 된다.


저자 프로필

이어령

  • 국적 대한민국
  • 출생-사망 1934년 1월 15일 - 2022년 2월 26일
  • 학력 1987년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박사
    196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
    1956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 경력 배재대학교 한류문화산업대학원 석학교수
    세종학당재단 명예학당장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창조위윈회 위원장
    중앙일보 고문
    통일고문회의 통일고문
    1991년 제1대 문화부장관
  • 데뷔 1956년 문학예술 현대시의 환위와 한계, 비유법 논고
  • 수상 2011년 제20회 소충 사선문화상 특별상
    2011년 제24회 기독교문화대상 시상식 문학 특상
    2009년 제2회 한민족문화예술대상 문학부문상
    2009년 마사오카 시키 국제 하이쿠상
    2007년 제2회 마크 오브 리스펙트상
    2003년 제48회 대한민국 예술원상 문학부문
    2001년 서울시문화상 문학부문
    1996년 제24회 일본 국제교류기금 대상
    1992년 일본 디자인문화상
    체육훈장 맹호장
    1979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2022.04.07.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1934년 충남 아산에서 태어났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문학박사, 문학평론가, 이화여대 석좌교수, 동아시아 문화도시 조직위원회 명예위원장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등 여러 신문의 논설위원을 지냈으며, 월간 『문학사상』의 주간으로 편집을 이끌었다. 서울 올림픽 개폐회식을 주관했으며 초대 문화부장관을 지냈다.

대표 저서로 『지성에서 영성으로』 『의문은 지성을 낳고 믿음은 영성을 낳는다』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축소지향의 일본인』 『생명이 자본이다』 『젊음의 탄생』 등이 있고, 소설 『장군의 수염』 『환각의 다리』와 시집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를 펴냈으며, 희곡과 시나리오 「기적을 파는 백화점」 「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 「사자와의 경주」 등을 집필했다. 2021년 한국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화예술 발전 유공자로 선정되어 금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저자 소개

1934년 충남 아산에서 태어났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문학박사, 문학평론가, 이화여대 석좌교수, 동아시아 문화도시 조직위원회 명예위원장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등 여러 신문의 논설위원을 지냈으며, 월간 『문학사상』의 주간으로 편집을 이끌었다. 서울 올림픽 개폐회식을 주관했으며 초대 문화부장관을 지냈다.

대표 저서로 『지성에서 영성으로』 『의문은 지성을 낳고 믿음은 영성을 낳는다』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축소지향의 일본인』 『생명이 자본이다』 『젊음의 탄생』 등이 있고, 소설 『장군의 수염』 『환각의 다리』와 시집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를 펴냈으며, 희곡과 시나리오 「기적을 파는 백화점」 「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 「사자와의 경주」 등을 집필했다. 2021년 한국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화예술 발전 유공자로 선정되어 금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목차

1부 살아서 못다 한 말

0. PREFACE
- 네가 없는 굿나잇 키스
- 목마를 타고 떠나다
1. 탄생, 그리고 시작
- 너 멀리서 어떻게 왔니
- 사랑은 고통으로부터
2. 살고 싶은 집
- 아기집에서 세상의 집으로
- 세상의 집에서 영혼의 집으로
- 어둠 속에 몰래 우는 아버지
3. 여행의 꿈
- 바다에서 아버지를 잃다
- 피아노, 환상의 악기
- 경쟁 사회의 문
- 첫 번째 시험에 들다
4. 딸이 첫사랑을 할 때
- 너의 첫사랑
- 네가 결혼하던 날
- 아버지의 주례사
- LA에서 온 타전 신호
5. 딸이 아이를 낳을 때
-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하지 못한 것
- 할아버지가 된다는 것
6. 교토에서 부치지 못한 편지
- 까마귀 울음이 멈출 때
- 운명의 갈림길
- 깁스에 구멍을 뚫어주는 마음
- 원수를 사랑하라
7. 영혼의 눈을 뜨다
- 운명의 전화
- 어떤 미소에 끌리는 힘
8. 노을종
- 너의 마지막 밤
- 네가 나에게 가르쳐준 모든 것
- 노을이 종소리로 번져갈 때
- 밭 속에 숨은 보물

2부 빨간 우편함의 기적

빨간 우편함의 기적
너는 나의 동행자
우편번호 없는 편지
엄마가 민아에게
뒤에 붙이는 글│이민아와 땅끝의 아이들


리뷰

구매자 별점

5.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8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