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 바르트
20세기의 위대한 신학자 칼 바르트는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의 모토 아래 자유주의와 비복음주의적 신학에
대항해 예수 그리스도의 온전한 진리를 수호하는 일에 헌신한 인물이다. 바르트의 신학적 여정은 1909년
제네바의 어느 개혁교회 부목사로 부임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그는 탄광지역인 자펜빌에서 10년 동안
단독목회를 하며 광부들이 받는 사회적인 억압과 소외에 큰 충격을 받았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1915년
사회민주당에 가입, 인권운동에 뛰어들었다. 이 당시 바르트의 중요한 신학적 전환이 있었다. 1914년 당시
93명의 독일 지성인들이 빌헬름 2세의 전쟁정책을 지지하고 나선 것이다. 그때까지 세상의 불의와 거짓을
개혁할 수 있는 도구로 믿었던 자유주의의 비열한 속성에 혐오감을 느낀 바르트는 신학에서도 자유주의와
결별하게 된다. 1919년 출판된 로마서 주석은 자유주의 신학의 진영에 던져진 폭탄이었다. 바르트는 철학적
합리주의, 현실주의, 객관주의 그리고 인격주의를 활용해 변증신학의 영역을 개척했다. 그의 신학은 인본주의에
기초한 문화적 또는 자유주의적 신학과 구별되는 신정통주의로 불려졌다. 에밀 브루너, 구스타프 아울렌,
라인홀드 니버, 프리드리히 고가르텐 등에 영향을 준 바르트의 신정통주의 신학은 여전히 많은 신학도와
목회자의 신학 사상에도 큰 가르침을 주고 있다.
# 정미현
이화여자대학교 독문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기독교학과 졸업(조직신학 전공)
스위스 바젤대학교 신학부 박사과정 졸업(Dr. theol.)
스위스 미션 21 최고 경영팀 중 1인 역임(젠더와 신학교육 총 책임)
스위스 바젤대학교 총동창회 이사 역임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교수/연세대학교 교목
저서
『또 하나의 여성신학이야기』(한들출판사, 2007)
Reis und Wasser. Eine Feministische Theologie in Korea (Berlin: Frank und Timme, 2012)
Liberation and Reconciliation. Feminist Theology’s Relevance for Korea (Geneva: World Council of
Churches, 2014)
『릴리어스 호튼 언더우드』(서울: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체코 신학의 지형도』(서울: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역서
『살아 있는 유산』(얀 밀리치 로흐만/ 정미현·김원배 공역, 한국기독교장로회신학연구소, 1996)
『마지막 증언들』(칼 바르트/ 한들, 1997)
『초기 기독교 세계의 여성들–여성신학에 대한 역사적 성찰』(수잔네 하이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8)
『훌드리히 츠빙글리』(마르틴 하아스/한국기독교장로회신학연구소, 1999)
『말해진 것보다 더 많이 말해져야 한다. 하나님을 향한 여성신학적 조명』(도로테 죌레/ 한들출판사,
2000)
『켈트 영성 이야기』(필립 뉴엘/대한기독교서회, 2001)
『츠빙글리의 종교개혁이야기』(로버트 H. 외닝거/ 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깨어나는 종교개혁의 영성』(한스 울리히 예거/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환경과 개발』(크리스토프 슈트겔베르거/ 한국신학연구소, 2006)
『신비와 저항』(도로테 죌레/ 이대출판부, 2007)
『장로교의 뿌리 칼빈』(요아킴 스테트케/ 만우와장공, 2009)
『요한네스 칼빈의 생애와 사역』(페터 오피츠/ 한들출판사, 2012)
『울리히 츠빙글리』(페터 오피츠/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 신준호
서울대학교 무역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신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졸업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 졸업(Th. D.)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연구교수 역임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 초빙교수(Wissenschaftlicher Assistent) 역임
저서
『기독교 신학과 자연과학의 대화』(공저, 대한기독교서회)
『아픔의 신학』(한들출판사)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해설』(뉴미션21)
역서
『하나님의 영』(미하엘 벨커/ 대한기독교서회)
『종말론에 관한 과학과 신학의 대화』(미하엘 벨커, 존 폴킹혼/ 대한기독교서회)
『교회교의학』 I/2(칼 바르트/ 대한기독교서회)
『교회교의학』 III/1(칼 바르트/ 대한기독교서회)
『개신교신학 입문』(칼 바르트/ 복있는 사람)
『교의학개요』(칼 바르트/ 복있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