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4년 상세페이지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4년

새로운 해석, 예리한 통찰

  • 관심 0
소장
종이책 정가
35,800원
전자책 정가
20%↓
28,640원
판매가
28,640원
출간 정보
  • 2021.08.12 전자책 출간
  • 2021.08.04 종이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25.3만 자
  • 34.3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88950997090
ECN
-

이 작품의 시리즈더보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1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2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3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4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5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6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7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8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9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1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2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3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4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5년 (이한우)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4년

작품 정보

"
냉혹한 혁명가이자 탁월한 국가경영자, 태종 이방원
왜 지금 그를 읽어야 하는가?




◎ 도서 소개

새로운 시각과 해석으로 다시 태어난
대한민국 정치 리더십의 고전, 『태종실록』 완역본

“공사 비자가 양부에 시집가서 낳은 소생은 종부법에 따라 양인을 만들고”
태종 14년, 아버지의 신분을 따라 귀천이 정해지도록 제도를 바꾸다

국가는 한 척의 배와 같아서 역량이 부족한 리더가 키를 잡으면 그 배는 침몰한다. 우리는 리더의 역량이 국가의 운명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체험해왔다. 리더의 역할과 덕목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한 지금, 가장 가까운 곳 즉 우리 역사에서 답을 찾을 때이다.
원대한 구상을 하고 확고하게 결의하며, 저돌적인 추진력으로 난세를 치세로 바꾼 왕이 있다. 조선의 세 번째 왕인 태종 이방원이다.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4년』(21세기북스)은 태종의 재위기간 18년 중 태종 14년의 기록을 완역했다. 태종은 현행 노비 제도의 위험성을 직시했다. 고려에서는 양인과 천민의 혼인을 금지했으며 양인과 천민 사이에 출생한 이들은 모두 노비로 삼았다. 천자수모법(賤者隨母法)은 여자 노비가 낳은 자식의 소유권은 여자 노비의 주인에게 속하도록 하였다. 이런 신분제로 인해 양인의 수는 줄고 노비의 수는 점점 늘었다. 사회의 안정과 군사력 유지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었다. 태종은 노비종부법(奴婢從父法)을 시행하여, 아버지의 신분을 따라 귀천을 정하도록 했다. 어머니가 노비라 할지라도 아버지가 양인이면 노비가 되지 않았다. 기득권층의 이해관계를 거스른 이 법은 태종 치세기의 강력한 왕권과 리더십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예리한 시각과 올바른 해석을 통해 균형 잡힌 시각으로 우리 역사를 이해하는 동시에 태종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져주는 통찰을 발견할 수 있는 책이다. 기존의 번역을 답습하지 않고 새로운 해석을 담았으며, 실록 완역본을 처음 읽는 독자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친절하게 번역했다.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면서도 가슴 한편에 애민심을 잃지 않았던 태종 이방원의 진면목을 확인할 시간이다.

☞ 함께 읽으면 좋은 이한우 저자의 책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12년 | 이한우 옮김 | 21세기북스
▶ 이한우의 주역-입문, 상경, 하경 | 이한우 옮김 | 21세기북스
▶ 완역 한서 | 반고 지음 | 이한우 옮김 | 21세기북스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총 18권으로 발간됩니다.




◎ 출판사 서평

난세를 치세로 바꾼 18년의 역사,
그 치열한 기록이 펼쳐진다!

태종 이방원을 떠올리면 어떤 이미지가 그려지는가? 형제들을 살육하고 왕위에 오른 ‘피의 군주’, 조선의 설계자라 평가받는 정도전을 죽인 ‘냉혈한’… 그에 대한 이해는 즉위 이전의 비정한 면모에 머물러 있는 현실이다. 그렇다면 태종의 자취를 좇는 일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일까? 오랜 기간 언론인으로 활동하던 저자는 최근 역사 저술가로서 매진하며 우리 사회의 기본을 밝혀줄 고전 번역에 힘쓰고 있다. 군주의 리더십 함양의 필독서인 『대학연의』를 비롯해 『논어로 대학을 풀다』 등 ‘사서삼경’ 등을 번역해온 저자의 시선은 우리 민족의 뿌리를 찾는 일로 이동하여 『조선왕조실록』을 완독하기에 이르렀고, 그 성과를 묶어 『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등 ‘이한우의 군주열전(전6권)’ 시리즈를 집필했다. 이러한 행보에서 나아가 조선의 여러 왕 중에서도 가장 먼저 『태종실록』을 번역한 이유는 그만큼 태종이 오늘날의 우리에게 큰 통찰을 주는 군주인 까닭이다.



나는 왜 『조선왕조실록』을 완독하기로 결심했던 것일까? 선조들의 정신세계를 탐구해 우리의 정신적 뿌리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런 이유만으로 방대한 실록 번역에 뛰어든 것은 아니다. 삶에 대한 그리고 세계에 대한 깊은 지혜를 얻고 싶어서다. 그런 면에서 모든 실록 중에서 『태종실록』이야말로 지금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지혜를 담고 있다. _본문 중에서



태종은 조선 건국 과정에서부터 왕이 되기까지 냉혹한 혁명가의 모습을 보였지만, 재위기간의 기록을 들여다보면 상왕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외교 전략을 펼치고 관제개혁에 힘쓰는 등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기 위해 현실 정치의 영역에서 다양한 족적을 남겼다.
우리가 태종에 집중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조선 최고의 성군인 세종대왕에게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기 때문이다. 『태종실록』 곳곳에는 세종의 한글 창제의 밑바탕이 된 민본정치의 기조가 담겨 있는데, 저자는 예리한 시각으로 이러한 부분을 짚어내며 태종의 정치철학을 드러낸다. 이처럼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세종을 비롯하여 조선 왕조 500년 역사에 큰 영향을 끼친 태종을 적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자료이자, 우리 역사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만든 군주의 리더십을 확인할 수 있는 책이다.

올바른 번역, 치밀한 해석, 섬세한 역주…
우리에겐 친절한 실록 완역본이 필요하다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실록 원문의 편년체 서술을 따라 1년 단위로 책을 구성하여 재위기간 18년의 기록을 18권의 책으로 엮는 방대한 시리즈이다. 실록을 처음 읽는 독자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한문 번역 과정을 친절하게 담았고, 실록에 등장하는 인물사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덧붙였다. 또한 기존 번역물의 오류를 바로잡고 저자의 새로운 해석을 담아냈다. 번역본과 함께 한문 원문을 책에 실었고, 독자들에게 한문 읽기의 묘미를 전하고자 ‘원문 읽기를 위한 도움말’을 통해 저자만의 번역 노하우를 소개한다.



기존의 공식 번역은 한자어가 너무 많고 문투도 낡았다. 게다가 역주가 거의 없어 불친절하다. 전문가도 주(註)가 없으면 정확히 읽을 수 없는 것이 실록이다. 특히 실록의 뛰어난 문체가 기존 번역 과정에서 제대로 드러나지 못했다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이 점을 개선하는 데 많은 노력을 쏟았다. _본문 중에서



고위 공직자들의 논문 표절과 무단인용 문제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저자는 최근 연구부정행위검증 민간기관인 연구진실성검증센터에서 실시한 논문표절 예비검증에서 모범 사례로 꼽혔다. 특히 인용문 번역에 충실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번역에 대한 저자의 철학과 자부심을 엿볼 수 있는 결과다.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태종에 대한 탐구를 넘어『조선왕조실록』을 편집요약본만으로 읽어온 독자들과 기존 공식 번역에 아쉬움을 느껴온 독자들 모두에게 실록을 깊이 있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역사의 진면목이 살아 숨 쉬는
우리 고전을 만나다



“나는 어리석은 백성들이 집을 그리워해 다퉈 한강(漢江)을 건너다가 생명을 상할까 염려된다. 마땅히 각 도의 차사원(差使員), 총패(摠牌) 등으로 하여금 운(運-단위)을 나눠 요란(擾亂)하지 못하게 하라.”_본문 중에서



태종은 환도 후 개천 굴착공사와 정비를 계속했지만, 개천 범람으로 인한 수해는 계속되었다. 이에 태종 12년 1~2월에 대대적인 공사를 시행한다. 5만 2천 8백 명의 인부가 투입되어 하천의 바닥을 파고, 폭을 넓히고 제방을 쌓았다. 또 개천을 가로지르는 흙다리들을 돌다리로 바꾸는 대공사를 실시했는데, 이때 광통교, 혜정교 등의 다리가 만들어졌다. 동시에 혜정교에서 창덕궁에 이르는 시전의 행랑을 정비했다. 태종의 결단력과 추진력으로 조선은 행정적·정치적 체계 뿐 아니라 새로운 수도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태종이 정비한 개천, 즉 청계천은 600여년이 지난 지금도 서울을 관통하며 서울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군주의 덕목은 동서양을 막론한 수많은 고전 속에 담겨 있다. 하지만 혼란스러운 시기일수록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하지 않는가.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우리의 고전에 담긴 선조들의 살아 있는 정신을 발견하고, 오늘날 우리 사회가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할 것이다.


◎ 본문 중에서

처음 세자 시사관(世子侍射官)을 설치해 나눠 3번(番)으로 했다. 전 총제(摠制) 이교(李皎), 예조참의 홍섭(洪涉), 통례문 첨지사(通禮門僉知事) 조흥(趙興), 돈녕부 첨지사(敦寧府僉知事) 이회(李淮)·이점(李漸), 첨총제(僉摠制) 심정(沈泟), 종부 판관(宗簿判官) 조모(趙慕), 대호군(大護軍) 김유량(金有良), 종부 직장(宗簿直長) 조최(趙漼) 등에게 명해 세자를 모시고 습사(習射)하게 했는데, 모두 공신(功臣)의 아들과 사위였다. 세자가 3번(番)을 모은[聚] 뒤 활 1장(張)을 내어 능히 잘 쏘는 자로 하여금 내기를 하게 했는데, 오시(午時)에서 술시(戌時)까지 했으며 다음날도 이와 같이 했다. _123~124쪽 (태종 14년 갑오년 3월 경자일 기사)

뜻을 내려 말했다. “하늘이 백성을 낼 때는 본래 천구(賤口)가 없었다. 전조(前朝)의 노비(奴婢)의 법은 양천(良賤)이 서로 혼인하면 천인(賤人)을 천시하는 일을 우선으로 해서, 천자(賤者)는 어미를 따랐기 때문에 천구(賤口)는 날로 증가하고 양민(良民)은 날로 줄어들었다. 영락(永樂) 12년 6월 28일 이후 공사 비자(公私婢子)가 양부에 시집가서 낳은 소생은 아울러 모두 종부법(從父法)에 따라 양인(良人)을 만들고, 전조의 판정백성(判定百姓)의 예에 의거해 속적(屬籍)하여 시행하라.” _297~298쪽 (태종 14년 갑오년 6월 무진일 기사)

지난번에 제도(諸島)의 왜인(倭人)이 우리 변경(邊境)을 침구(侵寇)했으므로 그 죄를 다스려야 마땅했습니다. 전하께서는 하늘의 도리를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도량[樂天之量]으로 문덕(文德)을 닦으시어 그들을 오게 해서 이미 조빙(朝聘)을 통했고, 무역(貿易)을 허락해 그 요구하는 바에 따라서 주었습니다. 이 때문에 마음으로 기뻐하고 지성으로 복종해와서 그 예물[其琛]을 바치기를 낙역부절(絡繹不絶-끊이지 않음)합니다. 그러나 이익을 탐하는 데 부끄러움이 없기 때문에 배에서 내리자마자[纔] 문득 물건을 요구하고, 지나는 주현(州縣)에 더욱 그 표독한 짓을 자행해 칼로 인민(人民)을 상하게 하고 돈과 재물을 약탈하기에 이르니, 그 부도(不道)함이 심하므로 징계하지 아니할 수 없습니다. _437쪽 (태종 14년 갑오년 9월 을해일 기사) "

작가

이한우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61년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 석사
고려대학교 영문학 학사
경력
조선일보 편집국 문화부 부장
조선일보 여론독자부 부장
2003년 조선일보 논설위원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작가의 대표 작품더보기
  • 이한우의 조선 당쟁사 (이한우)
  • 이한우의 노자 강의 (이한우)
  • 논어로 대학을 풀다 (이한우)
  • 합본 | 이한우의 『논어』 강의 (이한우)
  • 이한우의 『논어』 강의 1권 (학이) (이한우)
  • 신서(新序): 유향 찬집 완역 (홍기용, 이한우)
  • 이한우의 인물지 (이한우)
  • 이한우의 설원(上) : 유향 찬집 완역 해설 (이한우)
  • 개정판|우리의 학맥과 학풍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 이방원(상)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별책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8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7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16년 (이한우)
  •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이한우)
  • 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이한우)
  • 선조, 조선의 난세를 넘다 (이한우)
  • 숙종, 조선의 지존으로 서다 (이한우)
  • 정조, 조선의 혼이 지다 (이한우)
  • 성종, 조선의 태평을 누리다 (이한우)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역사 베스트더보기

  • 쓰는 인간 (롤런드 앨런, 손성화)
  • 물질의 세계 (에드 콘웨이, 이종인)
  • 지극히 사적인 일본 (나리카와 아야)
  • 거꾸로 읽는 세계사 (유시민)
  • 만들어진 서양 (니샤 맥 스위니, 이재훈)
  • 시대를 넘어 세대를 넘어 먼나라 이웃나라 22 러시아 2 (이원복)
  • 황현필의 진보를 위한 역사 (황현필)
  • 몽골제국 연대기 (라시드 앗 딘, 김호동)
  • 24분 (애니 제이콥슨, 강동혁)
  • 고우영 삼국지 올컬러 완전판 1권 (고우영)
  • 시대를 넘어 세대를 넘어 먼나라 이웃나라 21 러시아 1 (이원복)
  • 최소한의 한국사 (최태성)
  • 손자병법: 세상의 모든 전략과 전술 (임용한, 손무)
  • 영국 귀족의 영애 (무라카미 리코, 문성호)
  • 야만의 해변에서 (캐럴라인 도즈 페넉, 김희순)
  • 이탈리아 전쟁 1494~1559 (크리스틴 쇼, 마이클 말렛)
  • 우에다 신의 도해 한국전쟁 (우에다 신, 강영준)
  • 시대를 넘어 세대를 넘어 먼나라 이웃나라 20 오스만제국과 튀르키예 (이원복)
  • 시대를 넘어 세대를 넘어 먼나라 이웃나라 16 발칸반도 (이원복)
  • 시대를 넘어 세대를 넘어 먼나라 이웃나라 15 스페인 (이원복)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