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전쟁과 국제정치, 임진왜란 1권, 신립과 선조와 이순신 상세페이지

전쟁과 국제정치, 임진왜란 1권, 신립과 선조와 이순신

  • 관심 0
소장
전자책 정가
3,000원
판매가
3,000원
출간 정보
  • 2018.09.07 전자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12.3만 자
  • 9.1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63471233
ECN
-
전쟁과 국제정치, 임진왜란 1권, 신립과 선조와 이순신

작품 정보

朝鮮王朝實錄,
申砬의 自決, 宣祖의 播遷, 李舜臣의 거북선



온갖 美辭麗句를 동원하여 美化하고, 갖은 理論과 言說로써 정당화하더라도, ‘백성의 삶’을 보장하지 못 하는 정치는 실패한 정치다. 곧 ‘天命’을 저버린 정치다. 그러므로 응당 새로운 ‘천명’에 의한 征伐이나 革命으로써 변화되게 된다.
그래서 그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경주하는데, 현대사회에 이르도록 대부분의 정치철학적 관점들은, 强大國이 되어서 강력한 覇權을 확보하는 것이야말로, 그러한 상황을 피할 수 있는 현실적 일반론인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그 방법론에 차이가 있을 뿐, 권력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백성의 삶’을 보장해야 한다는 원리가 현실정치에 적용되어야 함은 별다르지 않다.
저 먼 ‘堯舜夏殷周’의 시대로부터 현대의 21세기에 이르도록, 정치는 ‘名分’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철저히 ‘實利’에 의해 작동한다. 현실정치에서 작동하는 ‘명분은 실리의 도구’일 따름이다. ‘명분’을 목적하는데 ‘실리’가 끼어드는 것이 아니라, ‘실리’를 목적하는데 ‘명분’이 끼어드는 것이다.
이 분명한 사실을 시인하지 않으면, 현실정치는 결코 나아지지 못 한다. 이는, 우리 민족의 ‘정치사’에서 가장 ‘명분’에 충실했던 것으로 평가되는 ‘조선왕조’의 정치를 분석함으로써 명확히 검증될 것이다. 실상 ‘조선왕조’의 정치야말로 다분히 ‘실리’를 추구한다.
예컨대, ‘이성계’와 ‘정도전’이 ‘威化島 回軍’을 감행하고, ‘중국에 대한 事大主義’를 선언함으로써 政權의 안정을 도모한 것은, 응당 ‘실리’를 추구한 것이며, ‘명분’을 추구한 것이 아니다. 만약 ‘명분’을 추구했다면, ‘遼東 征伐’을 실행하여 우리 민족 본래의 영토를 되찾으려는 ‘거대한 명분’에 충실하였을 것이다. 단지 ‘조선왕조’의 정권이 아니라, ‘고구려’, ‘발해’, ‘고려’ 등으로 이어지는 웅대한 민족적 숙원에 충실한 것이야말로 ‘명분다운 명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시는 물론이며 현대에서도, 그러한 정치적 선택을 ‘명분’을 선택한 것이라고 평가하지는 않는다. 만약 그러한 선택이 ‘명분’이라고 주장한다면, 그것은 ‘명분과 실리’를 恣意的으로 誤用함으로써 大義名分를 왜곡하는 것일 따름이다.
아울러 ‘동아시아 문명권’에서 ‘명분’의 대표 개념으로서 흔히 강조하는 ‘春秋大義’도, 대체로 그 실제적 활용은 ‘중국’ 중심으로 국가 間의 세력판도를 구축하려는 ‘尊王攘夷’의 ‘실리적 정책’을 공고히 하기 위한 정치적 ‘slogan’이었을 따름이다.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왕조’ 역대 왕들을 중심으로 기술한 歷史書이며, 역대 왕들은 국가를 통치하는 最高權力者로서 代表政治家이다. 따라서 ‘조선왕조실록’에 기술된 내용들이 지극히 정치적일 것임은 明若觀火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조선왕조실록’은 역사서이므로, 歷史學의 전유물이어야만 한다고 쉬이 豫斷해버릴 수 있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의 참된 의미를 살피기 위해서는,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 타당하다.
‘동아시아 문명권’의 대표적 역사서인 ‘司馬遷의 史記’는, 3,000여년의 역사를 526,500글자로 압축하여 인물의 傳記를 위주로 하는 ‘紀傳體’로 기술되었다. 때문에 史實에 대한 디테일이 부족하다. 따라서 자칫 誤讀할 수 있다.
반면에 ‘조선왕조실록’은 ‘太祖實錄’로부터 ‘哲宗實錄’에 이르기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매시간 사건 중심으로 기술하는 ‘編年體’로써 기록하여, 1,893권 888책이라는 방대한 텍스트를 구성하였다. 그래서 ‘조선왕조’의 정치적 상황을 아주 실감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日帝’에 의해 조작되었다는 이유로 ‘조선왕조실록’에 포함시키지 않는 ‘高宗實錄’과 ‘純宗實錄’에서도 유용한 자료들을 취할 수 있다. 특히 ‘政治史’의 측면에서라면 말할 나위 없다.
‘태조실록’ 7권, ‘태조’ 4년 1월 25일 庚申日 1번째 기사(1395년, 明 洪武 28년)에는, ‘鄭道傳’과 ‘鄭摠’이 ‘高麗史’를 편찬하여 바치자, ‘太祖’가 내린 ‘敎書’의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태조의 교서’를 살피면, ‘조선왕조’ 最高權力者의 ‘실록’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원칙이 的確히 지켜질 수는 없었지만, 기본적으로 이러한 인식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태조’는 ‘고려왕조’의 史料가 부실하였음을 지적한다. 역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왕조는 결국 망각되어버리기 때문이다. ‘先史와 歷史’의 분별을 좇는다면, ‘역사의 시대’에 역사에 존재하지 않음은 곧 역사적 멸망인 것이다.
예컨대, 현대에 이르러서도 역사적 문헌이 부재하거나 부실한 탓에 ‘檀君朝鮮’, ‘夫餘’, ‘沃沮’, ‘渤海’ 등은 그 國家 역시 역사적으로 부재하게 되는 상황을 맞고 있다. 모두 逸失되어버린 역사적 상황을 복원하는 일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우리 민족 ‘上古史’의 재정립이 難題인 까닭이다.
‘태조’의 인식처럼, 역사는 후대의 龜鑑이 되어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정확히 기술하여야 한다. ‘동아시아 문명권’에서 대표적인 역사 記述法으로서 제시되는 것이 ‘孔子의 春秋筆法’이다. 그러나 ‘공자’와 같은 ‘聖人’의 ‘春秋直筆’을 좇는 경우마저도, 지나치게 大義名分을 앞세우며, 오히려 자기편에게 유리하도록 역사를 왜곡하여 구성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래서 후대의 ‘申采浩’는 ‘朝鮮上古史’에서 ‘춘추필법’에 대해 비판한다. 그는 朝鮮上古史에서 이렇게 기술한다.
“‘삼국사기’나 ‘고려사’는, 아무 맛없는 ‘어느 임금이 즉위하였다’, ‘어느 대신이 죽었다’ 하는 등의 年月이나 적고, 보기 좋은 ‘어느 나라가 사신을 보내왔다’ 하는 등의 사실이나 적은 것들이요, 위의 두 節과 같이 시대의 본색을 그린 글은 보기 어렵다. 이는 ‘儒敎徒’의 ‘春秋筆法’과 ‘외교주의’가 편견을 낳아서, 전해 내려오는 ’古記‘를 제멋대로 고쳐서, 그 시대의 사상을 흐리게 한 것이다.”
역사를 기록하는 일은 결코 容易한 것이 아니다. 우선 정치권력에 의해 조작되거나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역사를 기록하는 일에는 정치철학의 정립이 동시적으로 요구된다. ‘춘추필법’을 원칙으로 삼은 ‘조선왕조’에서도, 그 내용이 왜곡되는 경우가 적지 않은 탓이다. 그러해서는 歷史書로서 가치를 부여받기 어렵다. 그러나 ‘三國史記’나 ‘高麗史’에 비한다면, ‘조선왕조실록’은 역사에 대한 올바른 기술을 해냈다고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조선왕조실록’은 歷史書인 것으로 규정한다. 그런데 과연 그러한가? 흔히 역사서를 편찬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왕조가 멸망한 뒤에 다음 왕조에서 이전 왕조 전체에 대해서 정리하는 방법으로서 ‘前朝事’라고 한다. 또 하나는 각 王이 죽은 뒤에 다음 대에서 前任 왕에 대해 정리하는 방법으로서 ‘實錄’이라고 한다.
‘실록’이 ‘조선왕조’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동아시아 문명권’의 ‘중국’, ‘일본’, ‘베트남’ 등에도 있다. 예컨대, ‘일본’의 ‘文德皇帝實錄’과 ‘三代實錄’, ‘베트남’의 ‘大南寔錄’, ‘중국’의 ‘大明實錄’과 ‘淸實錄’ 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여타의 ‘실록’이 ‘宮中史’ 위주인 데 비해, ‘조선왕조실록’은 중앙정치 뿐만 아니라 민간의 정치적 상황까지도 赤裸裸하게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조선왕조실록’에 각별한 의미를 부여토록 한다. ‘조선왕조실록’은 ‘太祖實錄’부터 ‘哲宗實錄’까지, 25대 472년에 걸쳐 총 1,893권, 888책이 간행되었다. ‘日帝强占期’에 ‘高宗實錄’ 52권 52책, ‘純宗實錄’ 22권 8책이 간행되었지만, 대체로 이 두 ‘실록’은 ‘일제’에 의해 조작되었다는 이유로 ‘조선왕조실록’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고종실록’ 後期부터는 ‘大韓帝國’의 역사서이므로, ‘조선왕조’의 역사서와는 차별적이라고 할 것이다. 廢位된 왕에 관한 기록은 ‘실록’이라고 부르지 않고 ‘日記’라고 불렀다. ‘魯山君日記(端宗實錄)’, ‘燕山君日記’, ‘光海君日記’가 그것이다.
-하략-

작가 소개

-상략-
현대사회에서도 國軍機務司令部(Defense Security Command)의 戒嚴文件과 관련하여, 군인들의 정치적 행위에 대해 紛亂이 일고 있다. 응당 군인의 使命은 국가을 방위하는 安保이다. 그러나 무작정 안보만을 강조하다 보면, ‘이순신과 원균’의 상황이 재현될 수 있다.
다음은 선조 25년 6월 1일(선조수정실록)의 기사이다.

감사 유영립은 산골짜기로 들어갔는데, 토병들이 적병을 인도하여 습격해서 사로잡았다.
병사 이혼은 도망하여 甲山으로 들어갔는데, 叛民이 추격해 오자, 밭 사이의 土窟에 숨었으나, 마침내 亂民과 싸우다 죽었다.
그리고 갑산 사람들은 부사를 베고 투항하였다. 이에 앞서 북도 사람들이, 武吏들의 침학에 괴로움을 당해, 가장 심하게 국가를 원망하였었다.
그러다가 倭國이 새로운 임금을 세우고, 國政을 개혁한다는 유언비어를 듣고는, 민간에서 떠들썩하게 마음이 기울어, 장수와 관리를 다투어 결박해서 적을 맞이하였다.
두 왕자는 적병이 바로 뒤에 있다는 소문을 듣고, 북쪽을 향해 질주하여 摩天嶺을 넘어갔는데, 尹卓然은 뒤에 쳐졌다.
당시 士大夫로서 脚力이 있고, 운반에 편리한 보물을 많이 가진 자들은, 모두 가족을 북도로 보냈는데, 이들 역시 토병들에게 대부분 약탈당하였다.
그러나 귀양온 士族들에 대해서는, 국가를 원망하는 사람들이라고 여겨 용납했기 때문에, 온전할 수 있었다.

이 기사는 당시 政勢를 여실히 보여준다. 전쟁이 일어나자 임금은 냉큼 서울을 버리고서 도망길에 나선다. 급기야는 중국의 요동 땅으로 도망가야 한다는 의견도 紛紛한다. 그러한 情況은 世間에 금세 傳播된다. 낮말을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 법이며, 발없는 말이 천리를 가는 법이기 때문이다.
時局이 혼란스러워지면 우선 最下層에 있는 세력이 搖動하기 마련이다. 中間層은 이쪽저쪽 눈치를 볼 것이며, 最上層은 어떻게든 현재의 旣得權이 지속되어야 하므로, 가장 의로운 듯한 행위를 하게 된다. 그런데 그 행위의 본질은 자기 세력을 유지하기 위한 發露임을 부정할 수 없다.
임진왜란 당시 생존이 고달픈 계층은, 조선왕조를 지켜내야 한다는 생각보다는, 그 세력이 누가 되었든 현재의 상태가 顚覆되어 어떤 변화가 招來되기를 바란다. 그래서 중국이 조선왕조의 임금을 결정하듯, 새로이 일본이 임금을 결정하여 국정을 개혁할 것이란 流言蜚語를 믿게 되는 것이다.
왜군도 이러한 상황을 잘 알고 있으므로, 조선왕조에 대해 반대할 만한 세력에 대해서는 好意的으로 包容한다. 이는 征服地에 대한 기본적인 植民地政策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일련의 상황은, 조선왕조 말기에 또 다시 재현되었고, 현대사회에서도 유사한 상황은 되풀이 되고 있다. 다만, 임진왜란 당시 義兵이나 僧兵은 별다른 利害 없이 단지 救國을 위해 應戰했고, 일제강점기에 獨立運動家들 역시 그러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우리는 흔히, 朝鮮王朝는 獨尊儒術 이후 동아시아 문화권을 주도하는 儒敎思想을 信奉했으므로, 사상적으로 아주 풍부했을 것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유교사상에 대한 穿鑿은, 오히려 사상의 빈곤을 초래했다. 사상적 다양성을 상실해버린 것이다. 물론 현대적 관점에서 裁斷해버려서는 안 되겠지만, 어떤 하나의 철학사상이 宗敎的으로까지 崇仰되는 사회는, 자연스레 獨裁的 수밖에 없다.
더욱이 안타까운 점은, 본래 유교철학은 나름대로 사상적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왕조의 사상적 근간은 三綱五倫과 事大主義로서 한정되고 말았다. 예컨대, 高麗王朝까지 존속되던 佛敎思想은 물론이며, 孟子의 혁명사상, 李卓吾의 儒家 비판, 王陽明의 陽明學 등을 擧論케 되면, 斯文亂賊으로서 처단된다. 조선왕조 말기에 西學 역시 그러한 맥락에서 배척되었다.
그러니 조선왕조의 철학사상이라는 것이 실로 알량하기 그지 없다. 理氣論처럼 허황하기도 하다. 그래서 그런 儒家思想을 虛學이라고 비판하며 實學을 추구하는 세력이 등장하기도 했으나, 그들 역시 한갓 사문난적에 불과할 따름이었다.
三綱은, 君爲臣綱, 父爲子綱, 夫爲婦綱을 말하며, 이것은 글자 그대로 임금과 신하, 어버이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이다. 그리고 五倫은, 五常 또는 五典이라고도 하는데, 孟子에 나오는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의 5가지로서,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道는 親愛에 있으며, 임금과 신하의 도리는 의리에 있고, 부부 사이에는 서로 침범치 못할 人倫의 구별이 있으며,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하며, 벗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뜻한다.
삼강오륜은 원래 중국 前漢 때의 董仲舒가, 孔孟의 교리에 입각하여 三綱五常說을 논한 데서 유래되어,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과거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왔으며, 지금도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윤리 도덕이다. 그래서 흔히 조선왕조의 역사적 慣性을 논변할 때, 대표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로 삼강오륜이다.
그런데 동중서의 삼강오상은, 陽尊陰卑的 思惟의 發露이며, 이는 기존의 유교철학에 부합되는 것도 아니다. 유교철학의 起源인 周易哲學의 陰陽은 본래 差別的이지 않으며 循環的이기 때문이다. 동중서가 양존음비를 주장한 것은, 그저 男尊女卑를 시행하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측면은 유교철학이 현대에 이르도록,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한 未來的 방향성을 결정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왕조는, 기득권의 유지와 지속을 위해 삼강오륜을 강제하고, 그러한 강제의 사상적 기반인 중국문명에 대한 사대주의를 통치의 勤幹으로 삼은 것이다. 조선왕조의 철학사상이라고 하면, 四書三經을 위시한 四庫全書의 방대한 思想體系를 연상할 수 있지만, 이는 小數 專門家集團의 專有物에 불과했다. 따라서 조선왕조에서 실제로 작동한 유가사상은, 실상 삼강오륜과 사대주의 뿐임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조선왕조에 대해 思想史的인 비판을 제기한다면서 삼강오륜과 사대주의를 벗어나는 주제를 대상으로 삼는다면, 이는 Platon이 논변한 ‘동굴의 그림자’에 대한 현혹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Allegory of the Cave’는, 플라톤의 國家論 제7권에 있는 유명한 비유이다. 플라톤은 제6권에서, 線分의 비유로써, 동굴 안에서 입구 쪽으로 등을 돌리고, 한쪽 방향만 볼 수 있도록, 머리를 고정시켜 묶은 죄수를 상상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구별된 가시적 세계와 可思惟的 세계의 類比를 설명한다.
이때 죄수는, 등 뒤에 있는 불빛에 의하여, 앞면 벽에 비치는 사람이나 동물의 그림자를 實在라고 생각하게 된다. 이것이 可視的 세계에 대립되는 우리들의 관계인 것이다. 그래서 죄수는 석방된 뒤에, 불빛에 의해서 생겼던 그림자의 본체를 보게 되더라도, 여전히 그림자 쪽을 진실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이러하므로 철학사상적 교육은, 말하자면 지하의 薄明에만 익숙해진 인간의 魂을, 분명한 眞實在(Idea)의 세계인 가사유적 세계로 이끌고 나아가서, 태양으로 상징되는 ‘가사유적 세계(to noeton)’ 그 자체를 성립시키는, 궁극적 존재(善의 이데아)로 轉回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유처럼, 우리는 조선왕조의 철학사상에 대한 전통적인 ‘그림자的 착각’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실상 아주 깊숙한 書室에 방치되어 있는 방대한 유교철학사상체계는, 그저 ‘박명의 그림자’일 따름이다. 조선왕조를 실제적으로 작동시킨 정치철학은, 실로 삼강오륜과 사대주의 뿐이기 때문이다.

리뷰

3.0

구매자 별점
1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역사 베스트더보기

  • 쓰는 인간 (롤런드 앨런, 손성화)
  • 황현필의 진보를 위한 역사 (황현필)
  • 고우영 삼국지 올컬러 완전판 1권 (고우영)
  • 만들어진 서양 (니샤 맥 스위니, 이재훈)
  • 손자병법: 세상의 모든 전략과 전술 (임용한, 손무)
  • 나의 한국현대사 1959-2020 (개정증보판) (유시민)
  • 물질의 세계 (에드 콘웨이, 이종인)
  • 최소한의 한국사 (최태성)
  • 거꾸로 읽는 세계사 (유시민)
  • 시대를 넘어 세대를 넘어 먼나라 이웃나라 2 프랑스 (이원복)
  • 기묘한 밤 (기묘한 밤)
  • 정조 책문, 새로운 국가를 묻다 (정조, 신창호)
  • 번역본 백제왕기 / 백제서기 (박창화, 김기홍)
  • 두선생의 지도로 읽는 세계사 : 동양 편 (한영준)
  • 벌거벗은 세계사: 과학편 (tvn<벌거벗은세계사>제작팀, 구지훈)
  • 효기심의 권력으로 읽는 세계사-한중일편 (효기심)
  • 독립정신 (이승만)
  • 고우영 열국지 무삭제판 1 (고우영)
  • 로마인 이야기 1권 (시오노 나나미, 김석희)
  • 징비록 (류승룡)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