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가난했지만 영혼은 풍요롭고 뜨거운 사람들…
그 사람들의 끈질긴 생명력을 노래한 소설
“부부가 중심이 되는 사회가 되어 부부들이 행복했으면 좋겠다. 부부가 행복해야 아이들도 행복하다.”
3년 만에 신간 ≪그 사람이 정말 그곳에 있었을까≫를 펴낸 박민형 작가가 전하는 말이다. 이번 작품에도 박민형 작가는 가족극장을 독자들에게 선물한다.
이 소설은 무엇보다 섬세함에 의한 소설의 미학이 돋보인다. 마치 어떤 예민한 곤충의 더듬이가 문장과 행간을 섬세하게 더듬는 것 같다. 작가의 감각적 촉수가 줄곧 느껴지는 이 소설은 작품의 전면에 세 사람(정 계장, 양희 언니, 그리고 어머니)이 스크린을 꽉 채우고 있다.
그 중 한 사람인 정 계장에 대한 ‘주인공 영남’의 감정은 “서서히 스며드는 물처럼 그 사람이 내 가슴을 적시고”, 또 문장을 적시고, 작품의 이면을 적시고 있다. 그리고 “두근거림과 떨림, 설렘, 환희. 세포마디의 날갯짓, 부르르 진저리를 치게 하는 간지러움. 빠르게 뛰는 심장 박동 소리. 오직 단 한 사람을 찾기 위해 두 눈을 밝히고 있는 환한 등불. 한 사람을 사랑하게 되면서 시작된 육체의 변화” 등 비록 작품 속이지만, 첫사랑은 이토록 아름답고 절절하다.
그러나 소설은 첫사랑의 아름다움을 이면으로 한 채 양희 언니와 어머니의 죽음을 겪는 주인공의 아픔, 그리고 그로 인한 첫사랑 정 계장과의 이별을 이야기한다. 어두운 시대와 사회적 아픔을 배경으로 한 그 사람들의 삶을 노래한 소설 ≪그 사람이 정말 그곳에 있었을까≫를 이제 만나기로 하자.
소설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소설을 쓰며 살아가는 영남은 ‘악극’을 써 보라는 친구의 제안을 받게 된다. 그렇지 않아도 남편이 퇴직금을 주식으로 잃고, 결혼한 딸아이가 셋집을 전전하는 게 안타까워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을 담보로 융자를 얻어 주는 바람에 생활이 빠듯하다. 영남은 수락한다.
영남이 쓴 악극은 관객몰이에 성공하게 되고... 악극을 써서 목돈을 손에 넣은 영남은 드라마를 써 볼까 하는 생각도 하지만 소설가로 남기로 한다. 소설 쓰는 데 전념하던 어느 날, 악극을 제작한 제작사로부터 악극이 공연될 K시에서 무대 인사가 진행될 예정이라며 참여해 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영남은 K시라는 제작사 측의 말에 놀란다. K시가 자신의 첫사랑의 그 사람이 살았던 도시라는 것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던 영남은, 어머니와 K시에서 살게 된 지난날을 떠올린다.
아버지의 바람으로 이혼을 한 어머니가 생계를 위해 차린 양품점이 100만 원 짜리 계가 깨지면서 도산한다. 중학생이던 영남은 아버지와 재혼한 새어머니와의 갈등을 일기장에 쓴 것이 담임선생님이 알게 되고... 담임선생님이 새어머니에게 조언을 한 것이 문제가 되어 영남은 어머니가 살고 있는 K시로 오게 된다. 공장에 다니는 어머니가 안쓰러운 영남은 대학 진학을 포기한다. 취업을 하기 위해 이력서를 이곳저곳에 내지만 취업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우울한 나날을 보내던 영남은 골목 끝에 서 있는 벚나무를 찾아 나섰다가 그 사람을 만나게 되고... H전자에서 여자 공원들을 뽑는다는 정보를 어머니에게서 듣는다. 영남은 이력서를 제출한다. H전자에서 면접을 보던 영남은 면접관이 벚나무 앞에서 만났던 그 사람이라는 것에 경악한다.
H전자에 취업이 된 영남은 그 사람과 자주 만나게 되고... 그 사람에게 일고 있는 남다른 감정이 첫사랑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또한 한 조로 일하고 있는 양희 언니가 보일러실에서 근무하는 황기사와 사랑하는 사이라는 사실에 영남은 그 사람과의 감정을 양희 언니와 공유하며 사랑을 키워 나가는데... 양희 언니가 일산화탄소에 중독되어 세상을 뜬다. 사회에서 만난 양희 언니를 친언니처럼 의지하고 따랐던 영남은 충격에 휩싸인다. 그 충격에서 채 벗어나지도 못했는데, 함께 이야기를 나누다가 잠자리에 든 어머니마저 눈을 뜨지 않는다.
양희 언니와 어머니를 연이어 떠나보낸 영남은 K시에서 홀로 살아가게 되고... 살아가야 하는 삶의 이유를 잃은 영남에게 그 사람은 아버지 곁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영남을 설득한다. 영남은 듣지 않는다. 점점 쇠약해지는 영남을 다리가 불편한 그 사람의 누나가 보살피게 되는데... 영남은 말없이 자신의 곁을 지켜주는 그 사람의 누나를 보면서 K시를 떠나기로 한다. 세월이 흐르고... 그 사람 곁을 떠난 영남은 지금의 남편을 만나 여느 부부처럼 퇴직한 남편의 세끼 밥을 차려주는 것을 힘들어하며 살아간다. 그런데 무대 인사를 하는 곳이 K시라고 하자, 영남은 그 사람이 살던 집을 찾아가 보기로 한다. 무대 인사를 하는 당일 날 아침 집을 일찍 나선 영남은 그 사람의 살았고, 자신이 잠시 살았던 그 동네를 찾아가게 되고... 그 사람의 누나를 만나게 된다. 영남은 그 사람의 집을 나서면서 자신이 그 사람 곁을 떠났던 이유를 비로소 고백하기에 이른다