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자영 (지은이)
중국 화둥사범대학 중어중문학과에서 『공간의 구성과 이에 대한 상상 : 1920, 30년대 상하이 여성의 일상생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협성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냉전 아시아의 문화풍경 2 : 1960~1970년대』(공저, 2009), 『동아시아 문화의 생산과 조절』(공저, 2011)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세상사는 연기와 같다』(2000), 『중국 소설사』(공역, 2004), 『나의 아버지 루쉰』(공역, 2008) 등을 번역했다.
박상수(지은이)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과정 수료를, 프랑스 국립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중국혁명과 비밀결사》 등이 있고, 함께 지은 책으로는《동아시아, 인식과 역사적 실재: 전시기(戰時期)에 대한 조명》 등이 있다. 《중국현대사 - 공산당, 국가, 사회의 격동》을 우리말로 옮겼다.
성근제 (지은이)
1968년생. 연세대 중어중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중국은 어디로 가는가」, 「문화대혁명은 어떻게 재현되는가」, 「모택동과 신중국 역사 재평가의 정치성」 등이 있으며, 중국 사회주의, 문화대혁명, 소수민족 문제 등에 주로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하남석 (지은이)
한국외대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중국학과에서 「1989 천안문 사건의 비판적 재해석」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서로 『중국, 자본주의를 바꾸다』(미지북스, 2012) 등이 있으며, 중국의 체제 이행과 대중운동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교수로 있다.
김승욱 (지은이)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충북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근현대사 연구자로 금융사, 사회사, 도시사, 사상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해왔다. 중국 지식인, 도시 상해라는 본서의 주제와 관련해서는 「1930년대 신계몽주의자의 “五四” 기억」(2010), 「공자 비판의 정치학 - 비림비공의 경우」(2005), 「근대 상하이 도시 공간과 기억의 굴절」(2009), 「上海 근대도시사 연구의 공간적 맥락」(2011), 「上海市通志館(1932.7-37.11, 1945.11-46.12)과 上海史 연구」(2011), 「20세기 초반 韓人의 上海 인식-공간 인식을 중심으로-」(2012), 『도시는 역사다』(2011, 공저) 등이 있다.
이현태 (지은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 부연구위원
구소영 (지은이)
경북대학교 사학과 강사
김재은 (지은이)
미시간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사회학과 조교수
박경석 (지은이)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부교수
이원준 (지은이)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학사.석사.박사 졸업
Harvard GSAS Research Scholar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HK연구교수
현재 인천대학교 중어중국학과 조교수
한지현 (지은이)
코넬대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박철현 (엮은이)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중국지역연구로 문학석사학위를 받고, 중국 선양(瀋陽) 테시구(鐵西區) 공간변화와 노동자 계급의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중국 런민(人民)대학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중이다. 관심분야는 중국 동베이(東北) 지역의 공간생산과 지방정부의 역할, 국유기업 노동자, 동베이 지역의 “역사적 사회주의”, 만주국, 동아시아 근대국가 등이다. 논문으로는 「關於改革期階級意識與空間-文化硏究:瀋陽市鐵西區國有企業勞動者的事例」(박사학위 논문, 2012), 「중국 개혁기 공간생산 지식의 내용과 지형: 선양시(瀋陽市) 톄시구(鐵西區) 노후공업기지의 개조를 중심으로」(중소연구, 2013), 「중국 사구모델의 비교분석: 상하이와 선양의 사례 - 사회정치적 조건과 국가 기획을 중심으로」(중국학연구, 2014), 「중국 개혁기 공장체제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동북 선양(瀋陽)과 동남 선전(深?)의 역사적 비교」(한국학연구, 2015)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중국 정책변화와 전문가 참여(공역)」(학고방, 2014)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