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한우의 조선 재상 열전 상세페이지

이한우의 조선 재상 열전

조선 500년을 만든 경세가(經世家) 20인

  • 관심 0
소장
종이책 정가
38,000원
전자책 정가
20%↓
30,400원
판매가
30,400원
출간 정보
  • 2025.09.26 전자책 출간
  • 2025.09.04 종이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23만 자
  • 31.6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73575600
ECN
-
이한우의 조선 재상 열전

작품 정보

나라를 움직인 건 임금이 아니라 재상이었다!
조선 통치의 중심에 섰던 명재상 20인의 통치술과 사상




◎ 도서 소개

나라를 움직인 건 임금이 아니라 재상이었다!
조선 통치의 중심에 섰던 명재상 20인의 통치술과 사상

『이한우의 조선 재상 열전』은 조선 통치의 최정점에 섰던 명재상들의 통치술과 사상을 새롭게 조명한다. 우리는 보통 조선의 역사를 말할 때 몇몇 임금과 성리학자, 장군을 먼저 떠올리지만, 실제로 국가 운영의 중심에 있었던 재상들은 쉽게 기억되지 않는다. 이는 학문적 연구가 현실 정치보다는 성리학적 담론에 치우친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나 조선의 역사를 이끌어간 것은 바로 경세가로서의 재상들이었다.
저자 이한우는 꾸준한 고전 연구와 번역을 통해 성리학적 명분론의 틀에 갇힌 전통적 신하관을 넘어, 현실 정치에 능한 재상의 면모를 탐구해왔다. 이번 책에서 그는 조선을 대표하는 명재상 20인을 선정해, 그들이 어떻게 시대를 읽고 정치적 전략을 펼쳤는지를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재상은 단순히 충성심과 절개만으로는 부족하며, 청절(淸節)과 법치, 술책의 균형을 통해 현실을 움직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조준, 하륜, 황희 등 조선의 명재상들은 덕망과 실무 능력, 학식을 갖춘 인물들로, ‘의정부 삼상’이라 불린 영의정·좌의정·우의정 자리에 올랐다. 이 책은 이들이 모신 임금과의 관계, 당시 정치적 맥락, 그리고 동시대 인물들과의 상호작용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재상들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이한우의 조선 재상 열전』은 과거를 단순히 복기하는 작업을 넘어, 미래의 정치인을 길러내는 데 필요한 ‘재상학’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덕목과 이상론에 치중하는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현실과 권도를 아우른 유능한 정치가의 모습을 통해 오늘날에도 유효한 통치의 지혜를 전한다.




◎ 본문 중에서

유소의 『인물지』 유형론에 따르면 조준은 도리가 깊고 견실해 청절가(淸節家)로 손색이 없고 법제를 개혁해 민생을 이롭게 했으니 법가(法家)의 면모 또한 분명한 데다가 큰 결단을 의심 없이 내릴 줄 알았으니, 술가(術家)의 계책을 갖추고 있어 국체(國體)에 이른 조선 1호 재상이라 할 것이다.
제1장 태조의 공신이자 명재상 조준 - 44쪽

그러나 결국 성종은 한명회를 법대로 처리하지 못했다. 한명회는 이미 성종의 그 같은 유약함을 꿰뚫어 보고 있었다. 다시 한번 한명회의 인간과 사리(事理)에 대한 통찰이 빛나는 사건이다. 한명회는 성리학의 교조에 얽매이지 않았고 거의 혼자 힘으로 왕조 시대 신하가 누릴 수 있는 정점에 이른 독특한 존재다. 정승이 되는 길은 참으로 여러 가지가 있다.
제7장 포의에서 단숨에 정승에 오른 책략가 한명회 - 143쪽

가장 중요한 원칙은 ‘치중화(致中和)’로 올바른 화합의 정치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침이 바로 구목이다. 첫째, 궁궐 내의 기강은 엄격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되고[宮禁不可不嚴], 둘째, 조정의 기강을 바로잡지 않으면 안 되고[紀綱不可不正], 셋째, 인재를 잘 가려서 쓰지 않으면 안 되고[人才不可不辨], 넷째, 제사를 격식에 맞도록 제대로 거행하지 않으면 안 되고[祭祀不可不謹], 다섯째, 백성의 곤궁함을 구제해주지 않으면 안 되고[民隱不可不恤], 여섯째, 백성을 일깨우는 일을 밝게 하지 않으면 안 되고[敎化不可不明], 일곱째, 형벌을 신중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되고[刑獄不可不愼], 여덟째, 사치는 금하지 않으면 안 되고[奢侈不可不禁], 아홉째 신하들이 간하는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諫諍不可不納].
제12장 난세를 넘긴 명재상 이준경 - 220쪽

인조 5년(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났을 때 아무도 강화론을 내지 못할 상황에서 그는 당당히 주화론(主和論)을 주장했다. 병자호란이 임박한 인조 14년(1636년) 11월 8일 최명길은 일관되게 청나라의 침략을 당해낼 능력이 없는 현실을 직시하고 화친을 추진했는데 부교리 윤집(尹集)이 소를 올려 최명길을 성토했다. “옛날 화의를 주장한 자 중에 진회(秦檜)보다 더한 사람이 없는데, 당시에 그가 한 언어와 사적(事迹)이 사관(史官)의 필주(筆誅)를 피할 수 없었으니, 비록 크게 간악한 진회로서도 감히 사관을 물리치지 못한 것은 명확합니다. 대체로 진회로서도 감히 하지 못한 짓을 최명길이 차마 했으니, 전하의 죄인이 될 뿐 아니라 진회의 죄인이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진회만도 못한 자라는 뜻이다.
제18장 백성을 전란의 도탄에서 구해낸 실사구시 재상 최명길 - 330쪽

최석정에 대한 신뢰는 장희빈 사사 반대에도 불구하고 식지 않았다. 본인이 구상하는 정국을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재상이 바로 최석정이었기 때문이다. 숙종 28년(1702년) 12월 2일 숙종은 최석정을 서용(敍用)할 것을 명하고서 다시 판중추에 제배했다. 최석정은 일단 진천에서 소를 올려 면직을 청했다. 숙종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오히려 이듬해 2월 11일 최석정을 다시 영의정에 임명한다. 이때부터 최석정은 영의정 폐출과 임명을 반복하게 된다. 숙종 31년(1705년) 4월 13일 다시 최석정을 영의정으로 삼자 『실록』은 이렇게 평하고 있다. 숙종과 최석정이 서로 마음으로 의지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는 평이라고 하겠다.
제23장 숙종 때 열 번 이상 영의정에 오른 최석정 - 419쪽

작가

이한우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61년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 석사
고려대학교 영문학 학사
경력
조선일보 편집국 문화부 부장
조선일보 여론독자부 부장
2003년 조선일보 논설위원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작가의 대표 작품더보기
  •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라인홀드 니버, 이한우)
  • 이한우의 조선 재상 열전 (이한우)
  • 이한우의 조선 당쟁사 (이한우)
  • 이한우의 노자 강의 (이한우)
  • 논어로 대학을 풀다 (이한우)
  • 합본 | 이한우의 『논어』 강의 (이한우)
  • 이한우의 『논어』 강의 1권 (학이) (이한우)
  • 신서(新序): 유향 찬집 완역 (홍기용, 이한우)
  • 이한우의 인물지 (이한우)
  • 이한우의 설원(上) : 유향 찬집 완역 해설 (이한우)
  • 개정판|우리의 학맥과 학풍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 이방원(상)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별책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8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7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16년 (이한우)
  •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이한우)
  • 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이한우)
  • 선조, 조선의 난세를 넘다 (이한우)
  • 숙종, 조선의 지존으로 서다 (이한우)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KI신서더보기

  • 인생교과서 칸트 (김진, 한자경)
  • 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 (김정운)
  • 나는 세계일주로 유머를 배웠다 (조엘 워너, 피터 맥그로우)
  • 우리집 테라스에 펭귄이 산다 (톰 미첼, 박여진)
  • 어떻게 다시 성장할 것인가 (박광기)
  • 워킹코드 (이경렬)
  • 세계 1%의 철학수업 (후쿠하라 마사히로, 임해성)
  • 인생교과서 니체 (백승영, 이진우)
  • 회사를 그만둬도 돈 걱정 없는 인생 (송승용)
  • 김재철 평전 (공병호)
  • 완벽하지 않은 스무 살을 위한 진짜 공부 (후지하라 가즈히로, 임해성)
  • 누구를 위한 나라인가 (김형오)
  • 한국을 뒤흔든 금융권력 (윤재섭)
  • 군주의 거울 키루스의 교육 (김상근)
  • 개정판 | 카라바조, 이중성의 살인미학 (김상근)
  • 낮은 인문학 (홍진호, 박찬국)
  • 세상에 읽지 못할 책은 없다 (사이토 다카시, 임해성)
  •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진중권, 한명기)
  • 개정판 | 나는 누구인가 (강신주, 고미숙)
  • 리워크 (데이비드 하이네마이어 핸슨, 제이슨 프라이드)

역사 베스트더보기

  • 지도로 읽는다 기상천외 세계지도 지식도감 (롬 인터내셔널)
  • 이병한의 아메리카 탐문 (이병한)
  • 쓰는 인간 (롤런드 앨런, 손성화)
  • 본격 한중일 세계사 1 (굽시니스트)
  • 사라진 근대사 100장면 1: 몰락의 시대 (박종인)
  • 드디어 만나는 아즈텍 신화 (카밀라 타운센드, 진정성)
  • 제국의 어린이들 (이영은)
  • 돈으로 읽는 세계사 (강영운)
  • 마오 이후의 중국 (프랑크 디쾨터, 고기탁)
  • 황현필의 진보를 위한 역사 (황현필)
  • 손자병법: 세상의 모든 전략과 전술 (임용한, 손무)
  • 최소한의 한국사 (최태성)
  • 이희재 삼국지 1 (이희재)
  • 고우영 삼국지 올컬러 완전판 1권 (고우영)
  • 나치 마인드 (로런스 리스 , 조행복)
  • 역사를 보다 (박현도, 곽민수)
  • 시대를 넘어 세대를 넘어 먼나라 이웃나라 3 도이칠란트 (이원복)
  • 사라진 근대사 100장면 2: 반동의 시대 (박종인)
  • 콰이강의 다리 위에 조선인이 있었네 (조형근)
  • 다시, 역사의 쓸모 (최태성)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