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자치통감강목6 상세페이지

자치통감강목6

사정전훈의

  • 관심 0
소장
종이책 정가
25,000원
전자책 정가
50%↓
12,500원
판매가
12,500원
출간 정보
  • 2018.02.14 전자책 출간
  • 2017.02.28 종이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PDF
  • 332 쪽
  • 12.0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57941285
ECN
-

이 작품의 시리즈더보기

  • 자치통감강목1 (주희, 신승운)
  • 자치통감강목 1-1 (주희, 신승운)
  • 자치통감강목 1-2 (주희, 신승운)
  • 자치통감강목2 (주희, 신승운)
  • 자치통감강목 2-1 (주희, 신승운)
  • 자치통감강목 2-2 (주희, 신승운)
  • 자치통감강목3 (주희, 이규옥)
  • 자치통감강목 3-1 (주희, 성백효)
  • 자치통감강목 3-2 (주희, 성백효)
  • 자치통감강목4 (주희, 성백효)
  • 자치통감강목 4-1 (주희, 성백효)
  • 자치통감강목 4-2 (주희, 성백효)
  • 자치통감강목5 (주희, 성백효)
  • 자치통감강목 5-1 (주희, 성백효)
  • 자치통감강목 5-2 (주희, 성백효)
  • 자치통감강목6 (주희, 성백효)
  • 자치통감강목 6-1 (주희, 성백효)
  • 자치통감강목 6-2 (주희, 성백효)
  • 자치통감강목7 (주희, 성백효)
  • 자치통감강목 7-1 (주희, 성백효)
자치통감강목6

작품 정보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사정전훈의본思政殿訓義本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성리학性理學에 입각한 정통론적 입장에서 쓰인 강목체綱目體 사서史書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논의, 평가, 서술에 있어서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조선시대 임금들이 경연經筵에서 읽던 대표적 역사서로 이와 관련된 내용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자주 등장한다.
특히 ≪자치통감강목≫을 중시했던 세종은 이 책을 무려 100독을 하였으며, 역사에 뛰어난 대신大臣들과 학사學士들에게 명하여 이 책과 관련된 서적을 모아서 연구하여 주석하게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강목≫이다. 사정전思政殿은 경복궁景福宮의 편전便殿으로 바로 세종대왕을 상징하는 것이고, 훈의訓義는 ‘의미를 해석한다.’는 뜻으로, ‘훈의’는 바로 ≪자치통감강목≫의 주석을 가리킨다.
서거정徐居正은 훈의訓義에 대해, 당시 중국의 여러 서책을 참조하였으며 글자의 음과 해석, 구두句讀까지 상세히 갖추었는데, 이는 모두 세종대왕의 재량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정밀함은 고금에 없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전한前漢의 멸망과 신新나라의 건국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6≫에서는 한漢나라 성제成帝 홍가鴻嘉 원년에서 신新나라 왕망王莽 시건국始建國 3년까지의 시기(B.C. 20~A.D. 11)를 다루고 있다. 이 시기의 가장 핵심적인 주제는 바로 전한前漢의 멸망과 왕망王莽의 신新나라의 건국이다. 한나라 외척 세력의 정치 참여와 전횡은 선제宣帝시기 곽광霍光에서부터 시작하여 성제 시기 왕봉王鳳을 중심으로 하는 왕씨 세력이 대표적이다.
왕씨의 권세는 왕봉이 보정대신輔政大臣을 맡은 뒤로 왕음王音, 왕상王商, 왕근王根에 이르러 점차 고조되었으며, 왕망이 탁월한 정치적 수완으로 수많은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왕근의 뒤를 잇고 나서는 전한 멸망과 신나라 건국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발생하였다.
전한의 11대 황제 한 성제가 즉위 후 주색에 빠져 정사에 소홀하자, 왕태후王太后인 효원왕후孝元王后의 비호 아래 왕봉을 중심으로 하는 외척이 득세하였다. 왕망은 어려서 불우하게 자랐으나 예禮로써 유학을 배워 왕봉에게 신임을 얻었다. 이후 황문랑黃門郞과 신야후新野侯를 거쳐 성제 수화綏和 원년(B.C. 8)에는 관직이 대사마大司馬에까지 이르렀고, 애제哀帝가 왕씨를 견제하고자 외척 부씨傅氏와 정씨丁氏를 기용했을 때는 잠시 주춤하였다.
이후 애제가 후사를 두지 못한 채 1년 만에 죽자, 9살의 평제平帝를 세우고 자신의 딸로 왕후를 삼아 정권을 장악하였다. 왕망은 평제가 장성하자 다시 독살하고 2살 밖에 되지 않았던 선제의 현손玄孫 유영劉嬰을 자리에 앉혔으며, 자신을 섭황제攝皇帝라 칭하여 전한을 멸망으로 몰아갔다.
왕망에 대하여 학자들은 황위를 찬탈하여 전한을 멸망시킨 역적, 혹은 유교의 이상적 정치를 시도한 인물로 상반되게 평가한다. 왕망은 유교를 중시하여 주나라의 정전법을 사용하는 토지개혁을 단행하였고, 사대제도賖貸制度와 노비 매매 금지법을 두어 가난한 농민을 위한 정책을 시도하였다. 이에 대해 호인胡寅은 “정전제도井田制度는 훌륭한 법이니, 치평治平을 이루는 근본이다. 옛날의 제왕들은 천하를 공적인 것으로 여겨 백성들의 굶주림과 추위를 자기 몸에 있는 것처럼 생각하였다.……그러나 역적인 왕망이 이것을 행할 수 있었겠는가. 정전井田은 실로 만대의 훌륭한 법이요, 노비의 매매를 금지한 거 또한 인정仁政을 행함에 있어 마땅히 먼저 해야 할 바이니, 왕망이 일찍이 했던 것이라 하여 나쁜 제도라고 해서는 안 된다.”라고 평하였다.
≪자치통감강목≫은 단지 주자朱子의 성리학적 평가만 실려 있는 역사서가 아니라 다양한 사평史評들을 요소에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역사적 사건을 보다 다양한 입장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가

주희朱熹
국적
중국
출생
1130년
사망
1200년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작가의 대표 작품더보기
  • 독경 (공자, 주희)
  • 개정판 | 인설 (주희, 임헌규)
  • 주자 시선 (주희)
  • 주자의 대학·중용 (최복희, 주희)
  • 자치통감강목1 (주희, 신승운)
  • 박세무의 동몽선습 주자의 동몽수지 이이의 격몽요결 (박세무, 율곡 이이)
  • 대학·중용 (자사, 주희)
  • 처음 읽는 대학·중용 (주희, 홍승직)
  • 낭송Q시리즈 남주작편 (장자, 주희)
  • 근사록- 가까운 곳에서 찾은 사람의 길 (여조겸, 주희)
  • 近思錄 (주희)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인문 베스트더보기

  •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이영래)
  • 나는 왜 남들보다 쉽게 지칠까 (최재훈)
  • 특별증보판 | 청춘의 독서 (유시민)
  • 먼저 온 미래 (장강명)
  • 넥서스 (유발 하라리, 김명주)
  • 나는 왜 아무것도 하기 싫을까 (배종빈)
  • 빌런의 심리학 (오시오 아쓰시, 김현정)
  • 초역 부처의 말 (코이케 류노스케, 박재현)
  • 부의 심리학 (김경일)
  • 지능의 기원 : 우리의 뇌 그리고 AI를 만든 다섯 번의 혁신 (맥스 베넷, 김성훈)
  • 물질의 세계 (에드 콘웨이, 이종인)
  • 개정판 |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빅터 프랭클, 이시형)
  •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 (전혜정)
  • 개정판|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70만 부 기념 리커버) (알랭 드 보통, 정영목)
  • 사랑의 기술(5판) (에리히 프롬, 황문수)
  • 1일 1책 인문학 세계고전 (사사키 다케시, 윤철규)
  •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무한 (채사장)
  • 마음의 기술 (안-엘렌 클레르, 뱅상 트리부)
  • 현대사상 입문 (지바 마사야, 김상운)
  •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조현욱)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