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평>
초등학교 ,고등학교 후배며 내가 사랑하는 고향의 향수를 불러올 수 있는 저자는 정겨운 벗이자 편안함을 떠올리게 하는 마력을 갖고 있다 이 글들은 고향을 떠나 타향살이에서 잊고 있던 거금도를 다시 생각하게 하며 가슴에 단비처럼 온화함을 줄 맛있는 양념이라 칭찬하고 싶다
- 김학영 / 전 청와대 법무 행정관, 고흥경찰서장
저자와 나는 어릴 적 친구다. 마음의 고향이 아닌 실제의 고향 거금도
바다 한 가운데 장승처럼 우직하게 떠있는 섬, 거금도.
젊은 시절 이상과 꿈을 키워주었던, 어머니와도 같은 적대봉.
그래서 그 섬을 떠났을 때나, 있었을 때나 항상 연민의 정이 샘솟는 아련함이 내게도 있다.
35 년 전, 소 먹이며 뛰놀았던 그 섬, 그 시절 이야기들이 너무 너무 반갑다.
- 강기정 / 국회의원
언젠가 저자의 블로그 글들을 보고 작가로 전향해 보라고 권한 적이 있다.
저자의 글 솜씨는 바다와 섬의 정서가 깃들어서인지 맛갈나다.
특히 유년시절의 소소한 디테일까지 놓치지 않는 그의 기억력은 감탄스럽다.
시골에서 자라 대도시 소시민으로, 한 가정의 가장으로 살아온 사람이라면
긴 세월을 거쳐 오늘에 이르게 된 자신의 이야기를 곱씹어 볼 만하다.
작가로 새 출발하는 저자에게 ‘이제 시작일 뿐’이라는 격려를 보낸다.
- 권순택 / 동아일보 논설위원
거금도 연가는 마치 50대, 베이비부머의 앞줄에 선 나의 이야기를 읽는 것 같다.
섬 출신은 아닐지라도 이 땅에서 50년 넘게 살아나온 우리들 대부분의 이야기가
사실 다 비슷하지 않겠는가. 철학도, 정치도, 종교도 없는 가벼운 삶의 이야기들, 재밌게 잘 읽었다.
교육기업을 일궈 온 나로서는 ‘거금도 연가’를 읽으면서 어떤 보람된 기분을 느겼다.
- 문규식 / 장원교육 대표
저자는 내가 몸담고 있는 신문사의 간판 컬럼니스트다.
돈 되는 일도 아닌데 저자는 [최보기의 책보기]를 부지런히도 쓰고 또 있다.
그의 서평은 쉽고 재미있어서 인기가 높다. 그렇게 남의 책 좋다고 서평만 열심히 쓰던 저자가 자신의 책을 냈다. 거금도, 있다는 말도 들어보지 못한 섬이었다.
내년 여름, 아마도 나는 거금도 샛감도리 해변가에 있을 것 같다.
- 박광선 / 프라임경제 편집국장
저자와 대학원에서 만났다. 어느 날 저자가 원우 카페에 올린, 고향과 어머니에 대한
두 편의 글을 읽었다. 나는 두 편의 글을 주위의 방송작가들에게 나눠줬다.
‘짧은 글로 이렇게 고향과 어머니를 절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 읽어보라’
는 이유였다.
오랫동안 카페에 저자의 글이 안 올라와 궁금했는데 이렇게 한 무더기로 대하니 정말로 기쁘다.
언젠가는 ‘남해안에 인형처럼 떠있는 섬’이라고 저자가 표현하는 거금도를 작품으로 꼭
만나고 싶다.
- 신용환 / SBS 보도제작부장
출간 직전의 ‘거금도 연가’ 원고를 받자마자 탄성이 나왔다.
30년 전, 파릇파릇했던 청춘이었던 저자와 나는 울고 웃을 추억이 너무도 많았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보석 같은 추억들도 망각의 저장고에서 소멸된 지 오래,
불현듯 30년 전으로 돌아가 하루 반나절을 혼자 웃었다.
그 시절, 그 사람들이 많이 보고 싶다.
- 윤재왕 / 법학박사,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칼럼니스트 최보기의 추억이 깃든 고향 거금도 얘기들
전라남도 고흥군의 거금도가 고향인 작가는 기억의 지도를 더듬어 유년의 추억들을 에피소드로 엮어냈다. 그의 글은 고향을 떠나 살고 있는 섬사람과 40여 년 전 남해안 일대에서 커 나왔던 사람들의 향수를 달래는 맛깔스런 사투리로 버무려져 있다.
저자는 지난 20년 동안 글을 썼다. 그러나 그가 쓴 글은 다른 사람 이름으로 신문에 실리거나 책으로 팔려 나갔다. 칼럼니스트, 홍보대행, 대필 작가… 그의 이름을 들어내는 글은 자신의 이름을 걸고 쓰는 서평 컬럼인 [최보기의 책보기]가 유일했다. 그것이 그의 삶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고향 사람들을 무더기로 만났다. ‘세상 참 좋아져서’ 컴퓨터 앞에 앉아 초등학교 친구도 만나고, 중학교 친구도 만나고, 선생님도, 동네 형님도 만났다. ‘거금도닷컴’ www.ggdo.com이란 인터넷 카페에서부터 이 글은 시작된다.
그는 유년의 우물에서 꼼지락거리는 추억을 길어 올려 또박또박 글을 썼고 그 글이 객지에 사는 거금도 사람들의 향수를 달랬다. 그렇게 또 3년이 흘렀고 세월만큼 글도 쌓였다. 그 글이 책이 되었다. 이번에는 그의 이름을 걸고 나오게 됐다.
거금도 연가는 전체 5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거금도 연가는 거금도와 관련한 지형, 역사, 문화, 유적, 자연경관, 민속, 인물 등을 소개하는 글이다. 섬마을 소년의 삶 속에서 바라본 거금도의 발전 과정이 재미있게 펼쳐진다.
제2부 거금도 사람들에는 부모형제, 선? 후배, 친척, 친구,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가난하지만 훈훈한 인정과 인간애가 넘치는 군상을 성장기 소년의 눈으로 바라보고 있다.
제3부 나의 살던 거금도, 샛감도리는 작가의 유년의 추억이다. 전기와 텔레비전이 들어오고, 면허 따위는 상관없이 마을사람이 나서서 머리를 깎거나 마취도 없이 찢어진 이마를 꿰매고, 고사리 같은 손으로 부모님의 일손을 돕던 그 시절이 실감나게 그려져 있다.
제4부 청춘블루스는 열병처럼 찾아온 사춘기와 방황의 시기, 80년대에 대학을 다니던 암울한 시대상, 짧은 인연으로 아쉽게 스치고 지나간 여인, 아내와의 연애 시절 등이 시트콤을 연상케 하는 요절복통의 에피소드로 엮여 있다.
제5부 그리움이란 이름으로는 불혹이 훨씬 지나 현실 속에 서 있는 작가의 모습이다. 한 집안의 가장이요 남편이자 아버지인 자신의 모습을 일상에서 찾는다. 그리곤 자신의 마음속에 잔뿌리를 내린 채 든든하게 버티고 선 고향 거금도의 모습을 발견한다.
부록이 있다. _부록 구석구석 살펴보기에서는 거금도를 여행하는 사람을 위해 거금8경으로 불리는 볼거리와 숙박지, 유명 음식점, 해수욕장 정보를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