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당시삼백수 3-1 상세페이지

당시삼백수 3-1작품 소개

<당시삼백수 3-1> 杜甫, 악양루에 올라서[登岳陽樓]
昔聞洞庭水 옛날에 동정수洞庭水를 들었는데
今上岳陽樓 이제서야 악양루에 오르네
吳楚東南坼 오(吳)와 초(楚)는 동남으로 나뉘었고
乾坤日夜浮 하늘과 땅은 밤낮으로 떠 있도다

親朋無一字 벗들에게선 소식 한 자 없는데
老病有孤舟 늙고 병든 몸만 외로운 배 안에 있네
戎馬關山北 오랑캐 말이 관산 북쪽에 있어
憑軒涕泗流 난간에 기대니 눈물 콧물이 흐른다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는 당시(唐詩)의 선집(選集) 가운데 하나로, 청(淸)나라의 손수(孫洙)가 아동들의 시가학습(詩歌學習)을 위하여 인구에 널리 회자되는 작품을 뽑아 만든 책이다. 당시(唐詩)는 모두 5만여 수에 이르고, 이 5만여 수에서 가리고 가려서 정수만 뽑은 것이 300수이며, 또한 300여 종에 이르는 당시의 선집 가운데 가장 많이 읽혔던 책이 바로 이 ≪당시삼백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찍부터 당시를 이해하기 위한 필독서이자 한시(漢詩)의 입문서로써 이 책이 애독되어 왔다. 이 책에는 작가 77명의 시 310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제왕(帝王), 사대부(士大夫), 승려(僧侶), 가녀(歌女), 무명씨(無名氏) 등 다양한 작가층이 망라되었고, 시체에 있어서도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 악부시(樂府詩)를 포괄하였다. 시기별로도 초당(初唐), 중당(中唐), 성당(盛唐), 만당(晩唐)의 시를 고루 안배했으며, 내용면에서는 당대의 사회생활과 시가의 풍모를 일정한 정도로 반영하였다.
≪당시삼백수≫는 당시를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일찍부터 번역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현재 국내에서 출간된 것으로는 대만에서 현대 중국어로 번역된 ≪신역 당시삼백수(新譯唐詩三百首)≫의 한국어 번역인 ≪한역 당시삼백수(韓譯唐詩三百首)≫가 유일하다.
본 ≪역주 당시삼백수(譯註唐詩三百首)≫는 성균관대학교 송재소(宋載卲) 명예교수의 지도하에 5명의 전문 연구자들이 3년 동안 독회를 통하여 토론한 것을 바탕으로 역주한 것이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의 특징은,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깊이 있는 해설과, 전문가들의 협동연구 결과에 의하여 엄밀하고 상세하게 역주된 것에 있다. <통석(通釋)>과 각 작품의 <해제(解題)>를 통하여 시의 내용 이해와 감상에 필요한 사항을 설명하는 한편, <집평(集評)>으로 후대 학자들의 평론을 모아 수록했는데 ‘우리나라 선대 학자들의 견해와 주석’을 수록한 것은 특기(特記)할 만하다. 이러한 점은 본회 번역의 기본 방침에 따른 것이다.

본 ≪역주 당시삼백수≫의 깊이 있는 해설과 상세한 주석은 당시(唐詩)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 믿는다.


저자 소개

송재소(宋載卲)
서울대 문학박사(한국한문학), 전통문화연구회 이사장, 성균관대 명예교수, 연세대학교 석좌교수, ≪다산시선≫ ≪한시미학과 역사적 진실≫ ≪다산시연구≫ ≪한국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외

최경렬(崔京烈)
성균관대 동아시아 학술원 박사과정 수료, 한림대 강사, <청성잡기연구>, <매월당의 유관서록 분석> 외

이철희(李澈熙)
성균관대 문학박사(한국한문학),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추사 김정희의 유희적 시세계>, <다산시학의 계승자 황상에 대한 평가와 그 의미> 외

강지희(姜志喜)
성균관대 문학박사(한문학), 성균관대 한문학과 강사, <매월당 시에 있어서의 내적갈등과 현실인식> <매월당 시에 나타난 현실인식의 추이> 외

김영죽(金玲竹)
성균관대 문학박사(한문학), 성균관대 한문학과 강사, <추재 조수삼의 연행시와 외이죽지사>, <추재 조수삼의 외이죽지사 소고> 외

최영옥(崔煐玉)
성균관대 국문학 박사과정 수료,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연구원, <백곡 김득신 문학론의 성격>, <김택영과 증국번의 문장론 비교> 외

목차

224 鹿柴(녹채) / 王維
225 竹里館(죽리관) / 王維
226 送別(벗을 떠나보내며) / 王維
227 相思(그리움) / 王維
228 雜詩(잡시) / 王維
229 送崔九(최구를 전송하며) / 裴迪
230 終南望餘雪(종남산에서 쌓인 눈을 바라보다) / 祖詠
231 宿建德江(건덕강에서 투숙하며) / 孟浩然
232 春曉(봄 아침) / 孟浩然
233 夜思(깊은 밤의 그리움) / 李白
234 怨情(원망하는 마음) / 李白
235 八陣圖(팔진도) / 杜甫
236 登鸛雀樓(관작루에 올라) / 王之渙
237 送靈澈(영철을 보내며) / 劉長卿
238 彈琴(거문고를 타다) / 劉長卿
239 送上人(上人을 전송하며) / 劉長卿
240 秋夜寄丘員外(가을밤 丘員外에게 부치다) / 韋應物
241 聽箏(箏을 듣다) / 李端
242 新嫁娘(새색시) / 王建
243 玉臺體(옥대체) / 權德輿
244 江雪(강설) / 柳宗元
245 行宮(행궁) / 元 稹
246 問劉十九(劉十九에게 묻다) / 白居易
247 何滿子(하만자) / 張祜
248 登樂遊原(낙유원에 오르다) / 李商隱
249 尋隱者不遇(은자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다) / 賈島
250 渡漢江(漢水를 건너며) / 李頻
251 春怨(봄날의 원망) / 金昌緖
252 哥舒歌(哥舒翰 노래) / 西鄙人
253 長干行 二首其一(장간행 두 수 중 첫 번째 시) / 崔顥
254 長干行 二首其二(장간행 두 수 중 두 번째 시) / 崔顥
255 玉階怨(옥계의 원망) / 李白
256 塞下曲 四首其一(변방의 노래 네 수 중 첫 번째 시) / 盧綸
257 塞下曲 四首其二(변방의 노래 네 수 중 두 번째 시) / 盧綸
258 塞下曲 四首其三(변방의 노래 네 수 중 세 번째 시) / 盧綸
259 塞下曲 四首其四(변방의 노래 네 수 중 네 번째 시) / 盧綸
260 江南曲(강남곡) / 李益
261 回鄕偶書(고향으로 돌아와 쓰다) / 賀知章
262 桃花谿(도화계) / 張旭
263 九月九日憶山東兄弟(구월 구일 산동의 형제를 생각하며) / 王維
264 芙蓉樓送辛漸(芙蓉樓에서 辛漸을 보내다) / 王昌齡
265 閨怨(아내의 원망) / 王昌齡
266 春宮曲(춘궁의 노래) / 王昌齡
267 涼州詞(양주의 노래) / 王翰
268 送孟浩然之廣陵(광릉 가는 맹호연을 보내며) / 李白
269 早發白帝城(아침에 백제성을 출발하며) / 李白
270 逢入京使(서울로 들어가는 使者를 만나) / 岑參
271 江南逢李龜年(강남에서 李龜年을 만나다) / 杜甫
272 滁州西澗(滁州의 서쪽 시내) / 韋應物
273 楓橋夜泊(밤에 풍교에 배를 대다) / 張繼
274 寒食(한식) / 韓翃
275 月夜(달밤) / 劉方平
276 春怨(봄날의 원망) / 劉方平
277 征人怨(원정을 떠난 사람의 원망) / 柳中庸
278 宮詞(궁사) / 顧況
279 夜上受降城聞笛(밤에 受降城에 올라 피리소리를 듣다) / 李益
280 烏衣巷(오의항) / 劉禹錫
281 春詞(봄의 노래) / 劉禹錫
282 後宮詞(후궁사) / 白居易
283 贈內人(나인에게 주다) / 張祜
284 集靈臺 二首之一(집영대 두 수 중 첫 번째 시) / 張祜
285 集靈臺 二首之二(집영대 두 수 중 두 번째 시) / 張祜
286 題金陵渡(금릉도에 쓰다) / 張祜
287 宮詞(궁사) / 朱慶餘
288 近試上張水部(시험이 가까워 장수부께 올리다) / 朱慶餘
289 將赴吳興 登樂遊原(오흥의 임소로 가면서 樂遊原에 오르다) / 杜牧
290 赤壁(적벽) / 杜牧
291 泊秦淮(秦淮河에 정박하여) / 杜牧
292 寄揚州韓綽判官(揚州의 韓綽 判官에게 부치다) / 杜牧
293 遣懷(심회를 풀다) / 杜牧
294 秋夕(가을 저녁) / 杜牧
295 贈別 二首之一(헤어지며 주다 두 수 중 첫 번째 시) / 杜牧
296 贈別 二首之二(헤어지며 주다 두 수 중 두 번째 시) / 杜牧
297 金谷園(금곡원) / 杜牧
298 夜雨寄北(비 내리는 밤 북녘에 부치다) / 李商隱
299 寄令狐郎中(令狐郎中에게 부치다) / 李商隱
300 爲有(있기 때문에) / 李商隱
301 隋宮(수나라 궁전) / 李商隱
302 瑤池(요지) / 李商隱
303 嫦娥(상아) / 李商隱
304 賈生(가생) / 李商隱
305 瑤瑟怨(비파에 담은 원망) / 溫庭筠
306 馬嵬坡(마외파) / 鄭畋
307 已涼(날이 서늘해진 후) / 韓偓
308 金陵圖(금릉도) / 韋莊
309 隴西行(농서행) / 陳陶
310 寄人(그 사람에게 부치다) / 張泌
311 雜詩(잡시) / 無名氏
312 渭城曲(위성의 노래) / 王維
313 秋夜曲(가을밤의 노래) / 王維
314 長信怨(장신원) / 王昌齡
315 出塞(변방을 나서며) / 王昌齡
316 出塞(변방을 나서며) / 王之渙
317 淸平調 其一(청평조 첫 번째 시) / 李白
318 淸平調 其二(청평조 두 번째 시) / 李白
319 淸平調 其三(청평조 세 번째 시) / 李白
320 金縷衣(금루의) / 杜秋娘

附 錄
作家 略傳

索引
索引 凡例
詩語 索引
題目 索引
作家 索引
註釋 索引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