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나라 ‘칠레’를 제대로 만나고 이해하는 첫걸음
―정치와 경제, 역사와 사회·문화 모두를 아우른 국내 첫 칠레 입문서
―저자의 17년 칠레 거주 경험이 묻어난 최신의 생생한 칠레 이야기
한국인들에게 칠레는 지리적으로도 심리적으로도 멀고 낯선 나라다. ‘칠레’ 하면 와인과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아옌데의 민중연합정권과 피노체트 군사정권, 요즘은 리튬 등 자원 같은 파편적인 것들만 떠오를 뿐, 칠레가 어떤 나라인지 잘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게다가 남미 대륙에 있다는 이유로 오해와 선입견도 존재한다. 그뿐일까. 지진 같은 지리적 변수는 물론, 극단적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과 대규모 시위 등 외부에서는 잘 보이지 않고 이해하기 힘든 사회적 변수들로 칠레라는 나라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 2차 전지 원료인 리튬이 각광을 받으며 리튬 산지이자 자원의 보고인 남미, 특히 칠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한류가 유행하고 있는 지금 칠레는 중남미 한류의 견인차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중남미 한류 시장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렇듯 외교 관계 확장이나 비즈니스 진출과 투자, 문화 교류의 확대 가능성이 높은 칠레는 우리에게 ‘기회의 땅’이 될 수 있다.
이 책은 2004년부터 17년간 칠레에 거주하며 명문 칠레가톨리대학교에서 한국학을 가르쳐 온 민원정 교수가 칠레가 궁금한 한국인들을 위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칠레 안내서다. 오늘날 칠레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이해하기 위한 역사에서부터 정치와 사회, 외교와 자원 정책, 사회·문화까지 전 분야를 아우르며 칠레의 참모습을 들려주고, 칠레 사회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거의 처음 선보이는 칠레에만 주목한 역사·문화 입문서로, 뻔한 관광지가 아닌 칠레의 면면을 속속들이 보고 싶고, 자원보유국으로 주목받는 칠레의 잠재력을 파악하고 싶고, 알 길이 없던 칠레인들의 진짜 속마음을 알고 싶은 독자들에게는 전에 없던 반가운 책이 될 것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에서 호르헤루이스 보르헤스의 텍스트 분석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 칠레로 이주해 2006년부터 칠레가톨릭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아시아센터 집행위원으로 재직했고, 2023년부터 아시아센터 협력교수로 있다. 2020년 한국에 들어와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제한국학연구원 규장각 펠로우,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프로그램 객원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칠레에서 처음으로 한국학 관련 강좌를 개설했으며, 한국과 칠레 양국의 학술·문화 교류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주로 식민경험이 중남미 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과 중남미 사회의 인종·젠더·계급 문제에 기반해 에스파냐어권 화자들이 한류를 비롯한 아시아 대중문화를 수용·소비·재해석하는 양상을 연구한다. 한국 역사와 문화, 한·중남미 비교 문화 등을 강의했고, 미국 미시간대학교,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도 한류에 관한 강의를 했다. 최근 칠레와 중남미에 대한 한국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방송과 강연을 통해 정확하고 생생하게 칠레와 중남미를 소개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