歷史的 史實과 實際的 事實
고려왕조 이후 조선왕조를 거치는 동안, 아주 오래도록 중국은, 우리 민족은 물론 동아시아의 先進的 未來像이었다. 그러다가 조선왕조 末期에 이르러 그러한 paradigm이 전복된다. 中國文明이 지닌 儒家式 통치이데올로기적 체제이론이, 더 이상 人類史의 방향성과 일치되지 않기 때문이었다. 게
다가 중국이 社會主義的 Maoism을 체제이론으로 채택하면서, 중국은 한국이나 일본에게 전반적으로 뒤처지게 되었고, 동아시아의 미래를 제시할 수 없는 형편이 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그런 국제정치적 상황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 탓에, 우리 민족은 日帝强占이나 韓國戰爭이라는 뼈아픈 체험을 해야만 했다.
그러다가 러시아를 爲始한 세계의 共産主義 진영이 몰락하면서, 중국은 改革開放을 시도하게 되고, 그 결과 자의반타의반으로 경제적으로 급속히 발전하게 된다. 그래서 이제는 一帶一路式 中國夢으로써, 과거의 榮華를 되찾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중국이 과거의 영화를 재현할 수 있을까. 아무래도 그 전망은 어둡다. 아주 단순하게 살핀다면, 우선 美國이라는 세계 제1의 覇權國이 중국의 浮上을 결코 坐視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無法律의 국제사회에서 공정한 경쟁이란 애당초 실현된 적도 없으며, 실현될 수도 없다. 물론 다양한 형태의 國際法들이 常存한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전쟁이라는 국제정치 방식이 작동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가능한 것이다. 어쨌거나 국제사회에서 어떤 尖銳한 事態가 발생하면, 결국 그것을 해결하는 국제정치적 방법론이 전쟁이었음은, 역사적 사례로써 검증된다.
그러므로 미국은 어떠한 방편으로든, 과거 러시아나 일본의 경우처럼, 중국의 몰락을 실현해 낼 것이다. 그러다가 여의치 않으면, 결국 가장 효율적인 전쟁이라는 방편을 활용할 것임은 明若觀火다. 물론 영국, 러시아, 독일, 일본 등 지난날의 패권국들이 虎視眈眈 패권국의 지위를 노리고 있음으로, 미국 역시도 과거의 페르시아나 로마처럼 역사의 뒤안으로 사라지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다만, 현재로서는 여러 측면을 감안할 때, 미국의 패권국으로서의 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21세기 지금 여기에서 우리 민족은, 마치 조선왕조 말기처럼, 국가의 생존을 위해 부득이하므로, 또 한번의 선택을 해야만 한다.
歷史에 대한 대표적인 誤解 중 하나가, 역사는 분명한 사실의 기록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나름대로 公證되었다는 歷史書에 기록된 것이라면, 眞實(truth)로서 결정되어진다. 그런데 역사는 史實(historical fact)의 기록이며, 事實(fact)의 기록인 것은 아니다.
實狀, 事實을 기록한다는 일은 物理的으로 불가능하다. 21세기 첨단의 시대라고 해도 그러하다.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온갖 기록매체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記錄者의 樣相도 아주 다양하다. 이제 역사 기록은 전문적인 歷史家들만의 專有物이 아닌 것이다. 그런데도 발생한 역사적 事件 全部를 기록한다는 것은 不可하다.
예컨대, 한 개인의 日常이나 日記를 살피더라도, 하루 중 자기에게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인상적인 사실만이 기억되거나 기록될 따름이다. 더욱이 하루 중 대부분의 상황은, 아주 인상적인 사건을 제외한 日常事들은 며칠만 지나더라도 망각되어버린다. 그저 取捨選擇된 것이 기록될 따름인 것이다.
集團의 역사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史實은 기본적으로 역사적으로 기록될 만한 의미나 가치를 지닌 것이어야 한다. 그런 것이 史實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역사는 勝子와 强者에 의해 기록되기 마련이다. 그러니 대부분의 역사 기록자는 승자 혹은 강자이다. 물론 패배한 敗子로서, 패배의 痛恨을 기록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 역사서들은, 자칫 歪曲되거나 逸失되어버리기 십상이다.
예컨대, 필자의 경우에도, 지난날 철학과 대학원에서 십수 년을 지냈지만, 그 세월동안에 딱히 기억되는 일은, 집단적 下剋上에 의해, 하릴없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던, 필자의 씁쓸한 상황 뿐이다. 당시 필자에게 집단적으로 폭력적 비난을 쏟아붓던 자들은, 당시의 사태가 이미 의미없이 망각되어버렸거나, 失笑를 날리며 지난날 지극히 稚氣어린 짓거리였다고 회상될 것이다.
하지만 필자로서는, 인생의 방향성을 바꾸어버린 侮辱이었으며 羞恥였다. 물론 당시에 필자가, 다소 집단의 구미에 맞지 않는 言行을 하여, 빌미를 제공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自稱 他稱 대한민국 最高의 지식집단이라는 곳에서, 그처럼 천박하고 유치한 체험을 해야만 했던 필자로서는, 당최 당시의 기억이 망각되지 않는다.
그리고 당시 유독 앞장서서 온갖 천박한 말을 지껄여대던 자들은, 이후 대학이나 연구소에 임용된 것 같지도 않고, 지금은 어디에서도 소식을 알 길 없다. 그저 우둔하여 교수나 동료들의 부추김으로 앞세워졌지만, 결국 부질없는 소모품으로 전락해버린 듯하다. 흔히 裏面의 진실을 알지 못하는 대중들을 개돼지라고 卑下하는데, 그들의 꼴이야말로, 한순간 이용된 후 兎死狗烹되어버린, 개돼지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인상적인 사건은, 이제 필자에게는 하나의 歷史的 史實이 되었다. 혹여, 그런 집단적 상황을 체험해보지 않았다면, 설마 그럴까 하며 의아해 할는지 모른다. 그런데 ‘가방끈 길이’가 제아무리 길더라도, 인간존재의 행태는 별다르지 않다. 汝矣島 國會議事堂에 모인 자들이, 가방끈이 짧아서, 三尺童子도 하지 않을 그런 천박하고 유치한 짓거리를 恣行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그래서인지 우연찮게 잔뜩 먹물 들어버린 필자의 신세가, 자꾸만 조선왕조의 雜多한 黨爭의 상황 따위에 오버랩되었던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닌 듯하다. 역사는 진실된 것도 아니고, 선한 것도 아니며, 아름다운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든 역사를 美化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이는 매우 그릇된 것이다.
이 글을 읽는 그대의 삶은 어떠한가. 아주 진실되고 선하며 아름다운가. 살다본면 온갖 거짓과 악함과 추함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그대의 삶이 행복만 가득한 천국과 같은 것이던가. 그래서 인생이란 派瀾苦海를 표류하는 일이라고 하지 않던가. 역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왜곡되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나쁜 의도에서 역사를 일그러뜨리는 일도 왜곡이지만, 좋은 의도라면서 역사를 꾸며대는 일 역시 왜곡임을 유념해야 한다.
‘太祖 李成桂’의 族譜와 성장과정은, 太宗實錄의 總序에 잘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특히 인상적인 점은, 이성계의 성장과정에 관한 묘사에 있다. 이성계는 22세에 관직에 진출한다. 그러는 동안, 이성계의 생활을 代辯하는 일은, 활 쏘는 일, 말 타는 일, 사냥하는 일 등이다. 그의 성장과정 중에, 당최 文明的인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음은 태조실록 총서 편에 記述된, 이성계의 활 솜씨와 사냥 솜씨에 관한 내용의 기사 4편이다.
“1. 태조가 일찍이 한더위에, 냇물에 목욕을 하고 난 후에, 냇가 근방의 큰 숲에 앉아 있는데, 한 마리의 담비가 달려 나오므로, 태조는 급히 화살 하나를 뽑아 쏘니, 맞아서 쓰러졌다. 또 한마리의 담비가 달려 나오므로, 쇠 화살을 뽑아 쏘니, 이에 잇달아 나왔다. 무릇 20번 쏘아, 모두 이를 죽였으므로 도망하는 놈이 없었으니, 그 활쏘는 것의 신묘함이, 대개 이와 같았다.
2. 태조가 어릴 적에, 산기슭에서 사냥을 하다가, 멧돼지 한 마리를 쫓아, 화살을 시위에 대어 쏘려고 했으나, 갑자기 백 길의 낭떠러지에 다다르니, 그 사이가 능히 한 자도 되지 않았다. 태조는 말 뒤로 몸을 빼어 섰고, 멧돼지와 말은 모두 낭떠러지 밑으로 떨어졌다.
…태조가 갑자기 보니, 호랑이가 자기 곁에 있는데 매우 가까운지라, 즉시 말을 달려서 피하였다. 호랑이가 태조를 쫓아와서, 말 궁둥이에 올라 움켜채려고 하므로, 태조가 오른손으로 휘둘러 이를 치니, 호랑이는 고개를 쳐들고 거꾸러져 일어나지 못하는지라, 태조가 말을 돌이켜서, 이를 쏘아 죽였다.
3. 젊었을 때 환조를 따라 사냥을 하는데, 환조가 화살을 뽑아서 보고 말하기를, 사람의 쓸 것이 못된다고 하면서, 이를 땅에 던지니, 태조가 이를 주워 화살통에 꽂고 앞에 섰는데, 노루 한 마리가 나오므로, 태조가 달려가서 쏘니, 화살 한 개에 죽었다. 또 노루 한 마리가 나오므로, 또한 그와 같이 하였다. 이같이 한 것이 일곱 번이나 되니, 환조가 크게 기뻐하면서 웃었다.
4. 태조가 환조를 따라 나가서 사냥을 하다가, 짐승을 보고 빙판의 비탈길에 말을 달려서 쏘면, 번번이 맞히어 한 마리도 빠져 도망가지 못하였다. 백성들이 놀라 탄식하기를, 도련님께서는 세상에서 대적할 사람이 없겠습니다. 라고 하였다.”
위에 인용된 4편 이외에도, 태조실록 총서 편에는, 이성계의 활 솜씨, 말 타는 솜씨에 대한 묘사가 다수 등장한다. 어찌보면, 이성계라는 인물은 활 솜씨와 말 타는 솜씨 외에는, 별반 내세울 능력이 없는 인물로 여겨질 정도다. 어쨌거나 이성계는, 당시 그 지역의 최고권력자 집안의 소속이었다. 그런데도 문화나 교양에 관련된 교육은 전혀 받지 못한 것이다.
자랑스레 왕조실록의 첫 페이지에 기술한다는 내용이, 고작 활 쏘며 사냥하고, 그런 것을 사람들이 칭송한다는 내용일 뿐이다. 그러니 고려왕조 말기에, 북방지역의 교육 상황이 어떠했는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실상 북방지역에서 권력을 찬탈하고 유지할 수 있는 방편은, 엘리트주의적 지식이라기보다는 실제적인 폭력적 武力이었다.
또한 이성계는 애당초 王族이 아니므로, 帝王學 따위를 교육받을 리 없다. 따라서 다소 이해되는 측면이 없지 않다. 여하튼 조선왕조의 첫 임금이, 청년기에 이르도록 다소 무식한 상태에 있었음을, 이처럼 역사적 사실로써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조선왕조가 유독 儒家的 文化國家의 定立에 목을 맸는지 모른다. 왕조의 開祖가 아주 무식한 사냥꾼이었다는 사실이, 핸디캡이 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성계는 분명 관직에 진출하였으니, 文盲일 리 없고, 나름대로 기본적인 교육은 받았을 것이다. 아무리 변방의 명문 귀족으로서 ‘금수저’라고 해도, 문맹인 자를 관리로 등용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성계는, 적어도 書信을 해독하거나, 戰鬪報告書를 기술할 수 있는 수준이었을 것이며, 관직에 있으면서 大學衍義를 즐겨 읽었다고 하지만, 각종 經典에 대해 심오한 연구를 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아래의 태종실록 총서 편의 기술처럼, 자기의 자식들에게는 아주 강한 교육열을 지니게 된다. 이성계의 시대이든, 현대사회이든, 當代의 통치이데올로기에 부합하는 지적 능력을 배양함은, 생존을 지속하는 방편임은 자명하다.
“태조의, 활달하여 세상을 구제하는 度量과, 仁厚하여 생명을 아끼는 德은, 天性에서 나왔으므로, 功勳이 크게 빛났으나, 더욱더 겸손하고 공손하였다.
또 본디부터 儒術을 존중했으므로, 일찍이 家門에서 儒學을 業으로 삼는 사람이 없음을 불만히 여겨, 殿下(李芳遠)로 하여금, 스승에게 나아가서 학문을 배우게 하니, 전하께서도 날마다 부지런하여 글읽기를 게을리하지 아니하였다.
태조가 일찍이 이르기를, 내 뜻을 성취할 사람은 반드시 너일 것이다. 하였다.
妃 康氏가 매양 전하의 글읽는 소리를 듣고 탄식하며 말하기를, 어찌 내가 낳은 아들이 되지 않았는가? 하였다.
이 해에 전하가 科擧에 급제하니, 태조가 대궐 뜰[闕庭]에 절하고는 매우 감격하여 눈물을 흘렸다.
후에 제학(提學)에 임명되니, 태조가 매우 기뻐하여, 사람을 시켜 官敎를 읽기를 두세 번에 이르렀다.
태조가 매양 賓客과 연회할 적에, 전하로 하여금 聯句를 하게 하고 문득 이르기를, 내가 손님과 함께 즐김에는, 네 힘이 많이 있었다. 하였다.
전하께서 聖德을 成就한 것은, 비록 天性에서 출발하였지만, 실은 태조께서 학문을 권장함이 부지런하였기 때문이었다.”
-하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