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중국 역사 중세, 수 당 오대십국 송 요 금 북송 남송 상세페이지

중국 역사 중세, 수 당 오대십국 송 요 금 북송 남송

  • 관심 0
e퍼플 출판
소장
전자책 정가
3,000원
판매가
3,000원
출간 정보
  • 2019.11.01 전자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12.9만 자
  • 10.1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63477938
ECN
-
중국 역사 중세, 수 당 오대십국 송 요 금 북송 남송

작품 정보

중국 역사 중세

1. 수나라(581~618), 남북조(420~589) 멸망시키고 통일하다

21세기 현재에 이르도록, 대한민국에서 중국의 역사를 살피는 관점은, 대체로 事大主義的이다. 그러한 까닭은, 李氏朝鮮의 역사적 관성이, 지금 이 순간까지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그러다보니 중국 역사에서 유독 ‘漢나라, 宋나라, 明나라’ 시절에 집중한다. 이 3개 왕조가 漢族의 왕조이기 때문에, 중국 역사의 정통성을 갖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그것은 漢族中國人의 관점에서는 온당하다. 그러나 한국인으로서는, 우리의 관점에서, 중국 역사를 살피는 것이 마땅하다.
중국 역사가 동아시아의 패권국으로서 위상을 정립한 시기는, 대부분 북방 유목민족의 왕조가 중국대륙을 점령하던 시기였다. 隋나라, 唐나라, 元나라, 淸나라 등이 그러하다.
더욱이 이러한 북방유목민족 왕조들은, 古代에는 東夷族 계열의 세력이었다. 따라서 동일한 동이족 계열인 韓民族으로서는, 이민족으로서 중국대륙을 장악한 왕조의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지지리도 쪽팔리는’ 李氏朝鮮의 小中華主義的 관점을 좇아, 북방유목민족 왕조의 역사를, 오랑캐 세력에 의해 중원대륙을 점령당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은, ‘짱께’들의 관점에서 온당한 것이지, ‘짱께’들로부터 동일한 오랑캐로 취급당하던 한민족에게 온당한 인식일 수는 없다.
그러니 되도록, 이민족 왕조 중심의 중국 역사를 재구성하여 살펴야 한다. 기존의 중국 역사는, 그야말로 ‘한나라, 송나라, 명나라’ 중심이다. 그래서 이씨조선 500여 년 동안, 朱子學이 猖獗했던 것이다.
주자학이라는 학문 자체에, 어떤 문제가 있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러한 상황이 연출되었던, 국제정치적 propaganda에 대해 인식해야 한다는 의미다.
李成桂와 鄭道傳은, 자기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事大主義를 闡明했다. 易姓革命 당시에는, 우선 권력을 簒奪해야 하므로, 그런 절박함이 있었다지만, 찬탈 이후에는, 그러한 사대주의로부터 벗어나려는 노력이 요구되었다.
그런데 이씨조선은, 점점 더 깊은 小中華主義의 늪으로 빠져들었고, 결국에는 ‘일본 텐노 전체주의’ 세력에 의해, 나라를 통째로 빼앗겨버리는 지경에 이르고 말았다.
그러한 사대주의적 소중화주의가, 21세기 현재에도 여전히 역사적 관성으로써 작동하고 있다. 중국 역사를 굳이 ‘한족 짱께’ 중심으로 살피려는 작태만 보아도, 여실히 검증된다고 할 것이다.
중국대륙의 中世期 역사를 살피다 보면, 姜以式, 乙支文德, 楊萬春 등의 이름을 만나게 된다. 이들은 모두, 수나라와 당나라의 고구려 침략전쟁을 격퇴시킨 인물들이다.
그런데 중국의 역사는, 이들과 관련된 부문이, 자기네에게 쪽팔리는 역사이므로 貶毁하고 縮小하였다지만, 우리나라의 역사에서도, 이러한 인물들에 관한 史料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우리나라의 대표 歷史書인, 三國史記를 지은, 고려 중기의 金富軾으로부터, 철저한 事大主義者였던 까닭이다.
그래서 이후 이어지는 역사에서, 그들의 기억은 차츰 희미해져 갔다. 대놓고 事大主義를 闡明한 李氏朝鮮 시절이라면, 더 이상 말할 나위 없다. 외려 그들을 역적으로 묘사하지 않은 것이 다행스러울 지경이다.
예컨대, 안시성 싸움에서, 양만춘의 화살에 맞아, 당태종 이세민이 애꾸가 되었고, 그로부터 臥病되어 痢疾을 앓다가 죽어갔다는 史實은, 겨우 고려시대의 詩 한 쪽에 남아 있을 따름이다.
그러면서 동아시아 어느 역사책에서도, 그 사건에 관한 기록은, 죄다 삭제되어버렸다. ‘짱께’들은 자기들이 쪽팔리므로 그러했다지만, 우리 선조들은 왜 그런 짓을 자행한 것일까.
물론 두말할 나위 없이, 대가리에 먹물 든 기득권층들이, ‘짱께’들에게 잘 보여, 자기들의 利權을 지켜내며, 享有하려는 의도였다.
그러니 아울러, 고작 그런 정도의 의식 수준에서 주장되는, 舊弊的 이데올로기가, 그 잘난 春秋大義에 의한 春秋筆法이라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21세기에 이르러서도, 양만춘과 당태종에 관련된 사실은, 전설과 같은 野史에 불과하다는, 주장을 하는 자들이 적지 않다. 참으로 한심스러운, 얼빠진 자들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니 역사를 살필 때에는, 기껏 正史라고 떠들어대는 것일지라도, 그것 역시, 정치적으로 교묘히 脚色되고 潤色된 史實에 불과할 따름이라는 事實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양만춘에 관하여, 안시성 전투를 제외한 삶은, 모든 것이 미상으로, 대부분의 역사서에는, 그 이름조차 現存하지 않는다.
現傳하는 기록 중에서, 梁萬春이란 이름이 최초로 등장하는 것은, 16세기 明나라의 소설 唐書志傳通俗演義, 약칭은 唐書演義 혹은 唐書志傳이다. 太宗東征記는, 이 책의 후반부를 이른다.
尹根壽, 宋浚吉, 朴趾源 등, 조선의 많은 문인들이, 당서연의를 채용하면서, 양만춘이란 민족 영웅의 이름이 널리 퍼졌다.
한편에서는, 성씨가 梁이 아니라, 楊이라 주장하였고, 楊萬春 역시 널리 통용되었다.
金富軾은 私論으로, “당 태종은 고명한 불세출의 임금으로, 난을 평정함은 탕왕과 무왕에 비할 만하고, 통치는 성왕과 강왕에 가까웠다.
용병술은 그 기묘함이 끝이 없고, 향하는 곳마다 대적할 자가 없었다. 그럼에도 동방 정복만은 安市城에서 패하였으니, 그 성주는 가히 비범한 호걸이라 하겠다.
다만 사서엔 그 성명조차 전하지를 않으니, 양웅이 제나라와 노나라 대신들의 이름은, 사서에 남지 않았다고 한 바와 다르지 않다. 심히 애석하도다.”라 하였다.
三國史記의 편찬자 金富軾(1075~1151)은, 고려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경주, 자는 立之, 호는 雷川이다.
高麗 仁宗의 명을 받들어, 鄭襲明, 金孝忠 등 10인과 함께 三國史記를 편찬하였다. 시호는 文烈이다.
김부식이 관직에서 물러난 뒤인, 1145년(인종 23년)에, 삼국사기 50권의 편찬이 완료되었다. 의종이 즉위하자, 樂浪國開國候로 봉했고, 그 뒤 김부식은 仁宗實錄의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송나라의 使臣 路允迪이 왔을 때, 館伴使로서 그를 맞아들였고, 같이 왔던 徐兢이, 그의 高麗圖經에 김부식의 집안을 실어, 송나라 황제에게 진상함으로써, 김부식의 이름은 송나라에도 유명하였다.
1151년(의종) 5년, 77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세상을 떠난 지 19년 후, 武臣政變이 일어나, 鄭仲夫에 의해 剖棺斬屍를 당한다.
1123년, 중국 송나라의 국신사로 고려를 다녀갔던 徐兢은, 宣和奉使高麗圖經에서, 김부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博學?識해 글을 잘 짓고, 고금을 잘 알아, 학사의 신복을 받으니, 그보다 위에 설 수 있는 사람이 없다.”
신채호는, 1929년, 朝鮮史硏究草, ‘朝鮮歷史上 一千年來 第一大事件’에서,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西京叛亂軍 토벌을 지휘한 것에,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하였다.
“고려부터 조선까지 1천 년간, ‘묘청의 난’보다 지나친 대사건이 없을 것이다. 이 사건에 대해, 역사가들은 왕의 군사가 반역자를 친 전쟁으로 알았을 뿐이었다. 만일 이와 반대로, 김부식이 패하고, 묘청 등이 이겼더라면, 朝鮮史가 독립적이며 진취적으로 진전했을 것이다.”
반면, 한국 史學 1세대로 평가되는 역사학자 이기백은, “三國史記는 합리적인 유교적 史觀에 입각하여 씌어진 史書로, 이전의 神異的인 고대 사학에서 한 단계 발전한 사서이다”고 호평했다.
양만춘 등은 역사에서 사라지고, 김부식 등은 역사에서 부각되는 것처럼, 현재 대한민국의 사학계가 대체로 이러한 분위기이나, 어쨌거나 事大主義的 史觀을 수용할 수도 없으며, 수용해서도 안 된다.
당 태종이, 安市城主 楊萬春이 쏜 화살에 맞아, 한쪽 눈을 잃었다는 이야기가, 14세기 고려의 시에 등장한다. 이 시는, 고려후기 牧隱 李穡(1328∼1396)의 貞觀吟이다.
이색은, “어찌 알았으랴. 현화(당태종의 눈)가 백우전(화살)에 떨어질 줄을(那知玄花落白羽)”이라고 읊었다.
이후,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등, 여러 수필집, 시가집, 야사에 등장한다. 이러한 역사적 기록들이야말로, 우리 韓民族의 관점에서 기술된, 참된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외교적 차원에서, 굳이 이러한 기록들을 중국 측에 내세워서, 외교적 분쟁을 야기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우리 민족 스스로는, 우리 민족의 역사에 대해, 과연 어떠한 역사가, 21세기 대한민국의 國益에 보탬이 되는 역사인지, 보다 섬세히 思慮해야 한다.
隋는, 북주의 외척인 양견에 의해 건국된 나라로, 남북조 시대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하나, 무리한 원정과 과도한 세금 징수로 인해, 건국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였다.
南北朝時代는, 晉나라와 隋나라 중간시대에 해당하며, 이 동안 중국은 남북으로 분열되어, 각각 왕조가 교체해서 흥망하였다.

-하략-

작가 소개

지은이 탁양현

<인문학 여행자의 동아시아 여행기>
<그리스비극 철학사상>
<삶이라는 여행>
<노자 정치철학>
<장자 예술철학>
<들뢰즈 철학>
<데리다 철학>
<미국 철학>
<일본 철학>
<공자 철학>
<원효 철학>
<니체 철학>
<헤겔 철학>
<맑스 철학>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인문 베스트더보기

  • 팩트풀니스 (한스 로슬링, 올라 로슬링)
  • 편안함의 습격 (마이클 이스터, 김원진)
  • 위버멘쉬 (니체, 어나니머스)
  • 초역 부처의 말 (코이케 류노스케, 박재현)
  • 넥서스 (유발 하라리, 김명주)
  • 감정의 과학 (이선 크로스, 왕수민)
  • 세상은 실제로 어떻게 돌아가는가 (바츨라프 스밀, 강주헌)
  • 인생의 의미 (토마스 힐란드 에릭센, 이영래)
  • 먼저 온 미래 (장강명)
  • 나는 왜 남들보다 쉽게 지칠까 (최재훈)
  • 개정판 |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빅터 프랭클, 이시형)
  •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이영래)
  • 마음의 기술 (안-엘렌 클레르, 뱅상 트리부)
  • 쇼펜하우어의 인생 수업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이상희)
  • 사랑의 기술(5판) (에리히 프롬, 황문수)
  • 이 정도는 알아야 할 최소한의 잡학상식 (문예춘추사 편집부)
  • 시대예보: 호명사회 (송길영)
  • 여덟 단어 (박웅현)
  •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김명철)
  • 특별증보판 | 청춘의 독서 (유시민)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